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율
뜻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로, 집값 중 전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냅니다. 전세 시장의 건강도와 부동산 시장 방향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세한 설명
계산 방법
전세가율(%) = (전세가 ÷ 매매가) × 100
예시
- 매매가: 10억원
- 전세가: 7억원
- 전세가율 = 7억 ÷ 10억 × 100 = 70%
적정 전세가율
일반적 기준
| 전세가율 | 평가 | 의미 |
|---|---|---|
| 50% 이하 | 매우 낮음 | 매매 시장 과열, 임대 수익 높음 |
| 50-60% | 적정 | 안정적 |
| 60-70% | 다소 높음 | 매매 시장 둔화, 전세 선호 |
| 70-80% | 높음 | 갭투자 어려움, 전세 품귀 |
| 80% 이상 | 매우 높음 | 위험, 역전세 가능성 |
왜 60%가 적정선인가?
임대 수익률 관점:
매매가 10억, 전세가 6억
갭(4억) 투자로 10억 집 소유
전세 보증금 이자(연 3%) = 1,800만원
갭 대비 수익률 = 1,800만 ÷ 4억 = 4.5%
- 4-5% 정도가 적정 수익률
- 60% 전세가율이 합리적
한국의 전세가율 추이
서울 전세가율
| 연도 | 전세가율 | 상황 |
|---|---|---|
| 2010 | 53% | 안정적 |
| 2015 | 58% | 적정 |
| 2017 | 67% | 상승 |
| 2021 | 74% | 역대 최고 (전세 대란) |
| 2022 | 71% | 매매 하락으로 상승 |
| 2023 | 68% | 소폭 하락 |
| 2024 | 65% | 정상화 |
지역별 전세가율 (2024년)
| 지역 | 전세가율 | 특징 |
|---|---|---|
| 서울 | 65% | 높은 편 |
| 강남 | 58% | 상대적 낮음 (매매가 높음) |
| 강북 | 72% | 높음 |
| 경기 | 68% | 높은 편 |
| 지방 | 55-60% | 적정 |
전세가율의 의미
전세가율 상승 의미
전세가↑ > 매매가↑ 또는 매매가↓
원인:
- 전세 수요 급증
- 매매 시장 침체
- 전세 공급 부족
- 월세 전환 증가
결과:
- 갭투자 어려움
- 세입자 부담 증가
- 역전세 위험
전세가율 하락 의미
매매가↑ > 전세가↑ 또는 전세가↓
원인:
- 매매 시장 과열
- 전세 수요 감소
- 월세 전환
- 공급 증가
결과:
- 갭투자 매력 증가
- 임대 수익률 상승
- 세입자 부담 완화
갭투자와 전세가율
갭투자 공식
갭 = 매매가 - 전세가
실투자금 = 갭 + 취득세 + 중개수수료
전세가율별 갭투자 매력도
| 전세가율 | 갭 | 평가 |
|---|---|---|
| 50% | 5억 | 자금 부담 큼 |
| 60% | 4억 | 적정 |
| 70% | 3억 | 레버리지 높음 |
| 80% | 2억 | 위험 (역전세) |
적정 전세가율: 60-70%
- 너무 낮으면 자금 부담
- 너무 높으면 역전세 위험
역전세 위험
역전세란?
전세가율 > 100%
전세금 > 매매가
발생 원인:
- 매매가 급락
- 전세 수요 급증
- 신규 전세 거래 시 기존 전세금보다 높아짐
역전세 위험 지역 (2023-2024)
- 경기 일부 지역
- 지방 신도시
- 구축 빌라
대응:
- 전세 계약 전 갭 확인
- 전세보증보험 가입
- 임대인 재무 상태 확인
투자 전략
전세가율 60% 이하 (낮음)
매수 관점:
- 갭투자 매력적
- 임대 수익률 높음
- 하지만 매매가 고점 가능성 (조정 위험)
전세가율 70% 이상 (높음)
매수 관점:
- 갭투자 어려움
- 매매가 저평가 가능성
- 장기 실거주 목적은 기회
세입자 관점:
- 전세 어려움
- 월세 전환 검토
- 매매 전환 고려
전세가율과 시장 사이클
상승기 (전세가율 하락)
매매가↑↑ > 전세가↑
전세가율 하락
- 투자 심리 과열
- 갭투자 증가
- 전세→월세 전환 증가
하락기 (전세가율 상승)
매매가↓↓ > 전세가↓
전세가율 상승
- 투자 심리 위축
- 갭투자 감소
- 역전세 위험 증가
횡보기 (전세가율 안정)
매매가 ≈ 전세가
전세가율 안정 (60-65%)
- 시장 균형
- 관망세
- 안정적 거래
자주 묻는 질문
Q1. 전세가율이 높으면 전세가가 비싼 건가요? A1. 아닙니다. 전세가율은 '비율'이므로,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높다는 의미입니다. 전세가 절대값과는 다릅니다.
Q2. 전세가율 80% 아파트에 전세 들어가도 되나요? A2. 위험합니다. 역전세 가능성이 있고, 임대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권장합니다.
Q3. 전세가율이 낮으면 세입자에게 유리한가요? A3. 네, 전세가율이 낮으면 전세 공급이 많고, 세입자 선택권이 커집니다. 또한 역전세 위험이 적어 안전합니다.
Q4. 갭투자할 때 적정 전세가율은? A4. 일반적으로 60-70%가 적정합니다. 60% 이하는 자금 부담이 크고, 70% 이상은 역전세 위험이 있습니다.
관련 용어
전세 vs 월세 판단
전세가율로 판단하기
전세가율 60% 이하:
- 전세 유리 (전세금 이자 부담 < 월세)
- 전세 추천
전세가율 70% 이상:
- 월세 검토
- 계산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