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vs 주택담보대출
뜻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은 둘 다 주택과 관련된 대출이지만, 목적과 담보가 완전히 다릅니다. 전세대출은 세입자가 전세금을 마련하기 위한 대출이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집을 사기 위해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입니다.
기본 비교
| 구분 | 전세대출 | 주택담보대출 |
|---|---|---|
| 대상 | 세입자 | 집주인 (예정자) |
| 목적 | 전세금 마련 | 주택 구매 |
| 담보 | 전세권 or 임차권 | 주택 |
| 한도 | 전세가의 80-90% | 집값의 40-80% |
| 금리 | 3-5% | 3.5-6% |
| 상환 | 만기 일시상환 | 분할상환 or 일시상환 |
| 기간 | 2년 (연장 가능) | 10-30년 |
전세대출 상세
전세대출이란?
세입자가 전세금을 빌리기 위한 대출
담보: 전세 계약서 (임차권)
예시:
- 전세가: 3억원
- 자기자본: 5,000만원
- 전세대출: 2억 5,000만원 (80%)
전세대출 종류
1. 버팀목 전세대출 (정책 대출):
- 한도: 최대 3억원
- 금리: 1.8-3.0% (소득별)
- 조건: 무주택, 소득 5,000만원 이하
2. 은행 전세대출:
- 한도: 전세가의 80%
- 금리: 4-5%
- 조건: 신용도에 따라
3. 보증금 담보대출:
- 한도: 전세가의 90%
- 금리: 3-4%
- 조건: HUG/SGI 보증서 필요
전세대출 장단점
장점:
- 낮은 금 리 (정책 대출)
- 이자만 납부
- 전세 종료 시 일시상환
- DTI/DSR 부담 적음
단점:
- 2년마다 갱신 필요
- 전세 종료 시 목돈 필요
- 전세가 상승 시 추가 자금 필요
주택담보대출 상세
주택담보대출이란?
집을 사기 위해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
담보: 구매하는 주택
예시:
- 집값: 10억원
- 자기자본: 4억원 (40%)
- 주담대: 6억원 (LTV 60%)
주택담보대출 종류
1. 신용대출 (주담대):
- 한도: LTV 40-80% (규제지역 차등)
- 금리: 4-6%
- 조건: 신용도, 소득
2. 보금자리론 (정책 대출):
- 한도: 최대 5억원
- 금리: 3.5-5.0%
- 조건: 주택가격 6억 이하
3. 적격대출:
- 한도: LTV 70%
- 금리: 우대
- 조건: 실거주, 소득 조건
주택담보대출 상환 방식
1. 원리금 균등 상환:
매월 동일 금액 상환 (원금 + 이자)
초반: 이자 비중 높음
후반: 원금 비중 높음
예시 (1억원, 금리 4%, 20년):
- 월 상환액: 약 60만원 (고정)
2. 원금 균등 상환:
매월 원금 동일 + 이자 (점점 감소)
초반: 상환액 높음
후반: 상환액 낮음
예시 (1억원, 금리 4%, 20년):
- 첫 달: 약 75만원
- 마지막 달: 약 42만원
3. 만기 일시 상환:
매월 이자만 납부
만기 시 원금 일시 상환
예시 (1억원, 금리 4%):
- 월 이자: 약 33만원
- 만기 시: 1억원 일시상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