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 (신용등급)
뜻
신용점수는 개인의 신용 상태를 숫자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대출 상환 능력, 연체 이력, 신용카드 사용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1점~1,000점으로 표시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금융기관에서 신뢰도가 높아 대출 승인이 쉽고 금리도 낮아집니다.
신용점수 체계 (2021년 개편)
과거: 신용등급 (1~10등급)
- 2021년 이전 사용
- 1등급이 최고, 10등급이 최저
- 등급 간 차이가 커서 불공정
현재: 신용점수 (1~1,000점)
- 2021년부터 도입
- 1,000점 만점
- 세밀한 평가 가능
신용점수 구간별 의미
| 점수 구간 | 의미 | 대출 금리 | 설명 |
|---|---|---|---|
| 900~1,000 | 최우수 | 최저 금리 | 연체 없음, 안정적 |
| 800~899 | 우수 | 낮은 금리 | 신용 관리 양호 |
| 700~799 | 보통 | 중간 금리 | 일반적 신용 |
| 600~699 | 주의 | 높은 금리 | 신용 관리 필요 |
| 600 미만 | 위험 | 대출 거절 | 연체 이력 다수 |
신용점수 평가 요소
1. 상환 이력 (35%)
가장 중요한 요소
- 대출 상환 이력
- 신용카드 연체 여부
- 통신비, 공과금 연체
연체 영향
- 30일 연체: -50점
- 60일 연체: -100점
- 90일 이상: -150점 이상
2. 부채 수준 (30%)
총부채액과 신용한도
- 신용카드 사용률 (사용액 ÷ 한도)
- 대출 잔액
권장 신용카드 사용률: 30% 이하
3. 신용 거래 기간 (15%)
- 신용카드·대출 사용 기간
- 오래될수록 유리
- 5년 이상 사용 시 점수 상승
4. 신용 거래 형태 (10%)
- 다양한 금융상품 사용
- 신용카드, 할부, 대출 등 균형
- 한 가지만 사용하면 불리
5. 신규 신용 (10%)
- 최근 신용 조회 횟수
- 여러 곳에서 대출 신청 시 감점
- 6개월 이내 3회 이상 조회 시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