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지수 (주택구입부담지수)
뜻
영끌지수는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받아 집을 사는 현상을 나타내는 한국형 속어입니다. 공식 명칭은 **주택구입부담지수(HAI, Housing Affordability Index)**로, 중위소득 가구가 중간 가격 주택을 구입할 때 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냅니다.
자세한 설명
공식 개념: 주택구입부담지수 (HAI)
정의:
HAI =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 ÷ 중위소득 가구의 월소득) × 100
기준:
- 100: 소득의 25%를 대출 상환에 사용 (적정 수준)
- 100 초과: 부담 과중
- 200: 소득의 50%를 대출 상환에 사용
현실: "영끌"의 의미
영혼까지 끌어모은다 = 다음을 총동원:
- 예적금 전액
- 주식/코인 청산
- 부모님 증여/차입
- 최대한의 대출 (LTV, DTI 한도까지)
-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병행
한국의 영끌지수 현황
서울 HAI 추이
| 연도 | HAI | 의미 |
|---|---|---|
| 2017 | 112 | 소득의 28% 사용 |
| 2019 | 134 | 소득의 33.5% 사용 |
| 2021 | 173 | 소득의 43.3% 사용 (역대 최고) |
| 2023 | 182 | 소득의 45.5% 사용 |
| 2024 | 168 | 소득의 42% 사용 (다소 완화) |
주요 도시별 비교 (2024년)
| 지역 | HAI | 부담 수준 |
|---|---|---|
| 서울 | 168 | 매우 높음 |
| 경기 | 142 | 높음 |
| 부산 | 98 | 적정 |
| 대구 | 89 | 적정 이하 |
계산 예시
서울 중위 소득 가구의 주택구입 (2024년)
조건:
- 중위 주택 가격: 12억원
- LTV 40% 적용: 4.8억원 대출
- 대출 금리: 연 4.5%
- 상환 기간: 30년
- 월 소득: 650만원 (중위소득)
월 상환액:
4.8억원 × 월 이자율 × 원리금균등상환
= 약 243만원
HAI 계산:
(243만원 ÷ 650만원) × 100 = 37.4%
→ HAI = 149.6
해석:
- 소득의 37.4%를 대출 상환에 사용
- 적정 수준(25%)을 크게 초과
- 영끌 수준
영끌의 위험성
1. 금리 상승 리스크
변동금리 대출의 경우:
- 금리 1% 상승 → 월 상환액 약 30만원 증가
- 금리 2% 상승 → 월 상환액 약 60만원 증가
- 소득의 50% 이상을 대출 상환에 사용하게 됨
2. 생활비 부족
월 650만원 - 대출 상환 243만원 = 407만원
여기서 추가 부담:
- 관리비: 30만원
- 4대보험: 80만원
- 교육비: 50만원
- 식비: 100만원
- 기타: 147만원
여유 자금 거의 없음 → 삶의 질 저하
3. 실업 및 소득 감소 위험
- 직장 잃으면 즉시 파산 위기
- 질병, 사고 등 예상치 못한 상황
- 은퇴 후 대비 불가
4. 집값 하락 리스크
- 하우스푸어
- 역전세난
- 깡통전세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