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본위제
뜻
금본위제(Gold Standard)는 화폐의 가치를 금(Gold)에 고정시키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1달러 = 금 1g"처럼 정해두면, 정부는 언제든지 달러를 금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돈의 가치를 금으로 보장하는 시스템입니다.
핵심 원리
화폐 = 금
예시: 미국 금본위제 (1900~1933년)
- 1달러 = 금 1.5g
- 35달러 = 금 1온스 (약 31g)
- 100달러 지폐를 은행에 가져가면 금 150g으로 교환 가능
통화량 제한
- 정부가 보유한 금의 양만큼만 화폐 발행 가능
- 금 100톤 보유 → 최대 100톤어치 화폐 발행
- 무분별한 돈 찍어내기 불가능
국제 무역 자동 조절
무역 흑자국
- 수출 > 수입 → 금 유입
- 통화량 증가 → 물가 상승
- 수출 경쟁력 하락 → 무역 균형
무역 적자국
- 수입 > 수출 → 금 유출
- 통화량 감소 → 물가 하락
- 수출 경쟁력 상승 → 무역 균형
금본위제의 역사
1. 고전적 금본위제 (1870~1914년)
황금기
- 영국, 미국, 독일 등 주요국 채택
- 안정적 환율
- 국제 무역 활성화
- 물가 안정
종료
- 제1차 세계대전 (1914년)
- 전쟁 비용 감당 위해 금본위제 포기
- 돈 마구 찍어냄
2. 금 환본위제 (1944~1971년)
브레튼우즈 체제
- 1944년 브레튼우즈 회의
- 미국 달러만 금과 연동 (1온스 = 35달러)
- 다른 나라는 달러와 환율 고정
- 달러 = 기축통화
종료
- 1971년 닉슨 쇼크
- 미국이 일방적으로 금본위제 포기
- 베트남 전쟁 비용 감당 불가
- 현대 화폐 시스템 시작 (변동환율제)
3. 현대 (1971년~현재)
불환화폐 (Fiat Money)
- 금과 연동 없음
- 정부 신용으로 가치 보장
- 중앙은행이 자유롭게 통화량 조절
- 변동환율제
금본위제 장점
1. 물가 안정
- 통화량이 금에 제한됨
- 인플레이션 억제
- 돈의 가치 보장
2. 정부 재정 규율
- 무분별한 돈 찍어내기 불가능
- 재정 적자 제한
- 건전 재정 유지
3. 환율 안정
- 모든 나라 화폐가 금에 고정
- 환율 변동 거의 없음
- 국제 무역 활성화
금본위제 단점
1. 경기 조절 불가능
- 불황 시 돈 풀기 불가능
- 금리 인하 제한적
- 경제 회복 어려움
2. 금 부족 문제
- 경제 성장 > 금 생산
- 통화 부족 (deflation)
- 물가 하락 → 경기 침체
3. 금 유출 위험
- 무역 적자 → 금 유출
- 통화량 급감
- 금융 위기 발생
4. 전쟁·재난 대응 불가
- 전쟁 비용 마련 어려움
- 재난 복구 자금 부족
- 경제 위기 심화
실전 예시
예시 1: 1920년대 영국, 금본위제 복귀 실패
1차 세계대전 후 (1918년)
- 영국이 전쟁 중 금본위제 포기
- 돈 마구 찍어서 전쟁 비용 지출
- 파운드 가치 급락
1925년 처칠의 결정
- 재무장관 처칠이 금본위제 복귀 결정
- 전쟁 전 환율(1파운드 = 금 7.3g)로 복귀
- 파운드 가치 20% 인상
결과: 경제 대재앙
- 영국 제품 가격 20% 비싸짐
- 수출 급감, 기업 도산
- 실업률 12% → 20%
- 1929년 대공황 악화
1931년 금본위제 포기
-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포기
- 파운드 가치 30% 하락
- 수출 회복, 경제 회복 시작
교훈
- 금본위제는 경제 상황에 맞지 않으면 재앙
- 인위적 환율 고정은 위험
- 처칠의 실수로 영국 경제 10년 침체
예시 2: 1929년 대공황, 금본위제가 대공황 악화
1929년 미국 주식 시장 붕괴
- 뉴욕 증시 폭락
- 은행 파산, 기업 도산
- 실업률 3% → 25%
금본위제의 함정
- 경기 살리려면 돈 풀어야 함 (금리 인하, 통화량 증가)
- 하지만 금본위제로 통화량 증가 불가능
- 금 보유량에 제한됨
- 불황 깊어짐
미국 정부의 딜레마
- 돈 풀기 → 금본위제 포기해야 함
- 금본위제 유지 → 경제 침체 지속
- 1933년까지 고민
1933년 루즈벨트 대통령
- 금본위제 사실상 포기
- 달러 가치 40% 절하
- 통화량 대폭 증가
- 경제 회복 시작
결과
- 1933~1939년 GDP 9% 성장
- 실업률 25% → 15%
- 대공황 탈출 시작
교훈
- 금본위제는 경기 조절 불가능
- 위기 시 유연한 통화정책 필수
- 금본위제 포기가 대공황 탈출의 첫 걸음
예시 3: 1971년 닉슨 쇼크, 금본위제 완전 종료
1960년대 미국 상황
- 베트남 전쟁 비용: 연 500억 달러
- 복지 정책 확대 (Great Society)
- 재정 적자 급증
- 금 보유량 대비 달러 너무 많이 발행
각국의 달러 → 금 교환 요구
- 프랑스: "달러를 금으로 바꿔줘!"
- 미국 금 보유량: 1960년 2만 톤 → 1971년 8,000톤
- 금 고갈 위기
1971년 8월 15일 닉슨 선언
- "달러와 금 교환 중단!"
- 금본위제 일방적 폐기
- 닉슨 쇼크
즉각적 영향
- 달러 가치 10% 하락
- 금 가격 폭등: 온스당 35달러 → 800달러 (1980년)
- 각국 환율 혼란
장기적 결과
- 변동환율제 시작
- 각국 중앙은행 자유로운 통화정책 가능
- 인플레이션 심화 (1970년대)
- 하지만 경제 위기 대응 능력 향상
교훈
- 금본위제는 현대 경제에 맞지 않음
- 유연한 통화정책이 경제 안정에 필수
- 금본위제 종료 = 현대 금융 시스템 시작
예시 4: 금본위제 vs 불환화폐, 2008년 금융위기 대응
2008년 금융위기 발생
- 리먼 브라더스 파산
- 글로벌 금융 시스템 붕괴 위기
- 미국 실업률 5% → 10%
만약 금본위제였다면?
- 금 보유량 제한으로 통화량 증가 불가능
- 금리 인하 제한적
- 정부 재정 지출 불가능
- 1929년 대공황 재현
실제 대응 (불환화폐 시스템)
- 미국 연준: 기준금리 5% → 0%
- 양적완화 (QE): 4조 달러 공급
- 정부 재정 지출: 8,000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