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 쪼개기 완전 정복 - 월급 250만원으로 연 1천만원 모으는 법
· 약 7분
"돈을 모으고 싶은데 통장에 돈이 안 남아요." 이런 고민 해보셨나요? 문제는 돈 버는 능력이 아니라, 돈 관리 시스템입니다. 통장 쪼개기는 가장 쉽고 확실한 저축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장을 어떻게 쪼개고, 어떻게 운영하는지 실전 예시와 함께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통장 쪼개기란?
하나의 통장에 월급 다 넣고 쓰기 (X) 목적별로 통장을 나눠 관리하기 (O)
왜 통장을 쪼개야 할까?
하나의 통장 사용 시
- 월급: 250만원
- 5일 후: 200만원 (어디에 50만원 썼는지 모름)
- 15일 후: 100만원 (불안해지기 시작)
- 25일 후: 20만원 (마이너스 통장 사용)
- 결과: 저축 0원
통장 쪼개기 후
- 월급: 250만원
- 즉시 자동이체로 쪼개짐
- 저축통장: 70만원 → 절대 손대지 않음
- 생활비통장: 150만원 → 이 돈만 쓰기
- 비상금통장: 30만원 → 급할 때만
- 결과: 연 840만원 저축 (저축 + 비상금)
기본 통장 구조 (3통장 시스템)
1. 월급통장 (급여 입금용)
역할: 월급 받는 통장 특징:
- 월급 입금되자마자 자동이체로 다른 통장으로 분산
- 월급일 +1일에는 잔액 0원에 가까워야 정상
추천 은행: 직장 주거래은행
- 급여 입금 수수료 면제
- 거래 실적으로 우대 금리
2. 생활비통장 (소비 전용)
역할: 한 달 생활비만 넣어두고 쓰는 통장 특징:
- 이 통장 돈만 쓰기
- 월말에 잔액 거의 0원이 목표
- 체크카드 연결
추천 은행: 인터넷은행 (토스, 카카오뱅크)
- 수수료 무료
- 소비 내역 한눈에 보기
3. 저축통장 (절대 손대지 않기)
역할: 목돈 만들기 특징:
- 자동이체로만 입금
- 절대 출금 금지
- 목표 금액 달성 전까지 잠금
추천 상품:
- 자유적금 (언제든 추가 입금 가능)
- CMA 계좌 (연 3~4% 이자)
고급 통장 구조 (5~6통장 시스템)
더 세분화하고 싶다면 아래 구조를 추천합니다.
1. 월급통장
- 역할: 월급 입금 → 즉시 분산
2. 생활비통장
- 역할: 식비, 교통비, 생필품
- 금액: 월급의 40~50%
3. 고정비통장
- 역할: 월세, 통신비, 보험료
- 금액: 월급의 20~30%
- 자동이체로 빠져나감
4. 저축통장 (단기)
- 역할: 1년 이내 목표 (여행, 명절 비용)
- 금액: 월급의 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