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PBR이란? - 주식이 비싼지 싼지 판단하는 법
· 약 7분
"삼성전자 PER 10배, 카카오 PBR 3배" 주식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인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PER과 PBR은 주식이 비싼지 싼지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입니다. 이 두 가지만 알아도 주식 투자의 절반은 이해한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PER과 PBR을 설명합니다.
PER이란?
기본 개념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 (EPS)
-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대비 주가 수준
- "이 회사 주식을 사면 몇 년 만에 본전 뽑을까?"
공식:
PER = 주가 ÷ EPS (주당순이익)
쉬운 예시
삼성전자 (2024년):
- 주가: 70,000원
- 연간 순이익: 35조원
- 발행 주식 수: 50억 주
- EPS = 35조 ÷ 50억 = 7,000원
- PER = 70,000원 ÷ 7,000원 = 10배
의미: 삼성전자 주식을 사면 10년 후 본전
PER 판단 기준
| PER | 평가 | 의미 |
|---|---|---|
| 0~5배 | 매우 저평가 | 초저가, 위험 신호 가능 |
| 5~10배 | 저평가 | 싸다, 매수 기회 |
| 10~15배 | 적정가 | 보통 |
| 15~20배 | 약간 고평가 | 성장성 반영 |
| 20배 이상 | 고평가 | 비싸다, 성장주 or 버블 |
한국 시장 평균 PER: 10~12배
PER 실전 예시
케이스 1: 삼성전자 (PER 10배)
- 주가: 70,000원
- EPS: 7,000원
- 평가: 적정가
- 판단: 안정적 투자
케이스 2: 네이버 (PER 30배)
- 주가: 180,000원
- EPS: 6,000원
- 평가: 고평가
- 판단: 성장성 반영 or 버블
케이스 3: 적자 기업 (PER 계산 불가)
- 주가: 50,000원
- EPS: -2,000원 (적자)
- 평가: PER 음수 → 의미 없음
- 판단: 다른 지표 활용
PBR이란?
기본 개념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주당순자산 (BPS)
- 회사가 망해도 남는 자산 대비 주가
- "이 회사가 문 닫으면 내 돈 얼마나 돌려받을까?"
공식:
PBR = 주가 ÷ BPS (주당순자산)
쉬운 예시
현대차 (2024년):
- 주가: 200,000원
- 순자산 (자기자본): 100조원
- 발행 주식 수: 5억 주
- BPS = 100조 ÷ 5억 = 200,000원
- PBR = 200,000원 ÷ 200,000원 = 1배
의미: 현대차가 망해서 모든 자산을 팔면 주주들이 투자금 100% 회수
PBR 판단 기준
| PBR | 평가 | 의미 |
|---|---|---|
| 0~0.5배 | 극도 저평가 | 망할 위험 or 대박 기회 |
| 0.5~1배 | 저평가 | 싸다, 청산가치 이하 |
| 1~2배 | 적정가 | 보통 |
| 2~3배 | 약간 고평가 | 브랜드, 성장성 반영 |
| 3배 이상 | 고평가 | 비싸다, 기술주 or 버블 |
한국 시장 평균 PBR: 0.8~1.0배
PBR 실전 예시
케이스 1: 현대차 (PBR 1.0배)
- 주가: 200,000원
- BPS: 200,000원
- 평가: 적정가
- 판단: 안정적
케이스 2: 카카오 (PBR 3.0배)
- 주가: 60,000원
- BPS: 20,000원
- 평가: 고평가
- 판단: 기술력, 브랜드 가치 반영
케이스 3: 부실 기업 (PBR 0.3배)
- 주가: 3,000원
- BPS: 10,000원
- 평가: 극도 저평가
- 판단: 망할 위험 높음 or 턴어라운드 기대
PER vs PBR 비교
| 구분 | PER | PBR |
|---|---|---|
| 측정 대상 | 이익 | 자산 |
| 적합한 기업 | 수익 안정적 | 자산 많은 기업 |
| 성장주 | 적합 | 부적합 |
| 가치주 | 부적합 | 적합 |
| 적자 기업 | 사용 불가 | 사용 가능 |
| 한국 평균 | 10~12배 | 0.8~1.0배 |
교훈: PER과 PBR 둘 다 봐야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