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지수 (주택구입부담지수)
뜻
영끌지수는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받아 집을 사는 현상을 나타내는 한국형 속어입니다. 공식 명칭은 **주택구입부담지수(HAI, Housing Affordability Index)**로, 중위소득 가구가 중간 가격 주택을 구입할 때 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냅니다.
자세한 설명
공식 개념: 주택구입부담지수 (HAI)
정의:
HAI =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 ÷ 중위소득 가구의 월소득) × 100
기준:
- 100: 소득의 25%를 대출 상환에 사용 (적정 수준)
- 100 초과: 부담 과중
- 200: 소득의 50%를 대출 상환에 사용
현실: "영끌"의 의미
영혼까지 끌어모은다 = 다음을 총동원:
- 예적금 전액
- 주식/코인 청산
- 부모님 증여/차입
- 최대한의 대출 (LTV, DTI 한도까지)
-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병행
한국의 영끌지수 현황
서울 HAI 추이
| 연도 | HAI | 의미 |
|---|---|---|
| 2017 | 112 | 소득의 28% 사용 |
| 2019 | 134 | 소득의 33.5% 사용 |
| 2021 | 173 | 소득의 43.3% 사용 (역대 최고) |
| 2023 | 182 | 소득의 45.5% 사용 |
| 2024 | 168 | 소득의 42% 사용 (다소 완화) |
주요 도시별 비교 (2024년)
| 지역 | HAI | 부담 수준 |
|---|---|---|
| 서울 | 168 | 매우 높음 |
| 경기 | 142 | 높음 |
| 부산 | 98 | 적정 |
| 대구 | 89 | 적정 이하 |
계산 예시
서울 중위 소득 가구의 주택구입 (2024년)
조건:
- 중위 주택 가격: 12억원
- LTV 40% 적용: 4.8억원 대출
- 대출 금리: 연 4.5%
- 상환 기간: 30년
- 월 소득: 650만원 (중위소득)
월 상환액:
4.8억원 × 월 이자율 × 원리금균등상환
= 약 243만원
HAI 계산:
(243만원 ÷ 650만원) × 100 = 37.4%
→ HAI = 149.6
해석:
- 소득의 37.4%를 대출 상환에 사용
- 적정 수준(25%)을 크게 초과
- 영끌 수준
영끌의 위험성
1. 금리 상승 리스크
변동 금리 대출의 경우:
- 금리 1% 상승 → 월 상환액 약 30만원 증가
- 금리 2% 상승 → 월 상환액 약 60만원 증가
- 소득의 50% 이상을 대출 상환에 사용하게 됨
2. 생활비 부족
월 650만원 - 대출 상환 243만원 = 407만원
여기서 추가 부담:
- 관리비: 30만원
- 4대보험: 80만원
- 교육비: 50만원
- 식비: 100만원
- 기타: 147만원
여유 자금 거의 없음 → 삶의 질 저하
3. 실업 및 소득 감소 위험
- 직장 잃으면 즉시 파산 위기
- 질병, 사고 등 예상치 못한 상황
- 은퇴 후 대비 불가
4. 집값 하락 리스크
- 하우스푸어
- 역전세난
- 깡통전세 위험
영끌이 만연한 이유
1. 심리적 요인
FOMO (Fear Of Missing Out):
- "지금 안 사면 영원히 못 산다"
- "남들은 다 산다"
- 집값 상승 기대
2. 구조적 요인
전세 제도:
- 전세가율 상승 (매매가의 70-80%)
- 전세 -> 매매로 넘어가는 유인
공급 부족:
- 서울 주택 공급 제한적
- 선호 지역 집중
3. 사회문화적 요인
내 집 마련 = 성공:
- 결혼, 육아의 필수 조건
- 사회적 지위
- 자산 축적 수단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
주택구입부담지수 국제 비교
| 도시 | HAI |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 |
|---|---|---|
| 홍콩 | 227 | 23.2배 |
| 밴쿠버 | 210 | 13.0배 |
| 시드니 | 187 | 11.7배 |
| 서울 | 168 | 12.0배 |
| 런던 | 154 | 8.5배 |
| 뉴욕 | 98 | 5.8배 |
해석:
- 서울의 주택 구입 부담은 세계 최고 수준
- 홍콩, 밴쿠버 다음으로 높음
대응 전략
1. 무리한 영끌 피하기
안전한 부채 비율:
- DTI 30% 이하 유지
- DSR 40% 이하
- 생활비 최소 40% 확보
2. 대안 모색
지역 확장:
- 경기, 인천 등 서울 근교
- GTX 등 교통망 발달 지역
주거 형태 다변화:
- 빌라, 오피스텔
- 소형 아파트
- 재개발 예정 지역
3. 시간 확보
무리한 진입 자제:
- 전세로 버티며 종잣돈 모으기
- 금리 하락 시기 노리기
- 정책 변화 대기
정부 정책
완화 정책
실수요자 지원:
- LTV 완화 (40% → 50%)
- 생애최초 특례대출
- 청년 우대 금리
규제 정책
투기 억제:
- 다주택자 규제
- 양도소득세 중과
- 종부세 강화 (최근 완화)
자주 묻는 질문
Q1. 영끌해서라도 집을 사야 하나요? A1. 절대 아닙니다. 영끌은 금리 상승, 집값 하락, 실업 등의 리스크에 매우 취약합니다. 여유 자금을 확보하고 안전한 범위 내에서 구입해야 합니다.
Q2. 적정 대출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요? A2. 일반적으로 소득의 30% 이내로 원리금 상환이 가능한 수준이 안전합니다. 최대 40%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Q3. 집값이 계속 오르면 영끌이 유리한 거 아닌가요? A3. 과거에는 그랬지만, 저성장 시대에는 집값이 영원히 오르지 않습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참고하세요.
Q4. 영끌하는 사람이 많은데 왜 위험한가요? A4. 남들이 한다고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도 과도한 대출로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