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vs 주택담보대출
뜻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은 둘 다 주택과 관련된 대출이지만, 목적과 담보가 완전히 다릅니다. 전세대출은 세입자가 전세금을 마련하기 위한 대출이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집을 사기 위해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입니다.
기본 비교
| 구분 | 전세대출 | 주택담보대출 |
|---|---|---|
| 대상 | 세입자 | 집주인 (예정자) |
| 목적 | 전세금 마련 | 주택 구매 |
| 담보 | 전세권 or 임차권 | 주택 |
| 한도 | 전세가의 80-90% | 집값의 40-80% |
| 금리 | 3-5% | 3.5-6% |
| 상환 | 만기 일시상환 | 분할상환 or 일시상환 |
| 기간 | 2년 (연장 가능) | 10-30년 |
전세대출 상세
전세대출이란?
세입자가 전세금을 빌리기 위한 대출
담보: 전세 계약서 (임차권)
예시:
- 전세가: 3억원
- 자기자본: 5,000만원
- 전세대출: 2억 5,000만원 (80%)
전세대출 종류
1. 버팀목 전세대출 (정책 대출):
- 한도: 최대 3억원
- 금리: 1.8-3.0% (소득별)
- 조건: 무주택, 소득 5,000만원 이하
2. 은행 전세대출:
- 한도: 전세가의 80%
- 금리: 4-5%
- 조건: 신용도에 따라
3. 보증금 담보대출:
- 한도: 전세가의 90%
- 금리: 3-4%
- 조건: HUG/SGI 보증서 필요
전세대출 장단점
장점:
- 낮은 금리 (정책 대출)
- 이자만 납부
- 전세 종료 시 일시상환
- DTI/DSR 부담 적음
단점:
- 2년마다 갱신 필요
- 전세 종료 시 목돈 필요
- 전세가 상승 시 추가 자금 필요
주택담보대출 상세
주택담보대출이란?
집을 사기 위해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
담보: 구매하는 주택
예시:
- 집값: 10억원
- 자기자본: 4억원 (40%)
- 주담대: 6억원 (LTV 60%)
주택담보대출 종류
1. 신용대출 (주담대):
- 한도: LTV 40-80% (규제지역 차등)
- 금리: 4-6%
- 조건: 신용도, 소득
2. 보금자리론 (정책 대출):
- 한도: 최대 5억원
- 금리: 3.5-5.0%
- 조건: 주택가격 6억 이하
3. 적격대출:
- 한도: LTV 70%
- 금리: 우대
- 조건: 실거주, 소득 조건
주택담보대출 상환 방식
1. 원리금 균등 상환:
매월 동일 금액 상환 (원금 + 이자)
초반: 이자 비중 높음
후반: 원금 비중 높음
예시 (1억원, 금리 4%, 20년):
- 월 상환액: 약 60만원 (고정)
2. 원금 균등 상환:
매월 원금 동일 + 이자 (점점 감소)
초반: 상환액 높음
후반: 상환액 낮음
예시 (1억원, 금리 4%, 20년):
- 첫 달: 약 75만원
- 마지막 달: 약 42만원
3. 만기 일시 상환:
매월 이자만 납부
만기 시 원금 일시 상환
예시 (1억원, 금리 4%):
- 월 이자: 약 33만원
- 만기 시: 1억원 일시상환
시나리오별 비교
시나리오 1: 청년 (30세, 무주택)
상황:
- 소득: 연 5,000만원
- 자산: 5,000만원
- 목표: 서울 전세 or 경기 소형 아파트
전세 (3억원):
자기자본: 5,000만원
전세대출: 2억 5,000만원 (버팀목)
월 이자: 약 50만원 (2.4%)
주택 구매 (3억원, 경기):
자기자본: 1억 2,000만원 (40%)
주담대: 1억 8,000만원 (LTV 60%)
월 상환: 약 110만원 (원리금 균등, 20년)
비교:
- 전세: 월 50만원, 자금 5,000만원
- 구매: 월 110만원, 자금 1억 2,000만원
- → 전세가 부담 적음
시나리오 2: 맞벌이 부부 (35세)
상황:
- 합산 소득: 연 1억원
- 자산: 2억원
- 목표: 서울 아파트
전세 (7억원):
자기자본: 1억원
전세대출: 6억원
월 이자: 약 200만원 (4%)
2년 후 갱신 불안
주택 구매 (10억원):
자기자본: 4억원 (40%)
주담대: 6억원 (LTV 60%)
월 상환: 약 360만원 (원리금 균등, 20년)
집값 상승 시 자산 증가
비교:
- 전세: 월 200만원, 2년 갱신 리스크
- 구매: 월 360만원, 자산 형성
- → 소득 충분하면 구매 검토
시나리오 3: 갭투자 (투자 목적)
상황:
- 목표: 5억원 아파트 갭투자
- 전세가: 3억원 (전세가율 60%)
전략:
매매가: 5억원
전세가: 3억원
갭: 2억원
필요 자금:
- 갭: 2억원
- 취득세: 3,000만원
- 기타: 1,000만원
- 총: 2억 4,000만원
주담대: 3억원 (LTV 60%)
전세 보증금: 3억원
실투자금: 2억 4,000만원 - 주담대 3억원 = -6,000만원
주의:
- 주담대 + 전세 보증금으로 실투자금 최소화
- 집값 하락 시 역전세 위험
- 전세 종료 시 재계약 필요
금리 비교 (2024년)
전세대출 금리
| 종류 | 금리 | 조건 |
|---|---|---|
| 버팀목 (청년) | 1.8-2.4% | 만 34세 이하 |
| 버팀목 (일반) | 2.4-3.0% | 소득 5천만원 이하 |
| 은행 전세대출 | 4.0-5.0% | 신용도별 |
| 보증금 담보 | 3.5-4.5% | 보증서 필요 |
주택담보대출 금리
| 종류 | 금리 | 조건 |
|---|---|---|
| 보금자리론 | 3.5-5.0% | 6억 이하 |
| 적격대출 | 4.0-5.5% | LTV 70% |
| 일반 주담대 | 4.5-6.0% | 신용도별 |
| 생애최초 | 3.0-4.0% | 특별공급 당첨 |
DSR 영향
DSR이란?
DSR = 연간 총 대출 원리금 ÷ 연소득
규제:
- DSR 40% 이하만 대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