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란? - 물가가 오르면 내 돈이 줄어드는 이유
· 약 6분
"작년에 짜장면 5,000원이었는데 올해는 7,000원이네?" 이게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내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내 돈을 어떻게 지킬 수 있는지 쉽게 설명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기본 개념
인플레이션 (Inflation)
-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 화폐 가치가 떨어지는 것
-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게 줄어드는 것
쉽게 말하면: 작년 1만원 = 짜장면 2그릇 올해 1만원 = 짜장면 1.4그릇 → 1만원의 가치 하락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측정: 소비자물가지수 (CPI)
CPI (Consumer Price Index)
- 대표 상품 가격 변화를 측정
- 식품, 주거, 교통, 의료 등 포함
- 전년 대비 % 증가율 = 물가상승률
예시 (2024년 한국):
- 2023년 CPI: 100
- 2024년 CPI: 103.5
- 물가상승률: 3.5%
인플레이션의 종류
1. 건전한 인플레이션 (2~3%)
특징:
- 경제 성장과 함께 발생
- 적정 물가 상승
- 소비/투자 활발
예시:
- 물가상승률: 연 2.5%
- 경제성장률: 연 3.0%
- 실업률: 3%
- → 경제 호황
2. 악성 인플레이션 (5% 이상)
특징:
- 급격한 물가 상승
- 화폐 가치 급락
- 생활비 부담 증가
예시 (2022년):
- 미국 물가상승률: 8%
- 유럽 물가상승률: 10%
- 식료품값 급등
- 서민 고통
3. 하이퍼인플레이션 (50% 이상)
특징:
- 극단적 물가 상승
- 화폐 붕괴
- 경제 시스템 마비
역사적 사례:
짐바브웨 (2008년)
- 월 물가상승률: 79,600,000,000%
- 100조 짐바브웨 달러 = 빵 1조각
- 화폐 포기, 달러 사용
베네수엘라 (2018년)
- 연 물가상승률: 1,000,000%
- 커피 1잔 = 200만 볼 리바르
- 국민 대탈출
독일 (1923년)
- 빵 1개 = 2,000억 마르크
- 수레에 돈 싣고 장보기
- 히틀러 집권의 원인
4. 디플레이션 (마이너스 물가)
특징:
- 물가 하락
- 소비 위축
- 경제 침체
예시 (일본 1990년대)
- 20년간 물가 하락
- "잃어버린 20년"
- 경제 장기 침체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원인: 수요 > 공급
예시 (코로나 이후)
- 경기 부양 → 돈 많이 풀림
- 소비 급증
- 공급 부족
- 물가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