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반감기 - 4년 주기의 비밀
· 약 10분
"비트코인 반감기 다가온다... 가격 폭등 예상?"
암호화폐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반감기'. 도대체 무엇이고, 왜 비트코인 가격과 연관이 있을까요?
4년마다 반복되는 이 이벤트가 비트코인 가격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라는데, 그 원리를 파헤쳐봅니다.
1. 비트코인 반감기란?
정의
Bitcoin Halving (반감기)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이벤트
원리:
21만 블록마다 자동 실행
= 약 4년마다 1번
변화:
채굴자가 받는 보상 ÷ 2
→ 새로운 비트코인 공급 감소
목적:
인플레이션 통제
→ 희소성 증가
→ 가치 유지
→ "디지털 금"의 설계
쉬운 비유
금광 채굴:
- 처음엔 금이 많이 나옴
- 시간 지날수록 점점 줄어듦
- 희소성 증가 → 가치 상승
비트코인:
- 처음엔 보상 많음 (50 BTC)
- 4년마다 반으로 줄어듦
- 2140년 채굴 종료
- 총 2,100만 개 한정
→ 프로그램된 희소성
사토시 나카모토의 설계
백서의 의도
2008년 비트코인 백서:
문제 인식:
기존 화폐의 인플레이션
→ 중앙은행의 무한 발행
→ 화폐 가치 희석
해결책:
1. 총량 제한: 2,100만 개
2. 반감기: 공급 속도 감소
3. 탈중앙화: 조작 불가능
목표:
"건전한 화폐 (Sound Money)"
→ 금처럼 희소한 디지털 자산
→ 프로그래밍으로 구현된 경제학
2. 반감기 역사
1차 반감기 (2012년 11월 28일)
Before
블록 보상: 50 BTC
일일 생산량: 7,200 BTC
연간 인플레이션율: 25%
비트코인 가격:
반감기 전: $12
시가총액: $1.2억
채굴자:
주로 개인 컴퓨터
GPU 채굴 시대
→ 초창기 실험 단계
After
블록 보상: 25 BTC (50% 감소)
일일 생산량: 3,600 BTC
가격 변화:
2012.11: $12
2013.11: $1,100 (92배 상승!)
이유:
- 공급 감소
- 인지도 상승
- 투자자 유입
결과:
첫 번째 대형 버블
→ 2014년 조정 ($200)
→ 반감기 효과 입증
2차 반감기 (2016년 7월 9일)
Before
블록 보상: 25 BTC
일일 생산량: 3,600 BTC
연간 인플레이션율: 8.3%
비트코인 가격:
반감기 전: $650
시가총액: $100억
채굴:
ASIC 채굴기 시대
전문 채굴장 등장
→ 산업화 단계
After
블록 보상: 12.5 BTC
일일 생산량: 1,800 BTC
가격 변화:
2016.7: $650
2017.12: $19,783 (30배 상승!)
특징:
- 기관 투자자 진입
- 선물 시장 출범
- 글로벌 열풍
정점 후:
2018년 조정 ($3,200)
→ 84% 하락
→ 주기성 확인
3차 반감기 (2020년 5월 11일)
Before
블록 보상: 12.5 BTC
일일 생산량: 1,800 BTC
연간 인플레이션율: 3.7%
비트코인 가격:
반감기 전: $8,700
시가총액: $1,600억
환경:
코로나19 팬데믹
→ 무제한 양적완화
→ 인플레이션 우려
→ 거시경제 변수 등장
After
블록 보상: 6.25 BTC
일일 생산량: 900 BTC
가격 변화:
2020.5: $8,700
2021.11: $69,000 (8배 상승)
새로운 특징:
- 테슬라 150억 달러 매수
- 엘살바도르 법정화폐 채택
- 기관 투자 본격화
- ETF 승인 논의
정점 후:
2022년 조정 ($16,000)
→ 76% 하락
→ 제도권 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