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 (신용등급)
뜻
신용점수는 개인의 신용 상태를 숫자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대출 상환 능력, 연체 이력, 신용카드 사용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1점~1,000점으로 표시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금융기관에서 신뢰도가 높아 대출 승인이 쉽고 금리도 낮아집니다.
신용점수 체계 (2021년 개편)
과거: 신용등급 (1~10등급)
- 2021년 이전 사용
- 1등급이 최고, 10등급이 최저
- 등급 간 차이가 커서 불공정
현재: 신용점수 (1~1,000점)
- 2021년부터 도입
- 1,000점 만점
- 세밀한 평가 가능
신용점수 구간별 의미
| 점수 구간 | 의미 | 대출 금리 | 설명 |
|---|---|---|---|
| 900~1,000 | 최우수 | 최저 금리 | 연체 없음, 안정적 |
| 800~899 | 우수 | 낮은 금리 | 신용 관리 양호 |
| 700~799 | 보통 | 중간 금리 | 일반적 신용 |
| 600~699 | 주의 | 높은 금리 | 신용 관리 필요 |
| 600 미만 | 위험 | 대출 거절 | 연체 이력 다수 |
신용점수 평가 요소
1. 상환 이력 (35%)
가장 중요한 요소
- 대출 상환 이력
- 신용카드 연체 여부
- 통신비, 공과금 연체
연체 영향
- 30일 연체: -50점
- 60일 연체: -100점
- 90일 이상: -150점 이상
2. 부채 수준 (30%)
총부채액과 신용한도
- 신용카드 사용률 (사용액 ÷ 한도)
- 대출 잔액
권장 신용카드 사용률: 30% 이하
3. 신용 거래 기간 (15%)
- 신용카드·대출 사용 기간
- 오래될수록 유리
- 5년 이상 사용 시 점수 상승
4. 신용 거래 형태 (10%)
- 다양한 금융상품 사용
- 신용카드, 할부, 대출 등 균형
- 한 가지만 사용하면 불리
5. 신규 신용 (10%)
- 최근 신용 조회 횟수
- 여러 곳에서 대출 신청 시 감점
- 6개월 이내 3회 이상 조회 시 주의
실전 예시
예시 1: 대출 금리 차이 (신용점수별)
주택담보대출 3억원, 30년 기준
신용점수 950점 (최우수)
- 대출 금리: 3.5%
- 월 상환액: 135만원
- 총 이자: 1억 8,600만원
신용점수 750점 (보통)
- 대출 금리: 4.5%
- 월 상환액: 152만원
- 총 이자: 2억 4,720만원
- 차이: 6,120만원 더 부담
신용점수 650점 (주의)
- 대출 금리: 6.0%
- 월 상환액: 180만원
- 총 이자: 3억 4,800만원
- 차이: 1억 6,200만원 더 부담
예시 2: 신용점수 하락 시나리오
초기 신용점수: 850점 (우수)
3개월 후: 신용카드 60일 연체
- 850점 → 720점 (-130점)
- 우수 → 보통
6개월 후: 대출 3곳 동시 신청
- 720점 → 680점 (-40점)
- 보통 → 주의
1년 후: 신용카드 한도 90% 사용
- 680점 → 640점 (-40점)
- 주의 구간 진입
- 총 하락: 210점
영향
- 대출 금리: 3.8% → 5.5% (1.7%p 상승)
- 연 500만원 추 가 이자 부담
예시 3: 신용점수 올리기 성공 사례
20대 직장인 A씨
초기 (입사 1년차)
- 신용점수: 680점
- 신용카드 1개 (한도 100만원)
- 신용 거래 기간: 1년
6개월 후 전략 실행
- 신용카드 연체 0일 유지
- 신용카드 사용률 30% 이하 유지
- 자동이체로 통신비·공과금 납부
- 신용카드 추가 발급 (다양한 거래 형태)
1년 후 결과
- 신용점수: 680점 → 780점 (+100점)
- 대출 금리: 5.5% → 4.2% (1.3%p 하락)
- 신용대출 3,000만원 승인
예시 4: 신용카드 사용률의 중요성
신용카드 한도 300만원
Case 1: 사용률 10% (건강)
- 월 사용액: 30만원
- 신용점수: 820점
Case 2: 사용률 50% (주의)
- 월 사용액: 150만원
- 신용점수: 760점 (-60점)
Case 3: 사용률 90% (위험)
- 월 사용액: 270만원
- 신용점수: 700점 (-120점)
교훈: 한도가 높아도 30% 이하로 사용!
예시 5: 연체의 무서운 영향
30대 직장인 B씨, 초기 신용점수 850점
1개월 연체 (카드값 50만원)
- 850점 → 800점 (-50점)
- 연체 기록 5년간 유지
3개월 연체
- 800점 → 650점 (-150점)
- 신용카드 정지
- 대출 승인 거절
6개월 연체
- 650점 → 500점 (-150점)
- 금융 거래 사실상 불가능
- 회복까지 3~5년 소요
복구 과정
- 1년 후 연체 해소: 500점 → 580점
- 2년 후 성실 관리: 580점 → 680점
- 3년 후 정상화: 680점 → 750점
- 5년이 지나야 연체 기록 삭제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단기 전략 (3~6개월)
-
연체 절대 금지
- 자동이체 설정
- 알림 설정
-
신용카드 사용률 30% 이하
- 한도 100만원 → 30만원 이하 사용
- 한도 상향 신청 고려
-
공과금·통신비 성실 납부
- KCB·NICE에 반영
- 자동이체 권장
중기 전략 (6개월~1년)
-
신용카드 다양하게 사용
- 2~3개 발급
- 소액이라도 매월 사용
-
대출 갚기
- 고금리 대출 우선 상환
- 총부채 줄이기
-
신용 조회 줄이기
- 6개월에 2회 이하
- 필요할 때만 조회
장기 전략 (1년 이상)
-
신용 거래 기간 늘리기
- 오래된 카드 유지
- 해지하지 않기
-
안정적 직장·소득
- 재직 기간 3년 이상
- 소득 증가
신용점수 확인 방법
무료 조회 (1년 3회)
-
카카오페이
- 카카오톡 → 카카오페이 → 신용점수
- NICE 신용점수 확인
-
토스
- 토스 앱 → 전체 → 신용관리
- KCB 신용점수 확인
-
NICE 지키미
- 앱 다운로드 → 회원가입 → 조회
-
올크레딧
- KCB 신용점수 확인
자주 묻는 질문
Q1. 신용점수는 몇 점이면 좋은 건가요? A1. 800점 이상이면 우수, 900점 이상이면 최우수입니다. 800점 이상이면 대출 금리가 크게 낮아집니다.
Q2. 신용점수 조회하면 점수가 떨어지나요? A2. 본인 조회는 영향 없습니다. 단, 대출 신청 시 금융기관 조회는 점수에 영향을 줍니다.
Q3. 신용카드를 안 쓰면 점수가 올라가나요? A3. 아닙니다. 오히려 신용카드를 적절히 사용하고 제때 갚는 게 점수를 올립 니다.
Q4. 연체 기록은 언제 사라지나요? A4. 연체 해소 후 5년이 지나면 기록이 삭제됩니다.
Q5. 신용점수가 낮으면 대출을 아예 못 받나요? A5. 600점 미만은 대출이 매우 어렵지만,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은 가능할 수 있습니다. (단, 고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