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이란? - 경제 성장 멈추고 물가만 오르는 악몽
· 약 5분
경제가 성장하지도 않는데 물가만 미친 듯이 오른다면? 이것이 바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입니다. 1970년대 미국과 유럽을 강타했고, 경제학자들조차 해법을 찾지 못한 최악의 경제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쉽게 설명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기본 개념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 Stagnation (경기 침체) + Inflation (인플레이션)
- 경제 성장 정체 + 물가 상승
- 실업 증가 + 물가 상승
쉽게 말하면: "경제는 안 좋은데 물가는 미친 듯이 오름"
정상적인 경제 vs 스태그플레이션
정상적인 경제:
- 경기 호황 → 물가 상승
- 경기 침체 → 물가 하락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 침체 + 물가 상승
- 모순적 상황
- 해결 불가능한 딜레마
스태그플레이션 지표
| 지표 | 정상 | 스태그플레이션 |
|---|---|---|
| GDP 성장률 | +3% | 0~1% |
| 실업률 | 3~4% | 7~10% |
| 물가상승률 | 2~3% | 5~10% |
| 금리 | 적정 | 진퇴양난 |
스태그플레이션의 역사
1970년대 미국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
배경:
- 1973년: 1차 오일쇼크
- 1979년: 2차 오일쇼크
- 원유 가격 4배 폭등
경제 지표 (1975년):
- GDP 성장률: -0.2% (마이너스)
- 실업률: 8.5%
- 물가상승률: 9.1%
- 최악의 조합
국민 고통:
- 일자리 없음
- 월급 안 오름
- 물가만 폭등
- 생활고 극심
정책 실패:
- 금리 인상 → 경기 더 나빠짐
- 금리 인하 → 물가 더 올라감
- 해법 없음
1980년대 초반 (폴 볼커의 해결)
폴 볼커 (연준 의장):
- 1979년 취임
- 초강력 금리 인상 단행
- 기준금리 20%까지 인상
결과:
- 단기 고통 증가 (실업률 10%)
- 인플레이션 진정 (9% → 3%)
- 1983년 경기 회복
- 스태그플레이션 종식
교훈: 극약 처방 필요
2022년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배경:
- 코로나 팬데믹
- 공급망 붕괴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원유/곡물 가격 폭등
경제 지표 (2022년):
- GDP 성장률: 1~2% (저성장)
- 실업률: 3~4% (양호)
- 물가상승률: 8~9% (극심)
- 경증 스태그플레이션
대응:
- 연준 금리 5.5%까지 인상
- 2023년 인플레이션 2%대 진정
- 스태그플레이션 회피 성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