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표 - 이익은 거짓말해도 현금은 안 한다
· 약 9분
"흑자인데 부도 났다고?"
손익계산서엔 이익이 수백억인데 회사가 망하는 일이 실제로 벌어집니다. 이익은 회계상 숫자지만, 현금은 실제입니다.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진짜 건강을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이익 조작은 가능해도 현금 조작은 어렵습니다. 흑자도산의 비밀과 진짜 돈의 흐름을 추적합니다.
1. 현금흐름표란?
정의
Cash Flow Statement
일정 기간 현금의 유입과 유출
구성:
1. 영업활동 현금흐름
2. 투자활동 현금흐름
3. 재무활동 현금흐름
목적:
현금 변동 내역 파악
→ 실제 자금 상황
vs 손익계산서:
손익 = 회계상 이익
현금 = 실제 돈
→ "진실의 장부"
쉬운 비유
개인 가계부:
급여: +300만 원 (영업)
주식 매도: +100만 원 (투자)
대출: +200만 원 (재무)
생활비: -200만 원 (영업)
부동산 매입: -300만 원 (투자)
대출 상환: -50만 원 (재무)
순변동:
300-200+100-300+200-50
= +50만 원
기업도 마찬가지:
영업, 투자, 재무로 구분
→ 현금 순변동 추적
→ "돈의 이동 경로"
손익 vs 현금
이익과 현금의 차이
손익계산서:
매출 100억 (발생주의)
→ 외상 포함
→ 현금 안 들어옴
현금흐름표:
실제 받은 돈만 계상
→ 외상 제외
예시:
상황:
매출 100억 (외상 50억)
→ 손익: 매출 100억
→ 현금: 유입 50억
비용:
인건비 30억 (현금 지급)
재료비 40억 (외상 20억)
→ 손익: 비용 70억
→ 현금: 유출 50억
결과:
손익: 이익 30억
현금: 변동 0
위험:
이익 나도 현금 없음
→ 흑자도산 가능
→ "이익 ≠ 현금"
2. 영업활동 현금흐름
정의와 계산
Operating Cash Flow (OCF)
본업에서 벌어들인 현금
계산:
순이익
+ 비현금비용 (감가상각 등)
- 운전자본 증가
+ 운전자본 감소
간단히:
영업으로 실제 번 돈
예시:
순이익: 10억
감가상각: 5억
매출채권 증가: -3억
재고자산 증가: -2억
매입채무 증가: +2억
OCF = 10+5-3-2+2 = 12억
의미:
본업에서 12억 현금 창출
→ "진짜 벌이"
중요성
가장 중요한 지표
워런 버핏:
"영업현금흐름이
순이익보다 중요하다"
이유:
1. 조작 어려움:
이익은 조작 가능
현금은 조작 불가
2. 실제 가치:
현금이 진짜 자산
이익은 장부상
3. 배당 원천:
현금으로 배당
이익으론 불가
4. 투자 재원:
현금으로 재투자
성장 동력
기준:
OCF > 순이익
→ 건강한 기업
OCF < 순이익
→ 위험 신호
→ "현금이 왕"
3. 투자활동 현금흐름
정의
Investing Cash Flow (ICF)
투자로 인한 현금 변동
유출 (마이너스):
- 설비 투자 (CAPEX)
- 지분 투자
- 부동산 매입
유입 (플러스):
- 자산 매각
- 투자금 회수
예시:
공장 신축: -50억
자회사 매각: +30억
ICF = -50+30 = -20억
해석:
20억 투자 집행
정상 기업:
ICF 마이너스
→ 성장 위한 투자
→ "미래를 위한 지출"
CAPEX
Capital Expenditure
설비 투자 지출
공식:
CAPEX = 유형자산 증가 + 감가상각
중요성:
- 성장 동력
- 경쟁력 유지
- 업종별 차이
업종별 CAPEX:
제조업:
매출의 5-10%
→ 설비 필수
IT:
매출의 1-3%
→ 설비 경량
유통:
매출의 2-5%
→ 점포 투자
판단:
CAPEX 과다
→ 수익성 악화 위험
CAPEX 과소
→ 경쟁력 저하
→ "투자의 균형"
4. 재무활동 현금흐름
정의
Financing Cash Flow (FCF)
자금 조달/상환 활동
유입 (플러스):
- 차입금 증가
- 유상증자
- 사채 발행
유출 (마이너스):
- 차입금 상환
- 배당금 지급
- 자사주 매입
예시:
은행 대출: +30억
배당 지급: -10억
자사주 매입: -5억
FCF = 30-10-5 = +15억
해석:
15억 순차입
패턴:
성장기: FCF 플러스 (자금 조달)
성숙기: FCF 마이너스 (주주 환원)
→ "돈의 출처"
배당과 자사주
주주 환원 정책
배당금 지급:
현금흐름:
FCF 마이너스
→ 현금 유출
영향:
현금 감소
but 주주 만족
판단:
배당성향 30-50%
→ 적정
배당성향 80%+
→ 과도 (재투자 부족)
자사주 매입:
현금흐름:
FCF 마이너스
→ 현금 유출
효과:
주가 상승
EPS 증가
판단:
자사주 < 영업현금
→ 적정
자사주 > 영업현금
→ 과도 (차입 필요)
→ "주주냐 성장이냐"
5. 잉여현금흐름 (FCF)
정의
Free Cash Flow
주주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
공식:
FCF = 영업현금흐름 - CAPEX
= OCF - 투자지출
예시:
영업현금: 100억
CAPEX: 40억
FCF = 100 - 40 = 60억
의미:
본업 벌어서
필수 투 자 후
→ 60억 남음
용도:
- 배당
- 자사주
- 추가 투자
- 차입금 상환
워런 버핏:
"FCF가 진짜 가치"
→ "진정한 잉여"
FCF 마진
수익성 지표
FCF Margin:
공식:
FCF / 매출 × 100
예시:
매출 1,000억
FCF 100억
→ FCF 마진 10%
의미:
매출 100억당
10억 현금 창출
업종별:
우수:
- 소프트웨어: 20-30%
- 플랫폼: 15-25%
보통:
- 제조: 5-10%
- 유통: 3-5%
부진:
- 항공: 0-5%
- 건설: 1-3%
판단:
FCF 마진 높을수록
→ 현금 창출 능력 우수
→ "진짜 수익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