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연금저축

연금저축은 개인이 자유롭게 납입하여 노후를 준비하는 사적연금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면서 장기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절세 상품입니다.

핵심 혜택

1. 세액공제 (최대 99만원)

납입 한도 및 공제율

  • 연 600만원까지 납입 가능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6.5% 공제 (최대 99만원)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13.2% 공제 (최대 79.2만원)

2. 운용 수익 비과세

  • 계좌 내 모든 수익은 과세 이연
  • 연금 수령 시 3.3~5.5% 낮은 세율로 과세

3. IRP와 합산 가능

  •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 총 900만원 세액공제

가입 조건

  • 누구나 가입 가능 (소득 제한 없음)
  •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무직자 모두 가능
  • 여러 금융사에 복수 계좌 개설 가능

연금저축 종류

1. 연금저축펀드 (증권사)

  • 국내외 주식, 펀드, ETF 투자 가능
  • 수익률 높지만 원금 손실 위험
  • 가장 많이 선택

2. 연금저축보험 (보험사)

  • 원금 보장
  • 수익률 낮음 (2~3%)
  •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위험

3. 연금저축신탁 (은행)

  • 예금처럼 안전
  • 수익률 가장 낮음 (1~2%)
  • 현재는 대부분 판매 중단

인출 조건

연금 수령 (정상)

조건

  • 만 55세 이후
  • 10년 이상 연금 수령 (연 한도: 1,200만원)

세율

  • 3.3~5.5% 연금소득세 (나이에 따라 차등)
    • 55~69세: 5.5%
    • 70~79세: 4.4%
    • 80세 이상: 3.3%

중도 해지 (비추천)

세금

  • 기타소득세 16.5% (지방세 포함)
  • 그동안 받은 세액공제 토해내기 + α

예시

  • 연금저축에 600만원 × 5년 = 3,000만원 납입
  • 세액공제 총 495만원 (99만원 × 5년)
  • 중도 해지 시 495만원 토해냄 + 운용수익에도 16.5% 과세

연금저축 vs IRP

구분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600만원900만원
퇴직금 입금불가능가능
개별 주식불가불가
ETF가능가능
계좌 수여러 개 가능1개만
연 연금 한도1,200만원계좌 평가액의 1/11

실전 예시

예시 1: 25세부터 30년 투자로 6억원 만들기

25세 직장인 A씨 (연봉 4,000만원)

전략

  • 매월 50만원 자동이체 (연 600만원)
  • S&P500 ETF 70% + 국내 주식 ETF 30%
  • 연평균 수익률 7% 가정

30년 후 (55세) 결과

  • 총 납입액: 1억 8,000만원
  • 세액공제 환급: 2,970만원 (99만원 × 30년)
  • 운용 수익: 약 4억 2,000만원
  • 총 자산: 약 6억원

세액공제 재투자 시

  • 매년 99만원 환급 → 추가 투자
  • 추가 납입 총액: 2,970만원
  • 추가 수익: 약 4,000만원
  • 총 자산: 약 6억 4,000만원

월 환산

  • 실질 월 납입: 41만원 (50만 - 8만 환급)
  • 30년 후 수령: 월 약 533만원 (10년 분할)

예시 2: 중도 해지의 엄청난 손해

30대 직장인 B씨

5년간 납입

  • 연 600만원 × 5년 = 3,000만원
  • 세액공제 환급: 495만원 (99만원 × 5년)
  • 운용 수익률 7%
  • 5년 후 평가액: 약 3,500만원

중도 해지 시

  • 기타소득세 16.5% 부과
  • 세액공제 495만원 토해냄
  • 운용 수익 500만원에도 16.5% 과세: 82.5만원
  • 총 세금: 577.5만원
  • 실수령액: 2,922.5만원
  • 손실: 577.5만원!

정상 유지 시 (55세까지 25년 더)

  • 추가 납입 없이 25년 운용 (연 7%)
  • 55세 평가액: 약 1억 9,000만원
  • 10년 연금 수령: 연 1,900만원
  • 연금소득세 5.5%: 연 104.5만원
  • 실수령: 약 1억 7,955만원

차이: 1억 5,032만원!

  • 중도 해지는 절대 금물

예시 3: 연금저축펀드 vs 연금저축보험 수익률 비교

조건

  • 매월 50만원 납입 (연 600만원)
  • 기간: 20년

연금저축펀드 (S&P500 ETF 투자)

  • 연평균 수익률 7%
  • 20년 후 평가액: 약 2억 6,000만원
  • 세액공제 환급: 1,980만원
  • 총 자산: 약 2억 8,000만원

연금저축보험

  • 연평균 수익률 2.5% (보장형)
  • 20년 후 평가액: 약 1억 5,500만원
  • 세액공제 환급: 1,980만원
  • 총 자산: 약 1억 7,500만원

차이: 1억 500만원!

  • 연금저축펀드가 압도적 유리
  • 보험은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위험도 있음

예시 4: 연봉별 세액공제 혜택 비교

연금저축 600만원 납입 기준

연봉 3,000만원

  • 공제율: 16.5%
  • 세액공제: 600만원 × 16.5% = 99만원
  • 실납입액: 501만원 (600만 - 99만)

연봉 5,500만원

  • 공제율: 16.5%
  • 세액공제: 600만원 × 16.5% = 99만원
  • 실납입액: 501만원

연봉 7,000만원

  • 공제율: 13.2% (5,500만원 초과)
  • 세액공제: 600만원 × 13.2% = 79.2만원
  • 실납입액: 520.8만원

연봉 1억원

  • 공제율: 13.2%
  • 세액공제: 600만원 × 13.2% = 79.2만원
  • 실납입액: 520.8만원

결론

  • 연봉 5,500만원 이하가 가장 유리
  • 19.8만원 더 환급받음

예시 5: 55세부터 연금 수령 계획

조건

  • 30년간 연 600만원 납입
  • 연평균 수익률 7%
  • 55세 평가액: 6억원

10년 연금 수령 (55~64세)

  • 연 6,000만원씩 10년
  • 연금소득세 5.5%: 연 330만원
  • 실수령: 연 5,670만원
  • 10년 총 수령: 5억 6,700만원

15년 연금 수령 (55~69세)

  • 연 4,000만원씩 15년
  • 55~69세 연금소득세 5.5%: 연 220만원
  • 실수령: 연 3,780만원
  • 15년 총 수령: 5억 6,700만원

20년 연금 수령 (55~74세)

  • 연 3,000만원씩 20년
  • 55~69세: 5.5% (연 165만원)
  • 70~74세: 4.4% (연 132만원)
  • 20년 총 수령: 약 5억 7,360만원

결론

  • 기간 길수록 세금 절감 효과
  • 20년 수령이 가장 유리

예시 6: 포트폴리오별 30년 수익률 비교

조건: 매월 50만원 납입, 30년 투자

공격형 (20~30대 추천)

  • 미국 S&P500 ETF 100%
  • 연평균 수익률 8%
  • 30년 후: 약 7억 4,000만원

균형형 (30~40대 추천)

  • 미국 주식 ETF 70%
  • 채권 ETF 20%
  • 국내 주식 ETF 10%
  • 연평균 수익률 6.5%
  • 30년 후: 약 5억 8,000만원

안정형 (50대 추천)

  • 채권 ETF 50%
  • 배당주 ETF 30%
  • 예금 20%
  • 연평균 수익률 4.5%
  • 30년 후: 약 3억 9,000만원

초안정형 (연금저축보험)

  • 보험 상품 (원금 보장)
  • 연평균 수익률 2.5%
  • 30년 후: 약 2억 5,000만원

차이: 최대 4억 9,000만원!

  • 장기 투자는 공격형이 압도적
  • 나이 들수록 안정형으로 전환

실전 활용 전략

전략 1: 연금저축펀드 600만원 자동이체

추천 대상: 직장인

  • 매월 50만원 자동이체
  • S&P500 ETF, 미국 주식 펀드 등 장기 투자
  • 세액공제: 99만원 (연봉 5,500만원 이하)

전략 2: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추천 대상: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고 싶은 사람

  •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 총 세액공제: 148.5만원 (연봉 5,500만원 이하)

전략 3: 공격적 포트폴리오

추천 대상: 장기 투자 가능한 젊은 층

  • 미국 주식 ETF 70%
  • 국내 주식 ETF 20%
  • 채권 ETF 10%
  • 30년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 극대화

전략 4: 안정적 포트폴리오

추천 대상: 은퇴가 가까운 50대

  • 채권 ETF 50%
  • 배당주 ETF 30%
  • 예금 20%
  • 원금 손실 최소화

자주 묻는 질문

Q1. 연금저축과 IRP 중 어느 게 더 좋나요? A1. 둘 다 가입하는 게 최선입니다.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 총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Q2. 연금저축펀드에서 어떤 상품에 투자해야 하나요? A2. 장기 투자라면 S&P500 ETF, TIGER 미국S&P500 같은 미국 주식 인덱스 펀드를 추천합니다.

Q3. 55세 이전에 돈이 급하게 필요하면 어떻게 하나요? A3. 중도 해지 시 16.5% 기타소득세를 내야 하므로 큰 손해입니다. 급한 자금은 별도로 마련하는 게 좋습니다.

Q4.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 중 뭐가 좋나요? A4. 장기 투자 시 연금저축펀드의 수익률이 월등히 높습니다. 보험은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위험도 있습니다.

Q5. 여러 금융사에 나눠서 가입해도 되나요? A5. 네, 연금저축은 여러 계좌 개설이 가능하지만, 총 6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 시 체크리스트

  1. 증권사 연금저축펀드 추천: 수익률 높음
  2. 수수료 확인: 계좌 관리 수수료가 낮은 곳 선택 (0.1% 이하)
  3. 자동이체 설정: 매월 일정액 자동 납입
  4. 장기 투자 마인드: 최소 10년 이상 유지
  5. 연말정산 서류 제출: 세액공제 받기

추천 대상

연금저축 강력 추천

  • 연봉 5,500만원 이하 (16.5% 공제)
  • 장기 투자 가능한 모든 사람
  •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20~40대

연금저축 비추천

  • 5년 이내 목돈이 필요한 사람
  • 투자 위험을 전혀 감수할 수 없는 사람

관련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