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스틱지수
뜻
립스틱지수(Lipstick Index)는 경기가 불황일 때 립스틱 같은 저가 사치품의 매출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경제 심리지표입니다. 2001년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 회장 레너드 로더가 9.11 테러 이후 립스틱 판매량이 급증한 것을 보고 처음 언급했습니다.
자세한 설명
기본 원리
경기 침체기에 소비자들은:
- 비싼 명품 가방이나 해외여행을 포기
- 대신 립스틱, 향수 같은 저가 사치품으로 소소한 만족 추구
- "작은 사치"로 심리적 보상을 얻고자 함
왜 립스틱인가?
- 가격 접근성: 2-5만원대로 부담 없음
- 즉각적 만족: 구매 즉시 사용 가능
- 심리적 효과: 외모 개선을 통한 자신감 회복
- 사회적 신호: 경제적 여유를 은은하게 표현
역사적 사례
1. 9.11 테러 이후 (2001-2002)
- 미국 경제 불안 속에서 립스틱 판매 11% 증가
- 백화점 화장품 매출 전반적으로 상승
- 에스티 로더 주가 상승
2. 글로벌 금융위기 (2008-2009)
- 럭셔리 브랜드 매출 급감
- 반면 립스틱, 매니큐어 등 저가 화장품 판매 증가
- 맥(MAC), 에스티 로더 등 견조한 실적
3. 코로나19 팬데믹 (2020-2021)
- 마스크 착용으로 립스틱 판매 감소
- 대신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판매 급증
- "립스틱지수"에서 "아이섀도우지수"로 변화
4. 한국의 사례
- 2023년 고물가, 고금리 상황에서 편의점 화장품 매출 증가
- 올리브영 등 드럭스토어 매출 호조
- 명품 매출 둔화 vs 저가 화장품 판매 증가
관련 소비 패턴
불황형 소비재
립스틱지수와 유사한 개념들:
- 네일케어 제품: 손톱관리로 작은 사치
- 향수: 기분 전환 효과
- 저가 패션 액세서리: 귀걸이, 목걸이 등
- 프리미엄 커피: 스타벅스 등
한국형 불황 소비
- 편의점 디저트: 5천원 이하 케이크
- 1만원대 와인: 저렴한 사치
- 배달 치킨: 가족 외식 대신
반대 개념: 고가 사치품
경기 호황기에는:
- 명품 가방 판매 증가
- 해외여행 수요 폭증
- 고급 자동차 판매 호조
투자 인사이트
경기 침체 신호로 활용
립스틱지수 상승 = 경기 불황 신호
- 화장품주 매수 고려
- 명품주는 조정 가능성
- 소비심리 위축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