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투자 실전 사례 분석 - 성공과 실패에서 배우는 교훈
· 약 14분
"역사는 반복된다. 특히 레버리지 투자에서는."
1998년 LTCM 파산, 2008년 리먼브라더스 붕괴, 2021년 GameStop 숏 스퀴즈, 2022년 루나 사태. 레버리지로 무너진 천재들, 기관들, 개인들의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역사를 아는 자는 반복하지 않는다." 똑똑한 사람들이 왜 파산했는지, 어떤 실수를 했는지 알면 우리는 같은 길을 피할 수 있습니다.
실전 사례로 배우는 레버리지의 진짜 위험과 교훈을 정리 합니다.
1. 기관 투자자 실패 사례
LTCM 붕괴 (1998)
Long-Term Capital Management
배경:
설립: 1994년
창립자:
- 존 메리웨더 (전 살로먼 브라더스 부회장)
- 마이런 숄즈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로버트 머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세계 최고 금융 천재 집단
초기 성과:
1994년: +20%
1995년: +43%
1996년: +41%
1997년: +17%
→ 연평균 30% 수익 ✅
운용 규모:
1998년: $125B (150조 원)
→ 세계 최대 헤지펀드
전략:
차익거래:
국채 간 가격 차이 이용
→ 매우 작은 수익률 (0.1-0.5%)
→ 레버리지로 증폭
레버리지:
평균: 25배
최대: 50배 ⚠️
→ 극도로 높은 레버리지
자산:
$4.8B 자기자본
$125B 포지션
→ 레버리지 26배
붕괴 과정:
1998년 8월:
러시아 모라토리엄 (채무 불이행)
→ 시장 패닉
→ 차익거래 전략 붕괴
급격한 손실:
8월: -$550M 손실
9월: -$1.9B 추가 손실
→ 한 달에 자본 45% 증발
레버리지 악순환:
손실 → 증거금 부족
→ 강제 청산
→ 가격 폭락
→ 추가 손실 ❌
9월 23일:
FED 주도 구제금융
14개 금융기관 $3.6B 투자
→ 시스템 리스크 방지
결과:
투자자 손실: 100%
파산 청산
→ 5년 만에 전멸 ❌❌
교훈:
1. 천재도 파산한다:
노벨상 수상자들
→ 레버리지로 파산
→ 지능 ≠ 생존
2. 레버리지 25배는 자살:
작은 충격
→ 전액 손실
→ 버틸 수 없음
3. 블랙 스완:
러시아 위기 예측 못 함
→ 모델 무용
→ 현실은 복잡
4. 차익거래 함정:
"위험 없는 수익"
→ 극단적 상황 시 붕괴
→ 안전하지 않음
워런 버핏:
"천재들이 레버리지로
자살했다"
→ "역사적 교훈"
리먼브라더스 파산 (2008)
Lehman Brothers Collapse
배경:
설립: 1850년
역사: 158년 전통
규모: 4위 투자은행
직원: 28,000명
사업 모델:
서브프라임 모기지:
저신용자 주택담보대출
→ 증권화 (MBS)
→ 판매
레버리지:
총 자산: $680B
자기자본: $25B
→ 레버리지 27배 ⚠️⚠️
위험:
부동산 버블:
2006년까지 가격 폭등
→ 주택담보대출 급증
→ 부실 대출 확대
MBS 보유:
$40B 상당 보유
→ 팔리지 않음
→ 대량 재고
숨은 레버리지:
Repo 105 (회계 조작)
→ 실제 레버리지 40배 ❌
붕괴:
2007년 시작:
서브프라임 부실화
→ MBS 가치 하락
→ 손실 발생
2008년 3월:
Bear Stearns 파산
→ 시장 공포 확산
2008년 Q2:
$2.8B 손실 발표
→ 신용등급 하락
→ 자금 조달 어려움
9월 10일:
$3.9B 손실 발표
→ 주가 -45% 폭락
9월 12-14일:
구제금융 협상 실패
→ 정부 지원 없음
→ 파산 불가피
9월 15일:
파산 신청
→ 역사상 최대 파산
→ $613B 부채 ❌❌❌
시스템 붕괴:
글로벌 금융위기:
리먼 파산
→ 신용 경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