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율
뜻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로, 집값 중 전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냅니다. 전세 시장의 건강도와 부동산 시장 방향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세한 설명
계산 방법
전세가율(%) = (전세가 ÷ 매매가) × 100
예시
- 매매가: 10억원
- 전세가: 7억원
- 전세가율 = 7억 ÷ 10억 × 100 = 70%
적정 전세가율
일반적 기준
| 전세가율 | 평가 | 의미 |
|---|---|---|
| 50% 이하 | 매우 낮음 | 매매 시장 과열, 임대 수익 높음 |
| 50-60% | 적정 | 안정적 |
| 60-70% | 다소 높음 | 매매 시장 둔화, 전세 선호 |
| 70-80% | 높음 | 갭투자 어려움, 전세 품귀 |
| 80% 이상 | 매우 높음 | 위험, 역전세 가능성 |
왜 60%가 적정선인가?
임대 수익률 관점:
매매가 10억, 전세가 6억
갭(4억) 투자로 10억 집 소유
전세 보증금 이자(연 3%) = 1,800만원
갭 대비 수익률 = 1,800만 ÷ 4억 = 4.5%
- 4-5% 정도가 적정 수익률
- 60% 전세가율이 합리적
한국의 전세가율 추이
서울 전세가율
| 연도 | 전세가율 | 상황 |
|---|---|---|
| 2010 | 53% | 안정적 |
| 2015 | 58% | 적정 |
| 2017 | 67% | 상승 |
| 2021 | 74% | 역대 최고 (전세 대란) |
| 2022 | 71% | 매매 하락으로 상승 |
| 2023 | 68% | 소폭 하락 |
| 2024 | 65% | 정상화 |
지역별 전세가율 (2024년)
| 지역 | 전세가율 | 특징 |
|---|---|---|
| 서울 | 65% | 높은 편 |
| 강남 | 58% | 상대적 낮음 (매매가 높음) |
| 강북 | 72% | 높음 |
| 경기 | 68% | 높은 편 |
| 지방 | 55-60% | 적정 |
전세가율의 의미
전세가율 상승 의미
전세가↑ > 매매가↑ 또는 매매가↓
원인:
- 전세 수요 급증
- 매매 시장 침체
- 전세 공급 부족
- 월세 전환 증가
결과:
- 갭투자 어려움
- 세입자 부담 증가
- 역전세 위험
전세가율 하락 의미
매매가↑ > 전세가↑ 또는 전세가↓
원인:
- 매매 시장 과열
- 전세 수요 감소
- 월세 전환
- 공급 증가
결과:
- 갭투자 매력 증가
- 임대 수익률 상승
- 세입자 부담 완화
갭투자와 전세가율
갭투자 공식
갭 = 매매가 - 전세가
실투자금 = 갭 + 취득세 + 중개수수료
전세가율별 갭투자 매력도
| 전세가율 | 갭 | 평가 |
|---|---|---|
| 50% | 5억 | 자금 부담 큼 |
| 60% | 4억 | 적정 |
| 70% | 3억 | 레버리지 높음 |
| 80% | 2억 | 위험 (역전세) |
적정 전세가율: 60-70%
- 너무 낮으면 자금 부담
- 너무 높으면 역전세 위험
역전세 위험
역전세란?
전세가율 > 100%
전세금 > 매매가
발생 원인:
- 매매가 급락
- 전세 수요 급증
- 신규 전세 거래 시 기존 전세금보다 높아짐
역전세 위험 지역 (2023-2024)
- 경기 일부 지역
- 지방 신도시
- 구축 빌라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