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왜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르는가? - 서울, 도쿄, 런던의 집값 분석

· 약 7분
silkroad
go to happy

"집값이 너무 비싸서 평생 내 집 마련은 꿈도 못 꿀 것 같아요."

30대 직장인 김씨의 한숨 섞인 말입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10억 원을 넘어선 지금, 젊은 세대에게 내 집 마련은 점점 더 요원한 꿈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현상은 비단 한국만의 문제일까요?

오늘은 서울, 도쿄, 런던 등 글로벌 대도시의 집값이 왜 계속 오르는지 그 구조적 이유를 파헤쳐보겠습니다.

📊 글로벌 대도시 집값, 얼마나 올랐을까?

서울 - 20년 만에 4배 상승

2004년: 서울 아파트 평균 2.5억 원
2024년: 서울 아파트 평균 10억 원 돌파
상승률: 약 400%

강남 재건축 아파트는 50억 원을 넘어섰고, 심지어 100억 원대 아파트도 등장했습니다. 같은 기간 평균 급여는 2배 정도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집값 상승 속도가 소득 증가를 압도적으로 앞질러버린 것이죠.

도쿄 - 버블 붕괴 후 30년 만에 회복

1990년: 도쿄 아파트 평균 약 6,000만 엔
1995년: 버블 붕괴, 2,500만 엔까지 급락
2024년: 7,000만 엔 돌파 (역대 최고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동안 부동산 가격이 폭락했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도쿄 집값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 급등하며 버블 시절 가격을 넘어섰습니다.

런던 - 글로벌 자본의 각축장

2000년: 런던 평균 주택 가격 £150,000 (약 2.7억 원)
2024년: 런던 평균 주택 가격 £540,000 (약 9.7억 원)
상승률: 약 360%

런던 중심부 프라임 지역(켄싱턴, 첼시 등)의 부동산은 평균 £2,000,000(약 36억 원)을 넘어섭니다. 세계 각국의 부호들이 런던 부동산을 사들이면서 현지인들은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습니다.

뉴욕 맨해튼 - 세계 최고의 집값

평균 아파트 가격: $1,200,000 (약 16억 원)
센트럴파크 인근 펜트하우스: $100,000,000 (약 1,330억 원)

뉴욕 맨해튼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 시장 중 하나입니다. 심지어 원룸(스튜디오) 가격이 한국 돈으로 5억 원을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왜 대도시 집값은 계속 오를까?

1. 토지 공급의 절대적 한계

"땅은 더 이상 만들 수 없다" - 마크 트웨인

부동산 가격 상승의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토지 공급의 한계입니다.

서울의 경우:

  • 서울 면적: 605km² (변하지 않음)
  • 인구: 950만 명 (밀도 세계 5위)
  • 그린벨트 규제로 신규 개발 제한
  • 한강, 산지 등으로 인해 실제 개발 가능 면적은 더 적음

결과: 한정된 땅에 더 많은 사람이 몰리면,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2.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

글로벌 트렌드: 사람들은 대도시로 몰린다

도시도시권 인구국가 전체 인구 대비
서울2,600만 명한국 인구의 50%
도쿄3,800만 명일본 인구의 30%
런던1,500만 명영국 인구의 22%
뉴욕2,000만 명미국 인구의 6%

왜 대도시로 몰릴까?

  1. 일자리: 대기업, 금융, IT, 문화산업 등 고소득 일자리는 대도시에 집중
  2. 교육: 명문 대학, 학군, 학원가
  3. 편의시설: 병원, 문화시설, 교통 인프라
  4. 네트워크 효과: 사람들이 모일수록 더 많은 기회 창출

3. 저금리 시대의 자산 인플레이션

2000년대 이후 전 세계는 저금리 시대로 진입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 금리: 5-7%
2010년대 금리: 1-3%
2020년대 초반(코로나 시기): 0-1%

저금리가 집값에 미친 영향:

예시: 5억 원 대출 (30년 상환)

  • 금리 5%: 월 상환액 약 270만 원
  • 금리 2%: 월 상환액 약 185만 원

월 상환액이 같다면, 금리가 낮을수록 더 많은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즉, 같은 소득으로 더 비싼 집을 살 수 있게 된 것이죠.

추가 요인:

  • 은행 예금 금리 하락 → 부동산이 더 매력적인 투자처로
  •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 시중에 풀린 돈이 부동산으로 유입
  • "빚내서 집 사는 게 이득"이라는 인식 확산

4. 공급 규제와 님비(NIMBY) 현상

대도시일수록 신규 개발이 어렵습니다.

서울:

  • 그린벨트 규제 (서울 면적의 약 27%)
  • 한강변 고도 제한
  • 문화재 보호구역
  • 주민 반대 (님비 현상)

런던:

  • 엄격한 건축 높이 제한
  • 역사 건물 보존 규정
  • 그린벨트 정책 (런던 주변 땅의 35%)

결과:

  • 공급은 제한적 → 수요는 지속 → 가격 상승

님비(NIMBY) 현상: "Not In My BackYard" - 내 뒷마당에는 안 돼!

이미 집을 산 사람들은 신규 개발을 반대합니다. 새 아파트가 들어서면 자기 집값이 떨어질까 봐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공급은 더욱 제한됩니다.

5. 부동산 = 안전자산 인식

"부동산 불패 신화"

한국, 일본(과거), 영국 등에서 부동산은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인식됩니다.

왜 부동산이 안전자산일까?

  1. 실물 자산: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음
  2. 꾸준한 수요: 사람은 어디든 살아야 하므로
  3. 인플레이션 헤지: 물가가 오르면 부동산 가격도 오름
  4. 레버리지 효과: 대출로 큰 자산 매수 가능
  5. 역사적 경험: "집값은 장기적으로 항상 올랐다"

6. 글로벌 자본의 유입

대도시 부동산은 이제 글로벌 자산입니다.

런던 사례:

  • 중동 오일머니
  • 러시아 올리가르히
  • 중국 부호들
  • 홍콩, 싱가포르 투자자들

→ 현지인들은 가격 경쟁에서 밀려남

뉴욕 사례:

  • 남미, 유럽, 아시아 부호들의 안전자산 선호
  • 맨해튼 고급 아파트의 30%가 해외 자본

서울도 예외는 아닙니다:

  • 중국 자본의 유입 (2010년대 강남 일부 지역)
  • 화교 자본, 외국인 투자자 증가

📈 각 도시별 특징과 전망

서울 - 강남 프리미엄과 재건축 광풍

특징:

  •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 집중 현상
    •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의 40%
    • 학군 + 편의시설 + 재건축 기대감
  • 재건축 프리미엄
    • 30년 이상 노후 아파트 → 재건축 기대 → 가격 급등
    • 강남 은마아파트: 50억 원 돌파 (2024년)
  • 정부 규제 vs 시장 수요
    • 다주택자 중과세, LTV/DTI 규제
    • 규제에도 불구하고 실수요와 투자 수요 지속

전망:

  • 단기: 금리 인상으로 조정 가능
  • 장기: 서울 집중 현상이 계속되면 상승 압력 지속

도쿄 - 저출산과 고령화 속 부활

특징:

  • 30년 만의 회복
    • 1990년대 버블 붕괴 후 장기 침체
    • 2013년 아베노믹스 이후 회복
    • 2020년 이후 급등 (코로나 + 초저금리)
  • 도심 회귀 현상
    • 젊은 세대가 도쿄 중심부로 이동
    • 직주근접 선호, 재택근무 증가
  • 외국인 투자 증가
    • 엔저 효과로 해외 투자자 유입
    • 오사카, 교토 등도 상승

전망:

  • 저출산/고령화로 장기적으로는 하방 압력
  • 그러나 도쿄 중심부는 계속 상승 가능성

런던 - 브렉시트에도 흔들리지 않는 집값

특징:

  • 글로벌 자본의 놀이터
    • 세계 각국 부호들의 안전자산
    • 런던 프라임 지역은 거의 외국인 소유
  • 브렉시트 이후
    • 일시적 하락(2016-2019)
    • 2020년 이후 다시 급등
  • 임대 시장 호황
    • 매매가 비싸 임대 수요 폭발
    • 임대료도 함께 급등

전망:

  •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의 지위 유지 → 집값 견조

뉴욕 맨해튼 - 세계 최고의 집값

특징:

  • 세계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
    • 펜트하우스 수천억 원대
    • 원룸도 5억 원 이상
  • 월스트리트 효과
    • 금융 종사자들의 높은 소득
    • 주식 옵션, 보너스로 현금 부자 양산
  • 지속적인 공급 부족
    • 맨해튼은 섬이라 물리적 한계 명확
    • 신축은 초고층으로만 가능

전망:

  • 재택근무 확산으로 일부 조정
  •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강세

🤔 그렇다면 집값은 계속 오를까?

상승 요인 (Bull Case)

  1. 도시화는 계속된다

    • 전 세계적으로 농촌 → 도시 이동 지속
    • 2050년까지 도시 인구 70% 예상 (UN)
  2. 토지는 한정적이다

    • 새로운 땅은 만들 수 없음
    • 특히 대도시 중심부는 절대 희소성
  3. 저금리 기조 지속 가능성

    • 고령화로 구조적 저성장 → 저금리 장기화
    • 부동산 대출 접근성 유지
  4. 자산 인플레이션

    • 돈은 계속 풀림 (양적완화)
    • 실물 자산 선호 지속

하락 요인 (Bear Case)

  1. 저출산과 인구 감소

    • 한국: 2025년부터 인구 감소
    • 일본: 이미 인구 감소 중
    • 장기적으로 수요 감소 가능
  2. 금리 인상 사이클

    • 2022-2024년 미국 기준금리 5% 이상
    • 대출 부담 증가 → 실수요 감소
  3. 청년층의 내집 마련 포기

    •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피로도 증가
    • 전세/월세 선호 증가
    • "집 안 사도 된다"는 인식 확산
  4. 재택근무와 지방 분산

    •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 확산
    • 굳이 대도시에 살 필요성 감소
    • 지방 도시 재평가 가능성
  5. 정부 규제

    • 다주택자 중과세
    • 공급 확대 정책
    • 임대차 3법 등

💡 결론: 집값의 미래는?

단기(1-3년): 조정 가능성

  • 금리 인상, 경기 침체로 단기 조정 가능
  • 특히 투자 수요가 많았던 지역은 하락 가능성

중기(5-10년): 횡보 또는 완만한 상승

  • 인구 감소 시작
  • 그러나 대도시 집중은 계속
  • 지역별 차별화 심화 (강남 vs 지방)

장기(10년 이상): 불확실

  • 인구 감소의 충격이 본격화
  • 그러나 서울/도쿄/런던 같은 글로벌 중심 도시는 여전히 강세 가능
  • 기술 발달(메타버스, 원격근무)로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실거주 목적이라면

  1. 조급해하지 마세요

    • 영끌은 위험합니다
    • 금리 인상기에는 신중하게
  2. 자신의 소득 수준에 맞게

    • DSR 40% 이내로 유지
    • 최소 생활비는 확보
  3. 지역을 현명하게 선택

    • 꼭 강남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 교통, 직장 접근성 우선

투자 목적이라면

  1. 장기 관점에서 접근

    • 단기 시세 차익은 위험
    • 10년 이상 보유 각오
  2. 입지가 전부

    • 대도시 중심부, 역세권
    • 인구 유입이 계속되는 지역
  3. 분산 투자 고려

    • 부동산만 올인은 위험
    • 주식, ETF 등 다양한 자산 배분

마무리하며

"집값이 계속 오를까?"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글로벌 대도시의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구조적이고 복합적입니다.

  • 토지 공급의 한계
  •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
  • 저금리 시대의 자산 인플레이션
  • 공급 규제
  • 부동산 = 안전자산 인식
  • 글로벌 자본의 유입

이 요인들이 사라지지 않는 한, 대도시 집값의 장기 상승 추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잊지 마세요.

집은 투자 수단이기 이전에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공간입니다. 집값에 흔들려 불행해지기보다는, 자신의 행복과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집이 전부는 아니다."


다음 글 예고: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 부동산 버블 붕괴는 왜 일어났고, 한국은 안전할까?"

관련 백과사전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