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뜻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회사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기본 금리입니다. 한국 경제의 모든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의 기준'입니다.
현재 기준금리 (2025년 1월 기준)
3.00%
기준금리의 영향
1. 예금·적금 금리
기준금리 인상 시
- 은행 예금·적금 금리 상승
- 저축하면 더 많은 이자 수익
기준금리 인하 시
- 은행 예금·적금 금리 하락
- 저축 이자 수익 감소
예시
- 기준금리 3.0% → 정기예금 금리 3.5~4.0%
- 기준금리 1.0% → 정기예금 금리 1.5~2.0%
2. 대출 금리
기준금리 인상 시
-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금리 상승
- 대출 이자 부담 증가
기준금리 인하 시
- 대출 금리 하락
- 대출 이자 부담 감소
예시: 주택담보대출 3억원
- 기준금리 3.0% → 대출 금리 4.5% → 연 이자 1,350만원
- 기준금리 1.0% → 대출 금리 2.5% → 연 이자 750만원
- 연 600만원 차이
3. 부동산 시장
기준금리 인상 시
- 대출 금리 상승 → 집 사기 어려움
- 부동산 수요 감소 → 집값 하락 압력
기준금리 인하 시
- 대출 금리 하락 → 집 사기 쉬움
- 부동산 수요 증가 → 집값 상승 압력
4. 주식 시장
기준금리 인상 시
- 예금 금리 상승 → 주식 투자 매력 감소
- 기업 대출 이자 증가 → 실적 악화
- 주식 시장 하락 압력
기준금리 인하 시
- 예금 금리 하락 → 주식 투자 매력 증가
- 기업 대출 이자 감소 → 실적 개선
- 주식 시장 상승 압력
5. 환율
기준금리 인상 시
-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 돈 선호
- 원화 가치 상승 → 환율 하락 (달러당 원화 가격 하락)
기준금리 인하 시
-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 돈 기피
- 원화 가치 하락 → 환율 상승 (달러당 원화 가격 상승)
기준금리 결정 기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연 8회 (매월 마지막 주 목요일) 위원: 7명 (총재 1명 + 부총재 1명 + 5명)
결정 요인
-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률)
- 물가 상승 심각 → 기준금리 인상
- 물가 안정 → 기준금리 유지 또는 인하
-
경제 성장률
- 경기 과열 → 기준금리 인상
- 경기 침체 → 기준금리 인하
-
환율
- 원화 가치 급락 → 기준금리 인상
- 원화 가치 안정 → 기준금리 유지
-
미국 금리
- 미국 금리 인상 → 한국도 금리 인상 압력
- 미국 금리 인하 → 한국도 금리 인하 여력
기준금리 변화 추이
| 시기 | 기준금리 | 주요 이유 |
|---|---|---|
| 2020년 5월 | 0.50% | 코로나19 경기 부양 |
| 2021년 8월 | 0.75% | 경기 회복, 물가 상승 |
| 2022년 1월 | 1.25% | 인플레이션 대응 |
| 2023년 1월 | 3.50% | 고물가 대응 |
| 2024년 10월 | 3.25% | 경기 둔화 |
| 2025년 1월 | 3.00% | 경기 부양 |
기준금리에 따른 생활 전략
기준금리 인상기 (고금리)
예금·적금
- 정기예금·적금 금리 높을 때 장기 가입
- 고금리 혜택 장기간 누리기
대출
- 신규 대출 자제
- 기존 대출 상환 속도 높이기
- 변동금리 → 고정금리 전환 고려
투자
- 채권 투자 매력적 (금리 높음)
- 주식 투자 신중히 (기업 실적 악화 가능)
부동산
- 매수 자제 (대출 이자 부담 큼)
- 집값 하락 기다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