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V, DTI, DSR이란? - 대출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 약 9분
집을 사려고 은행에 갔더니 "LTV 50%, DTI 40%, DSR 40%"라는 말을 들었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LTV, DTI, DSR은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이 세 가지만 알면 내가 얼마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LTV, DTI, DSR을 쉽게 설명하고, 실제 대출 한도를 계산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LTV, DTI, DSR 한눈에 보기
| 구분 | LTV | DTI | DSR |
|---|---|---|---|
| 정식 명칭 | 주택담보인정비율 | 총부채상환비율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 측정 대상 | 집값 대비 대출 | 연소득 대비 연간 이자 | 연소득 대비 연간 원리금 |
| 계산식 | 대출 ÷ 집값 | 연간 이자 ÷ 연소득 | 연간 원리금 ÷ 연소득 |
| 규제 비율 | 50~80% | 40~60% | 40~50% |
| 적용 대상 | 주택담보대출 | 주택담보대출 | 모든 대출 |
| 엄격함 | 보통 | 완화 | 가장 엄격 |
LTV (Loan To Value)란?
기본 개념
LTV (Loan To Value, 주택담보인정비율)
- 집값 대비 대출 가능 비율
- 집을 담보로 얼마까지 빌려줄까?
공식:
LTV = 대출금액 ÷ 주택가격 × 100
쉬운 예시
시나리오: 10억원 아파트 구매
LTV 50% 적용:
- 주택 가격: 10억원
- 대출 가능: 10억 × 50% = 5억원
- 자기 자본: 5억원 필요
LTV 70% 적용:
- 주택 가격: 10억원
- 대출 가능: 10억 × 70% = 7억원
- 자기 자본: 3억원 필요
교훈: LTV 높을수록 대출 많이 받을 수 있음
LTV 규제 비율 (2024년 기준)
| 지역 | 주택 가격 | LTV |
|---|---|---|
| 투기지역 (강남, 서초 등) | 9억원 초과 | 40% |
| 투기지역 | 9억원 이하 | 50% |
| 투기과열지구 (서울 대부분) | 9억원 초과 | 50% |
| 투기과열지구 | 9억원 이하 | 60% |
| 조정대상지역 (수도권 일부) | 모든 가격 | 70% |
| 비규제지역 (지방) | 모든 가격 | 70% |
특례:
- 생애최초 주택 구매: LTV 최대 80%
- 신혼부부: LTV 최대 80%
LTV 실전 계산
케이스 1: 강남 15억 아파트 (투기지역)
- LTV: 40%
- 대출 가능: 15억 × 40% = 6억원
- 자기 자본: 9억원 필요
- → 부자만 가능
케이스 2: 강북 8억 아파트 (투기과열지구)
- LTV: 60%
- 대출 가능: 8억 × 60% = 4.8억원
- 자기 자본: 3.2억원 필요
케이스 3: 생애최초 8억 아파트 (특례)
- LTV: 80%
- 대출 가능: 8억 × 80% = 6.4억원
- 자기 자본: 1.6억원 필요
- → 실현 가능
DTI (Debt To Income)란?
기본 개념
DTI (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
- 연소득 대비 연간 이자 부담 비율
- 1년에 갚을 이자가 연소득의 몇 %?
공식:
DTI = 연간 총 이자 ÷ 연소득 × 100
쉬운 예시
시나리오:
- 연소득: 8,000만원
- 기존 신용대출: 2,000만원 (금리 5%)
- 신규 주택담보대출: 4억원 (금리 4%)
계산:
- 기존 대출 연간 이자: 2,000만 × 5% = 100만원
- 신규 대출 연간 이자: 4억 × 4% = 1,600만원
- 총 연간 이자: 100만 + 1,600만 = 1,700만원
- DTI = 1,700만 ÷ 8,000만 × 100 = 21.25%
판단:
- DTI 40% 규제
- 현재 21.25%
- → 대출 가능
DTI 규제 비율 (2024년 기준)
| 지역 | DTI 규제 |
|---|---|
| 투기지역 (강남 등) | 40% |
| 투기과열지구 (서울 대부분) | 50% |
| 조정대상지역 | 60% |
| 비규제지역 | 60% |
DTI 실전 계산
케이스 1: 연소득 6,000만원
- DTI 40% 규제
- 연간 이자 한도: 6,000만 × 40% = 2,400만원
- 대출 금리 4% 가정
- 대출 한도: 2,400만 ÷ 4% = 6억원
케이스 2: 연소득 1억원
- DTI 40% 규제
- 연간 이자 한도: 1억 × 40% = 4,000만원
- 대출 금리 4% 가정
- 대출 한도: 4,000만 ÷ 4% = 10억원
교훈: 연소득 높을수록 대출 한도 높음
DSR (Debt Service Ratio)란?
기본 개념
DSR (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연소득 대비 연간 원리금(이자+원금) 부담 비율
- DTI보다 엄격 (원금 상환도 포함)
공식:
DSR = 연간 총 원리금 ÷ 연소득 × 100
쉬운 예시
시나리오:
- 연소득: 8,000만원
- 신규 주택담보대출: 4억원 (금리 4%, 30년 상환)
계산:
- 월 원리금: 약 190만원
- 연간 원리금: 190만 × 12 = 2,280만원
- DSR = 2,280만 ÷ 8,000만 × 100 = 28.5%
판단:
- DSR 40% 규제
- 현재 28.5%
- → 대출 가능
DSR vs DTI 비교
동일 조건 비교:
- 대출: 5억원, 금리 4%, 30년 상환
- 연소득: 1억원
DTI 계산:
- 연간 이자: 5억 × 4% = 2,000만원
- DTI = 2,000만 ÷ 1억 × 100 = 20%
DSR 계산:
- 월 원리금: 약 238만원
- 연간 원리금: 238만 × 12 = 2,856만원
- DSR = 2,856만 ÷ 1억 × 100 = 28.6%
교훈: DSR > DTI (더 엄격)
DSR 규제 비율 (2024년 기준)
| 구분 | DSR 규제 |
|---|---|
| 주택담보대출 (서울) | 40% |
| 주택담보대출 (지방) | 40% |
| 신용대출 | 40% |
| 고소득자 (연 1억 이상) | 50% |
2024년 규제 강화:
- 과거: 은행별 자율 적용
- 현재: 모든 은행 의무 적용
LTV, DTI, DSR 실전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 1: 평범한 직장인
조건:
- 연소득: 6,000만원
- 보유 자금: 3억원
- 구매 목표: 서울 8억 아파트 (투기과열지구)
LTV 계산 (60%):
- 대출 한도: 8억 × 60% = 4.8억원
DTI 계산 (50%):
- 연간 이자 한도: 6,000만 × 50% = 3,000만원
- 금리 4% 가정
- 대출 한도: 3,000만 ÷ 4% = 7.5억원
DSR 계산 (40%):
- 연간 원리금 한도: 6,000만 × 40% = 2,400만원
- 월 원리금 한도: 200만원
- 30년 상환, 금리 4% 가정
- 대출 한도: 약 4.2억원
최종 대출 가능액: 4.2억원 (가장 낮은 DSR 적용)
- 자기 자본: 3억원
- 총 구매력: 7.2억원
- → 8억 아파트 구매 불가
시뮬레이션 2: 고소득 전문직
조건:
- 연소득: 1억 2,000만원
- 보유 자금: 5억원
- 구매 목표: 서울 15억 아파트 (투기지역)
LTV 계산 (40%):
- 대출 한도: 15억 × 40% = 6억원
DTI 계산 (40%):
- 연간 이자 한도: 1.2억 × 40% = 4,800만원
- 금리 4% 가정
- 대출 한도: 4,800만 ÷ 4% = 12억원
DSR 계산 (50%, 고소득자):
- 연간 원리금 한도: 1.2억 × 50% = 6,000만원
- 월 원리금 한도: 500만원
- 30년 상환, 금리 4% 가정
- 대출 한도: 약 10.5억원
최종 대출 가능액: 6억원 (가장 낮은 LTV 적용)
- 자기 자본: 5억원
- 총 구매력: 11억원
- → 15억 아파트 구매 불가
- → 10억 아파트 구매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