본문으로 건너뛰기

공포와 탐욕 - 시장이 움직이는 진짜 이유

· 약 12분
silkroad
go to happy

"이번엔 다르다."

2021년 3월, 코스피 3,300. "4,000 간다"는 말이 넘쳐났습니다. 2020년 3월, 코스피 1,400. "끝났다"는 비명이 들렸습니다. 불과 1년 사이에 2배 차이.

재무제표는 그대로인데 주가는 천당과 지옥을 오갑니다. 기업 가치가 1년 새 2배 변했을까요? 아닙니다. 변한 건 사람들의 심리입니다.

공포와 탐욕, 시장을 지배하는 두 감정을 이해하면 군중의 반대편에 설 수 있습니다.

1. 공포와 탐욕이란?

정의

Fear and Greed

시장을 움직이는 두 가지 감정

탐욕 (Greed):
"더 오를 거야!"
→ 고점 매수
→ 버블 형성

공포 (Fear):
"더 떨어질 거야!"
→ 저점 매도
→ 패닉 셀

진실:
주가는 기업 가치보다
투자자 감정을 따라간다

→ "감정이 가격을 만든다"

쉬운 비유

놀이공원 롤러코스터:

정상 (탐욕):
"더 높이!"
→ 올라갈수록 무서움
→ 하지만 계속 타고 싶음

추락 (공포):
"그만!"
→ 내리고 싶지만
→ 멈출 수 없음

투자도 마찬가지:
오를 때: 더 사고 싶음
떨어질 때: 다 팔고 싶음

이성:
오를 때 팔고
떨어질 때 사야

현실:
정반대로 행동

워런 버핏:
"남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러워라"

→ "역발상이 답"

공포탐욕지수

Fear & Greed Index

CNN이 만든 시장 심리 지표

구성 (7가지):
1. 주가 모멘텀 (S&P500 vs 125일 평균)
2. 주가 강도 (신고가 vs 신저가 종목 수)
3. 주가 폭 (상승 vs 하락 종목 비율)
4. 풋/콜 옵션 비율
5. 정크본드 수요
6. 시장 변동성 (VIX)
7. 안전자산 수요

점수:
0-25: 극단적 공포 (Extreme Fear)
25-45: 공포 (Fear)
45-55: 중립 (Neutral)
55-75: 탐욕 (Greed)
75-100: 극단적 탐욕 (Extreme Greed)

해석:
극단적 공포 → 매수 기회
극단적 탐욕 → 매도 시점

→ "역발상 타이밍"

2. 심리 사이클

시장 감정의 8단계

Market Psychology Cycle

1단계: 낙관 (Optimism)
주가 상승 시작
"괜찮은데?"

2단계: 흥분 (Excitement)
수익 발생
"역시 내가 잘했어!"

3단계: 쾌락 (Thrill)
계좌 불어남
"천재 아냐?"

4단계: 황홀 (Euphoria) ← 고점
"평생 이렇게 살 수 있어!"
→ 추가 매수 (최악의 선택)

5단계: 불안 (Anxiety)
주가 하락 시작
"일시적이겠지?"

6단계: 부정 (Denial)
손실 확대
"곧 반등할 거야"
→ 물타기 (손실 확대)

7단계: 공포 (Fear)
-30% 손실
"이러다 다 잃는 거 아냐?"

8단계: 절망 (Desperation)
-50% 손실
"망했어..."

9단계: 패닉 (Panic) ← 저점
"손절이라도 해야지"
→ 바닥 매도 (최악의 선택)

10단계: 항복 (Capitulation)
"주식은 도박이야"
→ 시장 이탈

11단계: 낙담 (Despondency)
"다신 안 해"

12단계: 우울 (Depression)
주가 바닥

13단계: 희망 (Hope)
주가 반등 시작
"그래도 조금 올랐네?"

14단계: 안도 (Relief)
손실 회복
"휴... 살았다"

→ 1단계 낙관으로 다시

교훈:
황홀할 때 팔고
패닉할 때 사라

→ "사이클을 이기려 말고 이용하라"

역사적 사례

공포와 탐욕의 반복

1929년 대공황:

탐욕 (1929.9):
다우지수 381 (사상 최고)
"영원한 번영"
→ 모두가 주식 매수

공포 (1932.7):
다우지수 41 (-89%)
"자본주의 끝"
→ 모두가 주식 매도

결과:
1954년 회복
1929년 고점 회복까지 25년

1997년 IMF:

탐욕 (1994):
코스피 1,100
"신흥 강국"

공포 (1997.12):
코스피 350 (-70%)
"국가 부도"
→ 금 모으기 운동

결과:
1999년 회복
2년 만에 고점 회복

2008년 금융위기:

탐욕 (2007.10):
코스피 2,000
"내집 마련 마지막 기회"

공포 (2008.10):
코스피 900 (-55%)
"리먼 사태"
→ 대량 손절

결과:
2011년 회복
3년 만에 회복

2020년 코로나:

공포 (2020.3):
코스피 1,400 (-40%)
"세계 경제 붕괴"
→ 패닉 셀

탐욕 (2021.6):
코스피 3,300 (+135%)
"동학개미 혁명"
→ 공모주 광풍

결과:
2022년 조정
금리 인상으로 -30%

교훈:
역사는 반복된다
→ 공포와 탐욕의 순환

→ "위기는 기회"

3. 탐욕의 함정

버블의 전조

Bubble Signs

1. "이번엔 다르다"

근거:
신기술, 패러다임 전환
→ 밸류에이션 무시

역사:
1990년대 닷컴버블
2000년대 부동산버블
2021년 밈주식 광풍

현실:
기본 원리는 불변
→ 이익 없으면 가치 없음

2. 택시기사 주식 이야기

의미:
모두가 아는 투자
→ 이미 늦음

사례:
1929년 구두닦이 소년
2021년 20대 영끌 투자

신호:
주변 모두 주식 이야기
→ 고점 신호

3. 밸류에이션 무시

현상:
"PER 100배? 성장하니까"
"적자? 미래 가치 투자"

위험:
숫자는 거짓말 안 함
→ 언젠가 청산

사례:
카카오 (2021): PER 70배
→ 2023년: -60%

4. 레버리지 과다

행태:
신용대출, 마진거래
→ "빚내서 주식"

위험:
하락 시 강제청산
→ 원금 이상 손실

2021년:
개인 신용융자 20조
→ 2022년 조정 시 대량 청산

5. FOMO (Fear of Missing Out)

심리:
"나만 빼고 다 번다"
→ 뒤늦게 진입

타이밍:
항상 고점 매수
→ 최대 손실

교훈:
남들 버는 거 보면
→ 이미 늦었다

→ "탐욕은 파산의 지름길"

실제 사례

탐욕의 희생자들

GameStop (2021.1):

시작: $20
광풍: $483 (24배)
현재: $30

피해자:
고점 매수자
→ -90% 손실

테슬라 (2021):

고점: $410
저점: $100 (2023)
→ -75%

탐욕:
"1,000 간다"
→ 추가 매수

공포:
"망할 거야"
→ 패닉 셀

교훈:
기업은 좋아도
가격이 너무 비싸면
→ 손실

한국 공모주 광풍 (2021):

SK바이오사이언스:
공모가 65,000원
상장일 100,000원
현재 50,000원

카카오뱅크:
공모가 39,000원
상장일 60,000원
현재 25,000원

피해:
상장일 매수자
→ -50% 손실

교훈:
"공모주 대박"
→ 탐욕의 함정

현대차우 (2021):

배당 기대감:
30,000원 → 90,000원
→ 3배 상승

현실:
배당 불발
→ 40,000원 급락

피해:
고점 추격 매수자
→ -55% 손실

→ "이야기만 믿지 마라"

4. 공포의 함정

패닉 셀의 대가

Panic Selling Cost

2020년 3월 코로나:

상황:
코스피 2,200 → 1,400
(-40% in 1 month)

공포:
"세계 경제 붕괴"
"대공황 온다"

패닉 셀:
개인 투자자 대량 매도
→ 10조 순매도

결과:
6개월 후 2,400 (+70%)
1년 후 3,200 (+130%)

손실:
공포 매도자
→ 저점 매도 + 회복 불참

워런 버핏:
2020년 4월 항공주 매입
→ 2년 후 +100%

교훈:
공포가 클수록
→ 기회도 크다

2008년 금융위기:

공포 (2008.10):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은행 도산"

패닉:
코스피 900
→ 모두가 매도

기회:
삼성전자 30만 원
→ 2024년 70만 원 (+133%)

현대차 4만 원
→ 2024년 20만 원 (+400%)

교훈:
"피가 거리에 흐를 때 사라"
- 로스차일드

1997년 IMF:

공포:
"국가 부도"
→ 코스피 350

패닉:
금 모으기
주식 팔기

기회:
삼성전자 10만 원
→ 2000년 100만 원 (+900%)

교훈:
역사상 최대 위기
→ 역사상 최대 기회

→ "공포는 기회의 신호"

공포 극복법

Fear Management

1. 장기 관점:

공포:
"지금 당장 떨어진다"

현실:
10년 보면 대부분 상승

데이터:
코스피 30년 수익률
→ 연평균 +8%

조건:
10년 이상 보유
→ 단기 변동 무시

2. 분할 매수:

전략:
한 번에 다 사지 마라

방법:
-10% 떨어지면 20%
-20% 떨어지면 30%
-30% 떨어지면 50%

효과:
평균 매수 단가 낮춤
→ 심리적 안정

3. 현금 보유:

원칙:
항상 30% 현금

이유:
추가 하락 시 매수 여력
→ 공포 완화

워런 버핏:
항상 현금 1,000억 달러
→ "총알은 마른다"

4. 역사 공부:

사실:
모든 위기는 회복

증거:
1929, 1987, 1997, 2000, 2008, 2020
→ 모두 회복

기간: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

교훈:
"This too shall pass"

5. 뉴스 끄기:

문제:
공포 뉴스 도배
→ 패닉 유발

해결:
뉴스 안 보기
→ 감정 차단

워런 버핏:
"뉴스는 잡음일 뿐"

→ "공포를 친구로 만들어라"

5. 역발상 투자

남들과 반대로

Contrarian Investing

워런 버핏 명언:

"Be fearful when others are greedy
Be greedy when others are fearful"

"남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러워라"

실천:

고점 (탐욕):
모두 매수 → 나는 매도

저점 (공포):
모두 매도 → 나는 매수

어려움:
심리적으로 매우 어려움
→ 군중과 반대 행동

방법:
기계적 규칙
→ 감정 배제

존 템플턴 사례:

1939년 2차대전:
세계 공포
→ 파산 직전 기업 매수

결과:
전쟁 후 100배 수익

교훈:
"최대 비관 = 최대 기회"

2020년 코로나:

3월 (공포):
개인 10조 매도
기관/외국인 10조 매수

결과:
개인 손실
기관/외국인 이익

교훈:
전문가는 공포 때 산다

→ "군중의 반대편"

역발상 지표

Contrarian Indicators

1. 투자자예탁금:

의미:
증권사 대기 자금

해석:
예탁금 많음 → 탐욕 (고점)
예탁금 적음 → 공포 (저점)

활용:
예탁금 70조+ → 매도 신호
예탁금 40조- → 매수 신호

2. 신용잔고:

의미:
빚내서 주식 산 금액

해석:
신용잔고 높음 → 과열 (위험)
신용잔고 낮음 → 침체 (기회)

2021년: 20조 (고점)
2022년: 10조 (저점)

3. 공매도 비중:

의미:
주가 하락 베팅

해석:
공매도 많음 → 비관 (기회)
공매도 적음 → 낙관 (위험)

활용:
공매도 급증 → 반등 신호

4. 풋콜 비율:

의미:
풋옵션 / 콜옵션

해석:
풋콜 1.5+ → 극단 공포 (매수)
풋콜 0.5- → 극단 탐욕 (매도)

5. VIX (공포지수):

의미:
S&P500 변동성

해석:
VIX 30+ → 극단 공포
VIX 10- → 극단 탐욕

활용:
VIX 급등 → 매수 기회

→ "지표는 거짓말 안 한다"

6. 감정 통제법

투자 일기

Investment Journal

매수 시 기록:

날짜: 2025.11.24
종목: 삼성전자
매수가: 70,000원
수량: 10주

매수 이유:
- PER 10배 (저평가)
- 반도체 사이클 회복
- 배당수익률 3%

감정 상태:
약간 불안 (시장 하락 중)
→ 공포에 매수

목표:
3년 보유
목표가: 100,000원

매도 시 기록:

날짜: 2027.11.28
매도가: 95,000원
수익률: +35%

매도 이유:
- PER 20배 (고평가)
- 목표 수익률 달성

감정 상태:
아쉬움 (더 오를 것 같음)
→ 탐욕 억제

교훈:
계획대로 실행 성공
감정 통제됨

효과:

1. 객관화:
감정과 이성 분리

2. 학습:
실수 반복 방지

3. 규율:
계획 준수

4. 개선:
패턴 파악

→ "기록은 스승"

감정 차트

Emotional State Tracking

주간 감정 체크:

월요일: 😊 낙관 (주가 +2%)
화요일: 😄 흥분 (주가 +5%)
수요일: 🤩 황홀 (주가 +10%)
목요일: 😰 불안 (주가 -3%)
금요일: 😨 공포 (주가 -8%)

분석:
수요일 황홀 → 매도 타이밍
금요일 공포 → 매수 타이밍

실제 행동:
수요일 익절 (탐욕 통제)
금요일 추가 매수 (공포 극복)

결과:
+7% 수익

교훈:
감정 인지 → 행동 통제

자동 규칙:

Rule 1:
"너무 좋다" 느낌
→ 20% 익절

Rule 2:
"망했다" 느낌
→ 기계적 매수

Rule 3:
"이번엔 다르다" 생각
→ 투자 중단

Rule 4:
주변 모두 주식 이야기
→ 비중 축소

Rule 5:
뉴스에 공포 도배
→ 비중 확대

→ "감정을 규칙으로"

7. 실전 전략

단계별 대응

Market Phase Strategy

황홀 단계 (고점):

신호:
- 일일 거래량 폭증
- 신규 계좌 급증
- 주변 주식 이야기
- 공모주 청약 경쟁

대응:
1. 수익 종목 익절 (50%)
2. 현금 비중 확대 (40%+)
3. 신규 매수 중단
4. 레버리지 축소

불안 단계 (하락 초기):

신호:
- 고점 대비 -10%
- 거래량 감소
- 뉴스 부정적

대응:
1. 관망 (아직 매수 X)
2. 위시리스트 작성
3. 현금 준비

공포 단계 (하락 중기):

신호:
- 고점 대비 -20~30%
- 패닉 뉴스
- 주변 손절 이야기

대응:
1. 분할 매수 시작 (30%)
2. 우량주 위주
3. 감정 일기 작성

패닉 단계 (저점):

신호:
- 고점 대비 -40%+
- 거래량 폭증 (매도)
- "끝났다" 뉴스

대응:
1. 적극 매수 (50%)
2. 공격적 진입
3. 역사 공부 (회복 확신)

희망 단계 (반등):

신호:
- 저점 대비 +10~20%
- 분위기 전환

대응:
1. 보유 유지
2. 추가 매수 (20%)
3. 장기 대기

→ "단계마다 전략 다름"

체크리스트

Emotional Decision Check

매수 전 질문:

☐ 이 결정을 1주일 후에도 할 수 있나?
☐ 주변에서 추천한 종목인가? (Yes = 위험)
☐ 뉴스에서 본 종목인가? (Yes = 위험)
☐ FOMO 때문인가? (Yes = Stop)
☐ 재무제표를 봤나? (No = Stop)
☐ 목표 수익률은? (없음 = Stop)
☐ 손절 라인은? (없음 = Stop)

매도 전 질문:

☐ 계획된 매도인가?
☐ 공포 때문인가? (Yes = 보유)
☐ 손실 확대 두려움? (Yes = 보유)
☐ 더 오를 것 같아서? (탐욕 = 부분 익절)
☐ 펀더멘털 악화? (Yes = 매도 OK)
☐ 목표가 도달? (Yes = 매도 OK)

감정 체크:

황홀:
"미쳤다, 잘했어!"
→ 🚨 경고: 익절 고려

불안:
"약간 걱정되네..."
→ ✅ 정상: 유지

공포:
"다 팔고 싶다..."
→ 🚨 경고: 매수 고려

평정:
"그냥 그렇네"
→ ✅ 이상적 상태

→ "질문은 브레이크"

8. 자주 묻는 질문

Q1: 공포를 어떻게 이기나요?

현실:
공포는 못 이김
→ 관리만 가능

방법:

1. 교육:
역사 공부
→ "항상 회복했다"

2. 분산:
한 종목 올인 X
→ 위험 분산

3. 장기:
10년 관점
→ 단기 무시

4. 현금:
30% 보유
→ 심리적 안정

5. 자동화:
기계적 규칙
→ 감정 배제

워런 버핏:
"공포를 이기는 게 아니라
이용하는 것"

실전:
공포 느껴짐
→ 매수 신호

교훈:
공포는 친구
→ 기회의 신호

→ "공포와 함께 춤을"

Q2: 탐욕은 나쁜 건가요?

탐욕 종류:

나쁜 탐욕:
"더! 더!"
→ 과욕
→ 파산

예시:
빚내서 투자
레버리지 과다
한 종목 올인

좋은 탐욕:
"기회다"
→ 역발상
→ 수익

예시:
공포 시 매수
분산 투자
장기 관점

워런 버핏:
"남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러워라"

조건:
1. 현금 범위 내
2. 분산
3. 저평가 매수

교훈:
탐욕 자체는 중립
→ 타이밍과 방법이 중요

→ "타이밍이 전부"

Q3: 역발상은 항상 맞나요?

현실:
항상 맞지 않음

실패 사례:

1. 낙하하는 칼:
계속 떨어지는 종목
→ 역발상 매수
→ 추가 하락

예시:
한진해운 (2016)
대우조선 (2015)

교훈:
기업이 망하면 끝
→ 펀더멘털 확인 필수

2. 가치 함정:
싸 보이지만 사양 산업

예시:
신문사, 백화점

교훈:
구조적 쇠퇴는 회복 안 됨

올바른 역발상:

조건:
1. 우량 기업
2. 일시적 악재
3. 펀더멘털 건전

예시:
삼성전자 (2020)
애플 (2020)

결과:
1년 내 회복

워런 버핏:
"좋은 기업이 싸게 나왔을 때만
역발상"

→ "역발상 ≠ 무조건 매수"

Q4: 감정 통제가 안 되면?

해결책:

1. 자동 투자:
ETF, 적립식
→ 감정 개입 차단

2. 투자 금지:
감정적일 때
→ 1주일 쉬기

3. 규모 축소:
큰 돈 = 큰 감정
→ 적은 금액부터

4. 전문가 상담:
투자 심리 상담
→ 패턴 인식

5. 시장 이탈:
통제 불가 시
→ 예적금 전환

피터 린치:
"감정 통제 못 하면
투자하지 마라"

워런 버핏:
"기질이 중요하다
IQ 아니다"

현실:
투자는 감정 싸움
→ 90%가 감정
→ 10%가 지식

교훈:
감정 통제 안 되면
→ 인덱스 펀드

→ "솔직함이 미덕"

마치며: 감정이 결과를 만든다

공포와 탐욕의 교훈

투자의 진실:

90% 심리:
재무제표는 누구나 봄
→ 행동이 다름

차이:
같은 정보
다른 감정
다른 결과

워런 버핏:
"투자는 간단하지만
쉽지 않다"

이유:
방법은 단순
실행이 어려움
→ 감정 때문

벤저민 그레이엄:
"투자자의 최대 적은
자기 자신"

역발상:
남들과 반대
→ 심리적으로 고통

하지만:
수익은 고통의 대가

→ "감정이 전부"

실천 지침

공포탐욕 관리 체크리스트:

1단계: 자기 인식
☐ 지금 감정 상태는?
☐ 황홀/공포 느끼나?
☐ FOMO 있나?

2단계: 시장 확인
☐ 공포탐욕지수는?
☐ VIX는?
☐ 예탁금/신용잔고는?

3단계: 규칙 적용
☐ 자동 규칙 있나?
☐ 투자 일기 작성했나?
☐ 체크리스트 확인했나?

4단계: 역발상 판단
☐ 남들과 같은 생각?
☐ 군중 반대편인가?
☐ 펀더멘털은 건전?

5단계: 실행
극단 탐욕 → 익절
극단 공포 → 매수
중립 → 관망

→ "체계가 감정을 이긴다"

마지막 조언

공포탐욕 투자 원칙:

인식:
감정 상태 파악
→ 황홀/공포 감지

대응:
역발상 행동
→ 군중 반대편

규율:
자동 규칙 준수
→ 감정 배제

인내:
장기 관점
→ 단기 무시

학습:
역사 공부
→ "항상 회복"

워런 버핏:
"주식시장은
인내심 없는 사람이
인내심 있는 사람에게
돈을 주는 곳"

찰리 멍거:
"인생은 간단하다
알면서도 못 하는 것"

시작:
오늘부터
→ 감정 일기 작성
→ 공포탐욕지수 확인
→ 자동 규칙 만들기

"시장을 이기는 건
감정을 이기는 것"

다음 글 예고: "과신 편향 - 왜 개미는 항상 잃을까?"


관련 백과사전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