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R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뜻
PIR(Price to Income Ratio)은 중 위 주택 가격을 중위 가구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집값이 연봉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부동산 지표입니다. 주택 구매 부담 정도를 국제 비교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자세한 설명
계산 방법
PIR = 중위 주택 가격 ÷ 중위 가구 연소득
예시
- 서울 중위 주택 가격: 12억원
- 서울 중위 가구 연소득: 7,200만원
- 서울 PIR = 12억 ÷ 7,200만 = 16.7배
해석:
- 한 푼도 안 쓰고 16.7년을 벌어야 집을 살 수 있음
- 실제로는 생활비를 쓰므로 더 오래 걸림
적정 PIR 수준
국제 기준
| PIR | 평가 | 의미 |
|---|---|---|
| 3배 이하 | 매우 적정 | 쉽게 구매 가능 |
| 3-5배 | 적정 | 구매 가능 |
| 5-7배 | 주의 | 부담스러움 |
| 7-10배 | 위험 | 매우 부담 |
| 10배 이상 | 심각 | 버블 의심 |
왜 5배가 적정선인가?
- 연소득의 30%를 주택 관련 비용으로 사용
- 30년 대출 + 이자 감안
- 약 5배가 현실적 구매 가능 수준
한국의 PIR 현황
서울 PIR 추이
| 연도 | PIR | 평가 |
|---|---|---|
| 2010 | 11.0 | 높음 |
| 2015 | 10.5 | 높음 |
| 2020 | 15.2 | 매우 높음 |
| 2021 | 18.5 | 역대 최고 |
| 2023 | 16.2 | 여전히 높음 |
| 2024 | 15.8 | 완만한 개선 |
지역별 PIR (2024년)
| 지역 | PIR | 평가 |
|---|---|---|
| 서울 | 15.8 | 매우 높음 |
| 강남3구 | 25+ | 심각 |
| 경기 | 10.2 | 높음 |
| 인천 | 8.5 | 주의 |
| 부산 | 7.1 | 주의 |
| 대구 | 6.2 | 적정 범위 |
| 지방 | 4-6 | 적정 |
세계 주요 도시 비교
2024년 기준
| 도시 | PIR | 순위 |
|---|---|---|
| 홍콩 | 23.2 | 1위 |
| 시드니 | 13.8 | 2위 |
| 밴쿠버 | 13.0 | 3위 |
| 서울 | 15.8 | Top 5 |
| 런던 | 10.7 | |
| 도쿄 | 8.3 | |
| 뉴욕 | 6.9 | |
| 베를린 | 5.2 |
한국의 특징:
- 서울은 세계 Top 5 고비용 도시
- 선진국 중 최고 수준
- 청년들의 내집 마련이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
PIR이 높은 이유
1. 공급 부족
- 서울 주택 보급률: 약 95%
- 선호 지역 집중 (강남, 마포, 용산 등)
- 개발 가능 땅 한계
2. 강한 내집 마련 문화
- 전세 → 매매 전환 압력
- 결혼 = 집 필수
- 자산 축적 수단
3. 저금리 시대 (2020-2021)
- 대출이 쉬워짐
- 투기 수요 유입
- "빚내서라도 사라" 분위기
4. 양극화
- 고소득층의 다주택
- 저소득층은 영원히 불가능
PIR 높으면 어떤 문제?
1. 청년층 내집 마련 포기
서울 PIR 15.8배 → 연봉 5,000만원이면 집값 7.9억
- 강남은 20억 이상
- 자기자본 40% = 3.2억 필요
- 불가능에 가까움
2. 출산율 저하
- 집 없으면 결혼/출산 포기
- 한국 출산율 0.72명 (세계 최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