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 2008년 금융위기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 약 6분
"신용등급 낮은 사람들에게 집을 사라고 대출해줬더니 세계 경제가 무너졌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미국 부동산 버블 붕괴에서 시작해 리먼브라더스 파산, 전 세계 금융 시스템 붕괴로 이어진 최악의 금융위기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무엇인지, 왜 위기가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극복했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란?
기본 개념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
- 신용등급 낮은 사람에게 주는 주택담보대출
- Prime (우량) 이하 = Subprime (비우량)
- 높은 금리, 높은 위험
신용등급 분류:
- Prime (프라임): 신용점수 660 이상
- Subprime (서브프라임): 신용점수 660 미만
- 부실 가능성 높음
정상 vs 서브프라임
| 구분 | 프라임 | 서브프라임 |
|---|---|---|
| 신용점수 | 660+ | 660 미만 |
| 금리 | 5% | 8~12% |
| 부실률 | 2% | 20% |
| 대출 심사 | 엄격 | 완화 |
| 상환 능력 | 검증됨 | 의심됨 |
서브프라임 위기 발생 배경
2000년대 초반: 완벽한 폭풍
1. 낮은 금리
- 2001~2004년 기준금리 1%
- 대출 받기 쉬움
- 집값 상승
2. 부동산 버블
- 2000~2006년 집값 2배 상승
- "집값은 항상 오른다"
- 투기 열풍
3. 대출 규제 완화
- 소득 증명 불필요
- NINJA 론 (No Income, No Job, No Assets)
- 무분별한 대출
4. 금융 상품 혁신
- MBS (주택담보대출증권)
- CDO (부채담보부증권)
- 리스크 분산(?)
NINJA 론의 광기
NINJA = No Income, No Job, No Assets
- 소득 없음, 직업 없음, 자산 없음
- 그래도 대출 승인
- "집값 오르면 괜찮아"
예시:
- 연봉: $30,000 (3,600만원)
- 집값: $500,000 (6억원)
- 대출: $500,000 승인
- 15년 치 연봉으로 집 구매
금융 상품의 마법 (?)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
개념:
- 주택담보대출을 모아서 증권화
- 투자자에게 판매
- 이자 수익 배분
예시:
- 은행이 1,000명에게 대출
- 1,000개 대출을 묶어서 증권 발행
- 투자자에게 판매
- 은행은 리스크 떠넘김
문제:
- 서브프라임 대출도 섞임
- 위험성 숨김
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개념:
- MBS를 다시 묶어서 증권화
- 등급을 나눠서 판매
- AAA (최우량) ~ BB (투기등급)
문제:
- 서브프라임 대출을 AAA로 둔갑
- 신용평가사 담합
- 시한폭탄
예시:
서브프라임 대출 (위험)
→ MBS (약간 위험?)
→ CDO (AAA 우량??)
→ 투자자 매수
2007년: 위기의 시작
집값 하락 시작
2006년 정점:
- 미국 집값 역사적 최고
- "더 이상 오를 곳 없음"
2007년 초:
- 집값 하락 시작
- 처음엔 무시
서브프라임 대출자 파산
연쇄 반응:
- 집값 하락
- 대출자 상환 불가
- 집 압류
- 집 더 팔림 → 집값 더 하락
- 반복
2007년 중반:
- 서브프라임 대출 부실률 20%
- 경고 신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