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뜻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통칭하는 말로,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보험료율 (2025년 기준)
국민연금
- 요율: 9.0% (근로자 4.5% + 사업주 4.5%)
- 목적: 노후 소득 보장
- 수급 시기: 만 65세부터
건강보험
- 요율: 7.09% (근로자 3.545% + 사업주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3.85%
- 목적: 의료비 지원
고용보험
- 요율: 1.8% (근로자 0.9% + 사업주 0.9%)
- 목적: 실업급여, 육아휴직 급여
- 추가: 사업주는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
산재보험
- 요율: 업종별 차등 (평균 1.5%)
- 부담: 사업주 100%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 목적: 업무상 재해 보상
월급별 4대보험료 (근로자 부담분)
월급 300만원
- 국민연금: 135,000원
- 건강보험: 118,140원 (장기요양 포함)
- 고용보험: 27,000원
- 산재보험: 0원
- 합계: 약 280,140원
월급 500만원
- 국민연금: 225,000원
- 건강보험: 196,900원
- 고용보험: 45,000원
- 합계: 약 466,900원
가입 대상 및 제외
가입 대상
- 1인 이상 사업장의 모든 근로자
- 정규직, 계약 직, 아르바이트 모두 포함
- 외국인 근로자 포함
가입 제외
- 월 60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 (고용·산재보험 제외)
- 월 8일 미만, 60시간 미만 근로자 (국민연금·건강보험 제외)
혜택
국민연금
- 노령연금: 10년 이상 납부 시 지급
- 장애연금, 유족연금
건강보험
- 병원비 50~90% 지원
- 본인부담상한제
- 4대 중증질환 90~95% 지원
고용보험
- 실업급여: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
- 육아휴직 급여
- 출산전후휴가 급여
산재보험
- 요양급여 (치료비 100%)
- 휴업급여 (평균임금의 70%)
- 장해급여, 유족급여
자주 묻는 질문
Q1. 알바생도 4대보험에 가입하나요? A1.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가입 대상입니다.
Q2. 4대보험을 안 내면 어떻게 되나요? A2. 사업주에게 과태료와 가산금이 부과되며, 근로자는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Q3. 프리랜서도 4대보험에 가입할 수 있나요? A3.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 건강보험에 가입 가능하지만, 고용·산재보험은 특수형태근로종사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