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vs 월세 vs 집 구매 - 평생 비용 완전 비교
· 약 10분
"전세 사는 게 나을까, 월세가 나을까, 아니면 대출받아서라도 집을 사야 할까?"
30년 동안 주거비로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나 될까요? 선택에 따라 최대 5억 원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로 30년간의 총비용을 계산해보고, 어떤 선택이 유리한지 알아봅시다.
1. 기본 가정
시뮬레이션 조건
서울 25평 아파트 기준
2024년 기준 가격:
- 매매가: 10억 원
- 전세가: 7억 원
- 월세: 보증금 1억 + 월 150만 원
기타 조건:
- 투자 기간: 30년
- 투자 수익률: 연 5%
- 주택 가격 상승률: 연 3%
- 전세가 상승률: 연 2%
- 월세 상승률: 연 2%
- 소득: 연 7,200만 원 (월 600만 원)
2. 케이스 1: 집 구매
초기 비용
자금 조달
총 매매가: 10억 원
자기자본: 5억 원 (50%)
주택담보대출: 5억 원
초기 비용:
- 계약금: 1억 원
- 중도금: 4억 원
- 취득세: 약 1,200만 원
- 등기비용: 약 300만 원
- 중개수수료: 약 360만 원
총 초기 투입: 5억 1,860만 원
월 유지 비용 (30년간)
대출 상환
5억 원 대출, 금리 4%, 30년:
월 상환액: 239만 원
총 상환액: 8억 6,040만 원
- 원금: 5억 원
- 이자: 3억 6,040만 원
기타 비용
연간 비용:
- 재산세: 120만 원
- 관리비: 240만 원 (월 20만 원)
- 수리비: 100만 원 (평균)
연간 합계: 460만 원
30년 합계: 1억 3,800만 원
30년 후 정산
총 지출
초기 투입: 5억 1,860만 원
30년 대출 상환: 8억 6,040만 원
30년 유지비: 1억 3,800만 원
총 지출: 15억 1,700만 원
자산 가치
초기 매매가: 10억 원
30년 후 (연 3% 상승): 24억 2,700만 원
순자산: 24억 2,700만 원
실제 비용: 15억 1,700만 원
차액: +9억 1,000만 원
기회비용 고려
초기 5억 원을 투자했다면?
30년 후 (연 5% 복리): 21억 6,500만 원
실제 차액:
24억 2,700만 원 - 21억 6,500만 원
= 2억 6,200만 원
→ 집 구매가 +2억 6,200만 원 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