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 거래 완벽 가이드 - 코스피200 선물의 모든 것
· 약 20분
"선물로 1,000만 원이 하루 만에 2,000만 원 됐어요!"
코스피200 선물, 증거금 1,500만 원으로 1억 5,000만 원 규모 투자. 레버리지 10배, 하루 만에 100% 수익 가능합니다. 주식보다 빠르고, 양방향 매매로 하락장에서도 수익냅니다.
하지만 **"일일 정산의 공포"**를 아시나요? 매일 저녁 6시, 자동 정산. 증거금 부족하면 다음날 오전 강제청산. 2020년 3월 서킷브레이커 때 선물 투자자 70%가 증거금 부족으로 청산당했습니다.
코스 피 1% 움직이면 내 돈은 10% 움직입니다. 선물 거래의 A부터 Z까지 완벽 해부합니다.
1. 선물이란?
정의
Futures Contract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사고팔 약속
메커니즘:
현재: 계약 체결
미래: 결제 실행
코스피200 선물:
기초자산: KOSPI 200 지수
계약 단위: 지수 × 25만 원
만기: 3개월 (분기별)
예시:
현재 지수: 300
계약 금액: 300 × 25만
= 7,500만 원
증거금: 1,200만 원 (16%)
레버리지: 약 6.25배
원리:
적은 돈으로 큰 계약
→ 수익 극대화
→ 손실 극대화
워런 버핏:
"선물은 대량살상 무기
똑똑한 사람도 파산시킨다"
→ "약속 거래"
쉬운 비유
부동산 계약금:
일반 주식:
집값: 5억 원
→ 5억 원 준비
선물 거래:
집값: 5억 원
계약금: 5,000만 원 (10%)
→ 5,000만 원으로 계약
3개월 후:
집값 6억 원:
차익: 1억 원
투자 대비: +200% ✅
집값 4억 원:
손실: 1억 원
투자 대비: -200% ❌
차이:
계약금만으로 큰 거래
→ 수익/손실 모두 큼
주식 선물도 동일:
증거금: 1,500만 원
계약 규모: 1억 원
레버리지: 약 7배
지수 +10%:
수익: 1,000만 원 (+67%)
지수 -10%:
손실: 1,000만 원 (-67%)
교훈:
작은 움직임이
큰 영향
→ "증거금 거래"
한국 선물 시장
KOSPI200 Futures
기본 정보:
거래소: 한국거래소 (KRX)
거래 시간:
- 정규: 09:00 - 15:45
- 야간: 18:00 - 05:00
만기:
3월, 6월, 9월, 12월
→ 두 번째 목요일
계약 단위:
지수 × 25만 원
예시:
지수 300
→ 계약 금액 7,500만 원
최소 호가:
0.05pt
→ 12,500원 (0.05 × 25만)
일일 제한폭:
±10%
→ 서킷브레이커
거래 증거금:
기본 증거금: 약 12-16%
추가 증거금: 변동성 따라
유지 증거금: 75% 수준
예시 (지수 300):
계약 금액: 7,500만 원
기본 증거금: 1,200만 원
유지 증거금: 900만 원
레버리지:
7,500 / 1,200 = 6.25배
특징:
양방향 거래:
매수 (Long): 상승 베팅
매도 (Short): 하락 베팅
결제 방식:
현금 결제
→ 주식 인수 없음
일일 정산:
매일 18:00 정산
→ 손익 확정
롤오버:
만기 전 다음 월물 이동
→ "국내 대표 선물"
2. 증거금 시스템
증거금의 종류
Margin Types
1. 개시 증거금 (Initial Margin):
정의:
거래 시작 시 필요한 최소 금액
계산:
계약 금액의 12-16%
예시:
계약 금액: 7,500만 원
개시 증거금: 1,200만 원
목적:
거래 시작 자격
2. 유지 증거금 (Maintenance Margin):
정의:
거래 유지 최소 금액
계산:
개시 증거금의 75%
예시:
개시: 1,200만 원
유지: 900만 원
목적:
청산 기준선
3. 추가 증거금 (Additional Margin):
정의:
유지 증거금 미달 시 요구
계산:
개시 증거금까지 보충
예시:
계좌 잔고: 850만 원
유지 증거금: 900만 원
→ 부족 50만 원
요구:
개시까지: 1,200 - 850
= 350만 원 추가 입금
기한:
다음날 오전 8시
→ 미입금 시 강제청산
4. 변동 증거금 (Variation Margin):
정의:
일일 정산 후 증감
예시:
초기 증거금: 1,200만 원
일일 손익: +100만 원
정산 후: 1,300만 원
일일 손익: -100만 원
정산 후: 1,100만 원
→ 매일 변동
→ "4가지 증거금"
증거금 계산
Margin Calculation
실전 계산:
계약 조건:
KOSPI200 지수: 300
계약 금액: 300 × 25만
= 7,500만 원
개시 증거금 (16%):
7,500만 × 16%
= 1,200만 원
유지 증거금 (75%):
1,200만 × 75%
= 900만 원
시나리오 1: 상승 (+5pt)
지수: 300 → 305
변동: +5pt
금액: 5 × 25만 = 125만 원
증거금:
1,200 + 125 = 1,325만 원
→ 안전 ✅
시나리오 2: 하락 (-10pt)
지수: 300 → 290
변동: -10pt
금액: -10 × 25만 = -250만 원
증거금:
1,200 - 250 = 950만 원
→ 유지 (900만) 이상 ✅
시나리오 3: 급락 (-15pt)
지수: 300 → 285
변동: -15pt
금액: -15 × 25만 = -375만 원
증거금:
1,200 - 375 = 825만 원
→ 유지 (900만) 미달 ⚠️
추가 증거금:
1,200 - 825 = 375만 원
기한: 다음날 오전 8시
미입금 시:
오전 강제 청산 ❌
시나리오 4: 폭락 (-30pt)
지수: 300 → 270
변동: -30pt
금액: -30 × 25만 = -750만 원
증거금:
1,200 - 750 = 450만 원
→ 대폭 미달 ❌❌
손실:
원금 대비 -62.5%
추가 요구:
750만 원
미입금 시:
즉시 강제청산
교훈:
지수 -10%:
손실 -62.5%
→ 레버리지 6.25배
지수 -15%:
추가 증거금 요구
지수 -20%:
강제 청산 위험
→ "작은 움직임이 치명적"
3. 일일 정산 (Daily Settlement)
메커니즘
Daily Mark-to-Market
원리:
매일 18:00 자동 정산
과정:
1. 정산가 결정:
15:45 종가 기준
→ 정산가 확정
2. 손익 계산:
(정산가 - 전일 정산가) × 계약 단위
3. 계좌 반영:
손익 즉시 입출금
→ 현금화
4. 증거금 확인:
유지 증거금 충족 여부
→ 부족 시 추징
예시:
월요일:
진입 지수: 300
증거금: 1,200만 원
월요일 정산 (305):
손익: +5pt × 25만 = +125만
계좌: 1,200 + 125 = 1,325만 ✅
화요일 정산 (303):
손익: -2pt × 25만 = -50만
계좌: 1,325 - 50 = 1,275만 ✅
수요일 정산 (295):
손익: -8pt × 25만 = -200만
계좌: 1,275 - 200 = 1,075만 ✅
목요일 정산 (285):
손익: -10pt × 25만 = -250만
계좌: 1,075 - 250 = 825만
→ 유지 (900만) 미달 ⚠️
추가 증거금 요구:
375만 원
기한: 금요일 오전 8시
금요일 미입금:
오전 9 시 강제청산 ❌
정산 가격:
285 × 25만 = 7,125만
손실 확정: -375만 원
특징:
1. 자동 실행:
사람 개입 없음
→ 시스템 처리
2. 매일 확정:
손익 매일 현금화
→ 미실현 없음
3. 연쇄 효과:
증거금 부족
→ 강제 청산
→ 추가 하락
→ 더 많은 청산
→ "매일 결산"
추가 증거금
Margin Call in Futures
발생 조건:
유지 증거금 미달:
계좌 잔고 < 900만 원
통보:
시점:
일일 정산 직후 (18:30)
방법:
문자, 앱 알림, 이메일
내용:
"유지증거금 부족
375만 원 추가 입금
기한: 내일 오전 8시"
대응 방법:
방법 1: 추가 입금
현금 입금: 375만 원
→ 포지션 유지
장점:
포지션 유지
→ 반등 기회
단점:
추가 손실 가능
방법 2: 포지션 축소
일부 청산
→ 증거금 확보
예시:
2계약 보유
→ 1계약 청산
→ 증거금 부담 절반
장점:
리스크 감소
단점:
수익 기회 절반
방법 3: 전량 청산
손절 결정
→ 모든 포지션 청산
장점:
추가 손실 방지
심리적 부담 제거
단점:
손실 확정
방법 4: 무시
아무 조치 없음
결과:
다음날 오전 9시
강제 청산 ❌
손실:
최악의 가격에 청산
→ 추가 손실 가능
실패 사례:
투자자 A:
초기 증거금: 1,200만 원
지수 하락: -20pt
손실: -500만 원
잔고: 700만 원
→ 추가 요구 500만 원
대응:
"내일 오를 거야"
→ 미입금
다음날:
추가 하락 -5pt
강제 청산: 285
총 손실: -625만 원
만약 청산했다면:
손실: -500만 원
차이: 125만 원
교훈:
무시는 최악
→ 즉시 대응
워런 버핏:
"추징은 경고
무시하면 파산"
→ "즉시 조치"
4. 선물 거래 전략
롱 포지션 (Long)
상승 베팅
전략:
지수 상승 예상
→ 선물 매수
메커니즘:
매수 체결:
지수 300에 매수
계약 금액: 7,500만 원
증거금: 1,200만 원
목표:
지수 310 (+10pt)
수익: 10pt × 25만 = 250만
ROI: 250 / 1,200 = +20.8% ✅
손절:
지수 295 (-5pt)
손실: 5pt × 25만 = 125만
ROI: -10.4%
실전 예시:
2023년 1월:
중국 리오프닝
→ 상승 확신
진입:
지수 290 매수
증거금: 1,200만 원
1주일 후:
지수 305 (+15pt)
익절:
수익: 15pt × 25만 = 375만
ROI: +31.3% ✅
vs 현물:
현물 투자: 7,500만 원
수익: +5.2%
차이: 6배
리스크:
하락 시:
-15pt 하락
손실: -375만 원 (-31.3%)
강제 청산:
-25pt 하락
증거금 소진 ❌
관리 원칙:
1. 손절 명확:
-5pt 손절
→ 손실 -10%
2. 익절 빠르게:
+10pt 익절
→ 수익 +20%
3. 보유 제한:
최대 1주일
→ 일일 정산 부담
→ "상승 베팅"
숏 포지션 (Short)
하락 베팅
전략:
지수 하락 예상
→ 선물 매도
메커니즘:
매도 체결:
지수 300에 매도
계약 금액: 7,500만 원
증거금: 1,200만 원
목표:
지수 290 (-10pt)
수익: 10pt × 25만 = 250만
ROI: +20.8% ✅
손절:
지수 305 (+5pt)
손실: 5pt × 25만 = 125만
ROI: -10.4%
실전 예시:
2022년 금리 인상:
하락 확신
진입:
지수 310 매도
증거금: 1,200만 원
2주 후:
지수 290 (-20pt)
익절:
수익: 20pt × 25만 = 500만
ROI: +41.7% ✅✅
vs 인버스 ETF:
ETF 투자: 1,200만 원
수익 기대: -20% × 2배 = +40%
실제: +35% (복리 효과)
차이: 선물이 유리
리스크:
상승 시:
+20pt 상승
손실: -500만 원 (-41.7%)
강제 청산:
+25pt 상승
증거금 소진 ❌
위험:
무한 상승 가능:
이론상 제한 없음
→ 손실 무한대
서킷브레이커:
급등 시 거래 중단
→ 빠져나올 기회 없음
2020년 3월:
코로나 반등
→ 숏 투자자 대량 청산
관리 원칙:
1. 손절 더 빠르게:
+3pt 손절
→ 롱보다 엄격
2. 익절 목표 명확:
-10pt 익절
→ 욕심 금지
3. 비중 작게:
롱의 50%만
→ 리스크 통제
워런 버핏:
"숏은 위험하다
롱이 더 쉽다"
이유:
장기 우상향 추세
→ "하락 베팅"
헤지 전략
Portfolio Hedging
목적:
보유 주식 방어
구조:
보유 자산:
주식 포트폴리오: 1억 원
헤지:
선물 매도: 1계약
증거금: 1,200만 원
효과:
주식 -10%:
포트폴리오: -1,000만 원
선물 수익:
지수 -10% = -30pt
수익: 30pt × 25만 = 750만
순손실:
-1,000 + 750 = -250만 (-2.5%)
완벽 헤지:
베타 1.0 가정:
주식과 지수 동일 움직임
→ 70-80% 헤지
베타 1.2 (변동성 큼):
헤지 비율 증가
→ 1.2계약 필요
실전 예시:
2022년 9월:
금리 인상 우려
→ 단기 하락 예상
보유:
삼성전자 + 네이버: 1억 원
→ 장기 보유 계획
→ 팔고 싶지 않음
헤지:
선물 1계약 매도
증거금: 1,200만 원
1개월 후:
지수 -15%
포트폴리오: -1,500만
선물 수익:
45pt × 25만 = 1,125만
순손실:
-375만 (-3.75%)
vs 미헤지:
-1,500만 (-15%)
차이: 1,125만 절감 ✅
해제:
하락 끝난 후
선물 포지션 청산
→ 주식 보유 지속
비용:
증거금: 1,200만 원 (일시)
수수료: 5만 원/계약
→ 총 비용 적음
vs 인버스 ETF:
장기 보유 비용 높음
→ 선물이 유리
주의:
상승 시:
포트폴리오: +1,000만
선물 손실: -750만
순수익: 250만 (+2.5%)
→ 상승 포기
기회비용 있음
적용:
단기 하락 예상:
선물 헤지 유리
장기 보유:
매도 후 재매수
→ 헤지 불필요
→ "방어 전략"
5. 롤오버 (Rollover)
만기 이월
Contract Rollover
만기 구조:
KOSPI200 선물:
3월, 6월, 9월, 12월
→ 두 번째 목요일
보유 계약:
12월물 보유
만기: 12월 14일
계속 보유 원할 때:
롤오버 필요
과정:
1. 12월물 청산:
만기 전 매도
→ 포지션 종료
2. 3월물 매수:
다음 만기 매수
→ 포지션 재개
3. 가격 차이:
근월물 vs 원월물
→ 스프레드 발생
예시:
12월 10일:
12월물: 300.00
3월물: 302.00
→ 스프레드 +2.00pt
롤오버:
12월물 매도: 300.00
3월물 매수: 302.00
비용:
2pt × 25만 = 50만 원
손익:
롤오버 후 기준가
3월물 302.00 시작
비용 구조:
정상 시장 (Contango):
원월물 > 근월물
→ 롤오버 비용 +
역조 시장 (Backwardation):
근월물 > 원월물
→ 롤오버 수익 +
한국 시장:
대부분 Contango
→ 롤오버 비용 있음
연간 비용:
연 4회 × 0.5-1pt
→ 연 2-4pt
→ 약 50-100만 원/계약
장기 보유 영향:
3개월 보유:
롤오버 1회
비용: 50만 원
→ 수익률 -4%
1년 보유:
롤오버 4회
비용: 200만 원
→ 수익률 -16% ⚠️
교훈:
장기 보유 시
비용 누적
대안:
장기는 현물
단기는 선물
자동 롤오버:
일부 증권사:
자동 롤오버 서비스
→ 만기 전 자동 이월
수수료:
별도 청구
주의:
스프레드 확인 필수
워런 버핏:
"롤오버 비용은
장기 투자의 독"
→ "만기 관리 필수"
만기일 주의사항
Expiration Day
만기일:
두 번째 목요일
특징:
1. 높은 변동성:
만기일 전후
→ 급등락 가능
2. 롤오버 집중:
대량 포지션 이동
→ 가격 왜곡
3. 현물 영향:
차익거래 청산
→ 주식 시장 변동
대응:
전문 투자자:
만기일 회피
→ 1주 전 청산
초보 투자자:
만기 2주 전 청산
→ 안전
미청산 시:
자동 청산:
만기일 15:45
→ 정산가로 자동 청산
손익:
(정산가 - 진입가) × 계약단위
결제:
현금 결제
→ 주식 인수 없음
2020년 원유 선물 사태:
WTI 원유 선물:
만기일 가격 -$40
→ 역사상 첫 마이너스
원인:
물리적 인수 필요
→ 저장 공간 없음
→ 패닉 매도
피해:
선물 투자자 청산
→ 대량 손실
교훈:
실물 인수 선물 조심
→ KOSPI200은 현금결제 (안전)
만기일 전략:
원칙 1: 조기 청산
만기 2주 전
→ 변동성 회피
원칙 2: 롤오버 계획
계속 보유 시
→ 1주 전 이월
원칙 3: 주의 관찰
만기일 전후
→ 거래 자제
→ "만기 관리"
6. 위험과 리스크
레버리지 리스크
Leverage Risk
레버리지 6-7배:
지수 변동:
+1% → 수익 +6%
-1% → 손실 -6%
+10% → 수익 +60%
-10% → 손실 -60%
+15% → 수익 +90%
-15% → 손실 -90%
+17% → 증거금 소진 ❌
위험 계산:
증거금: 1,200만 원
계약 금액: 7,500만 원
지수 -17%:
손실: 7,500만 × 17%
= 1,275만 원
→ 증거금 초과 ❌
추가 청구:
75만 원 추가 손실
→ 빚
실제 사례:
2020년 3월 코로나:
하루 -8% 폭락
선물 롱:
손실: -48% (하루)
→ 대량 청산
서킷브레이커:
거래 중단
→ 빠져나올 기회 없음
재개 후:
추가 하락
→ 증거금 소진
피해:
선물 투자자 70% 청산
평균 손실: -60%
교훈:
극단적 변동성
→ 선물은 치명적
대응:
1. 보수적 레버리지:
실제 레버리지 3-4배
→ 증거금 2배 보유
2. 손절 철저:
-3% 손절
→ 손실 -18%
3. 변동성 주의:
VIX 20 이상 시
→ 거래 중단
워런 버핏:
"레버리지 7배는
파산 확률 70%"
→ "극도로 위험"
일일 정산 리스크
Daily Settlement Risk
위험:
매일 현금 필요
시나리오:
초기 증거금: 1,200만 원
추가 자금: 없음
Day 1: -100만 원
잔고: 1,100만 원 ✅
Day 2: -150만 원
잔고: 950만 원 ✅
Day 3: -200만 원
잔고: 750만 원
→ 유지 (900만) 미달 ⚠️
추가 요구: 450만 원
현금 없음:
강제 청산 ❌
총 손실: -450만 원
만약 Day 4 반등:
+300만 원
but 이미 청산됨:
반등 못 봄 ❌
교훈:
일시 변동으로 청산
→ 현금 필요
vs 주식 신용거래:
일일 정산 없음
→ 버틸 수 있음
대응:
비상금 필수:
증거금의 50%
→ 600만 원 추가
예시:
증거금: 1,200만
비상금: 600만
총: 1,800만 원 준비
여유:
-50% 하락까지 버팀
레버리지 축소:
실제 3-4배
→ 안전마진
워런 버핏:
"현금이 왕
선물에선 더욱"
→ "현금 필수"
시스템 리스크
System Risk
위험 1: 서킷브레이커
조건:
±5% 또는 ±10% 도달
→ 거래 중단
문제:
포지션 청산 불가
→ 갇힘
2020년 사례:
3월 연속 서킷브레이커
→ 매도 못 함
→ 추가 하락
교훈:
극단적 장세 회피
위험 2: 시스템 장애
HTS 먹통:
서버 과부하
→ 거래 불가
2020년 3월:
접속 폭주
→ 매매 지연
피해:
매도 못 함
→ 손실 확대
대응:
HTS + MTS 병행
위험 3: 갭 리스크
야간 뉴스:
미국 폭락
→ 다음날 갭 하락
예시:
종가: 300
다음날 시가: 280
→ 갭 -20pt
손실:
-20pt × 25만 = -500만
→ 손절가 무용
대응:
야간 선물 이용
→ 24시간 거래
위험 4: 강제 청산 가격
최악의 가격:
패닉 시장
→ 스프레드 확대
예시:
매도호가: 295
매수호가: 285
→ 10pt 차이
강제 청산:
285에 매도
→ 10pt 추가 손실
대응:
조기 손절
→ 강제 청산 회피
→ "시스템 위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