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2008년 금융위기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 약 6분
silkroad
go to happy

"신용등급 낮은 사람들에게 집을 사라고 대출해줬더니 세계 경제가 무너졌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미국 부동산 버블 붕괴에서 시작해 리먼브라더스 파산, 전 세계 금융 시스템 붕괴로 이어진 최악의 금융위기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무엇인지, 왜 위기가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극복했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란?

기본 개념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

  • 신용등급 낮은 사람에게 주는 주택담보대출
  • Prime (우량) 이하 = Subprime (비우량)
  • 높은 금리, 높은 위험

신용등급 분류:

  • Prime (프라임): 신용점수 660 이상
  • Subprime (서브프라임): 신용점수 660 미만
  • 부실 가능성 높음

정상 vs 서브프라임

구분프라임서브프라임
신용점수660+660 미만
금리5%8~12%
부실률2%20%
대출 심사엄격완화
상환 능력검증됨의심됨

서브프라임 위기 발생 배경

2000년대 초반: 완벽한 폭풍

1. 낮은 금리

  • 2001~2004년 기준금리 1%
  • 대출 받기 쉬움
  • 집값 상승

2. 부동산 버블

  • 2000~2006년 집값 2배 상승
  • "집값은 항상 오른다"
  • 투기 열풍

3. 대출 규제 완화

  • 소득 증명 불필요
  • NINJA 론 (No Income, No Job, No Assets)
  • 무분별한 대출

4. 금융 상품 혁신

  • MBS (주택담보대출증권)
  • CDO (부채담보부증권)
  • 리스크 분산(?)

NINJA 론의 광기

NINJA = No Income, No Job, No Assets

  • 소득 없음, 직업 없음, 자산 없음
  • 그래도 대출 승인
  • "집값 오르면 괜찮아"

예시:

  • 연봉: $30,000 (3,600만원)
  • 집값: $500,000 (6억원)
  • 대출: $500,000 승인
  • 15년 치 연봉으로 집 구매

금융 상품의 마법 (?)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

개념:

  • 주택담보대출을 모아서 증권화
  • 투자자에게 판매
  • 이자 수익 배분

예시:

  1. 은행이 1,000명에게 대출
  2. 1,000개 대출을 묶어서 증권 발행
  3. 투자자에게 판매
  4. 은행은 리스크 떠넘김

문제:

  • 서브프라임 대출도 섞임
  • 위험성 숨김

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개념:

  • MBS를 다시 묶어서 증권화
  • 등급을 나눠서 판매
  • AAA (최우량) ~ BB (투기등급)

문제:

  • 서브프라임 대출을 AAA로 둔갑
  • 신용평가사 담합
  • 시한폭탄

예시:

서브프라임 대출 (위험)
→ MBS (약간 위험?)
→ CDO (AAA 우량??)
→ 투자자 매수

2007년: 위기의 시작

집값 하락 시작

2006년 정점:

  • 미국 집값 역사적 최고
  • "더 이상 오를 곳 없음"

2007년 초:

  • 집값 하락 시작
  • 처음엔 무시

서브프라임 대출자 파산

연쇄 반응:

  1. 집값 하락
  2. 대출자 상환 불가
  3. 집 압류
  4. 집 더 팔림 → 집값 더 하락
  5. 반복

2007년 중반:

  • 서브프라임 대출 부실률 20%
  • 경고 신호

금융 회사 위기

Bear Stearns 헤지펀드 파산 (2007년 7월)

  • 서브프라임 MBS 투자
  • 가치 폭락
  • 펀드 파산
  • 첫 경고

2008년: 금융시스템 붕괴

3월: Bear Stearns 구제

Bear Stearns (베어스턴스)

  • 미국 5위 투자은행
  • 파산 직전
  • JP Morgan이 헐값에 인수
  • 정부 지원

9월 7일: 패니메이, 프레디맥 국유화

Fannie Mae & Freddie Mac

  • 미국 주택담보대출 50% 보증
  • 부실 심각
  • 정부 국유화
  • 5,000억 달러 투입

9월 15일: 리먼브라더스 파산

Lehman Brothers

  • 미국 4위 투자은행
  • 158년 역사
  • 6,000억 달러 자산
  • 정부 구제 거부
  • 파산

역사상 최대 파산:

  • 부채: 6,130억 달러
  • 직원 2만 5천명 해고
  • 전 세계 충격

9월 16일: AIG 구제

AIG (American International Group)

  • 세계 최대 보험사
  • CDS (신용부도스와프) 과다 판매
  • 파산 직전
  • 정부 850억 달러 구제금융

9월~10월: 전 세계 공황

주가 폭락:

  • 다우지수 14,000 → 6,500 (-54%)
  • 나스닥 -50%
  • 코스피 2,000 → 900 (-55%)

은행 파산:

  • 미국 500개 은행 파산
  • 유럽 은행들 위기

신용 경색:

  • 은행이 서로 불신
  • 대출 중단
  • 기업 도산 위험

정부 대응: 구제금융

미국 정부

TARP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

  • 7,000억 달러 투입
  • 부실 은행 구제
  • 자동차 회사 구제 (GM, 크라이슬러)

연준 (FED)

  • 기준금리 0%로 인하
  • 양적완화 (QE) 4조 달러
  • 금융 시스템 유동성 공급

전 세계 대응

각국 정부:

  • 구제금융 수조 달러
  • 금리 인하
  • 재정 확대

G20 정상회의:

  • 공조 대응
  • 보호무역 반대
  • 금융 규제 강화

위기의 영향

경제적 피해

미국:

  • 실업률 10%
  • GDP -4%
  • 600만 명 실업
  • 집값 -30%

전 세계:

  • GDP -2% (세계 평균)
  • 무역 -12%
  • 실업자 3,000만 명

사회적 영향

노숙자 증가:

  • 집 압류 600만 건
  • 텐트촌 증가

자살률 증가:

  • 실직, 파산
  • 정신 건강 악화

정치적 영향

오바마 당선 (2008년 11월)

  • "Change" 슬로건
  • 경제 회복 공약

월가 시위 (2011년)

  • "우리는 99%다"
  • 빈부격차 항의

위기 극복

2009~2010년: 회복 시작

정부 개입 효과:

  • 은행 시스템 안정
  • 신용 경색 해소
  • 경기 바닥 탈출

2009년 3월:

  • 주가 바닥
  • 이후 반등 시작

2010년대: 장기 회복

주가 회복:

  • 다우지수 2013년 최고점 회복
  • 2020년까지 10년 강세장

실업률 개선:

  • 2009년 10% → 2019년 3.5%

부동산 회복:

  • 2012년부터 집값 상승
  • 2016년 위기 전 수준 회복

서브프라임 위기의 원인

1. 탐욕

금융회사:

  • 수수료 수익에 집착
  • 리스크 무시
  • 부실 대출 양산

신용평가사:

  • 돈 받고 AAA 등급
  • 담합

2. 규제 완화

정부:

  • 금융 규제 완화
  • 대출 심사 완화
  • 감독 부실

3. 시스템 리스크

금융 혁신(?):

  • MBS, CDO로 리스크 확산
  • 한 곳 무너지면 모두 무너짐
  • "Too Big to Fail"

4. 비이성적 과열

투자자:

  • "집값은 항상 오른다"
  • 기본 분석 무시
  • 투기

교훈과 개혁

금융 규제 강화

도드-프랭크법 (2010):

  • 은행 자본 규제
  • 소비자 보호
  • 시스템 리스크 감독

바젤III:

  • 국제 은행 자본 규제
  • 레버리지 제한

중앙은행 역할

교훈:

  • 조기 개입 필요
  • 유동성 공급
  • "Too Big to Fail" 해결

개인 교훈

투자자:

  • 빚내서 투자 위험
  • 버블 조심
  • 분산 투자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왜 발행했나요?

A. 은행들이 수수료 수익을 올리기 위해 무분별하게 대출했고, MBS/CDO로 리스크를 떠넘길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Q2. 리먼브라더스는 왜 구제하지 않았나요?

A. 정부가 모럴 해저드를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실수였고, 이후 AIG 등은 구제했습니다.

Q3. 2008년 위기는 대공황보다 심각했나요?

A. 아니요, 대공황보다는 덜 심각했습니다. 정부의 신속한 대응으로 2년 만에 회복했습니다.

Q4. 한국도 영향을 받았나요?

A. 네, 코스피가 -55% 폭락했고, 환율이 1,500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외환보유액 덕분에 IMF는 피했습니다.

Q5. 서브프라임 위기는 다시 올 수 있나요?

A. 동일한 형태는 어렵지만, 유사한 버블과 위기는 언제든 가능합니다. 2020년 코로나가 그 예입니다.

Q6. 누가 책임자인가요?

A. 은행, 신용평가사, 정부, 투자자 모두 책임이 있습니다. 하지만 형사 처벌받은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Q7. 서브프라임 위기로 부자가 된 사람도 있나요?

A. 네, 영화 "빅쇼트"의 마이클 버리 같은 공매도 투자자들은 큰 수익을 냈습니다.

마무리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인간의 탐욕과 시스템의 취약성이 만든 재앙이었습니다. 신용 없는 사람에게 무분별하게 대출해주고, 그 리스크를 전 세계에 퍼뜨린 결과, 수천만 명이 일자리를 잃고 집을 잃었습니다.

핵심 정리:

  • 서브프라임 = 신용 낮은 사람에게 주택 대출
  • 2000년대 부동산 버블 + 규제 완화
  •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
  • 전 세계 금융 시스템 붕괴
  • 정부 구제금융으로 2년 만에 회복

원인:

  1. 무분별한 대출 (NINJA 론)
  2. 금융 상품 복잡화 (MBS, CDO)
  3. 신용평가사 담합
  4. 규제 완화
  5. 투기 버블

대응:

  • 7,000억 달러 구제금융
  • 기준금리 0%
  • 양적완화 4조 달러
  • 금융 규제 강화

교훈:

  • 빚내서 투자 위험
  • 버블은 반드시 터진다
  • 정부 개입 필수
  • 금융 규제 필요
  • 시스템 리스크 관리

투자 교훈:

  • 레버리지 (빚투) 절대 금지
  • "항상 오른다"는 없다
  • 분산 투자 필수
  • 위기 = 기회 (바닥 매수)

서브프라임 위기는 끝났지만, 언제든 비슷한 위기가 올 수 있습니다. 역사를 배우고, 탐욕을 경계하며, 분산 투자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