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쪼개기 (월급 관리법)
뜻
월급쪼개기는 받은 월급을 용도별로 미리 나누어 관리하는 재무 관리 방법입니다. 충동 소비를 막고, 저축을 자동화하며, 돈의 흐름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초보자를 위한 최고의 돈 관리법입니다.
자세한 설명
왜 월급쪼개기가 필요한가?
문제:
월급 300만원 → 통장 하나에 입금 → 마음대로 씀 → 월말 잔고 0원
해결:
월급 300만원 → 용도별 통장으로 자동 이체 → 계획적 소비 → 저축 성공
50/30/20 룰 (기본)
국제 표준 비율
필수 생활비 50% | 자유 소비 30% | 저축/투자 20%
예시 (월급 300만원)
| 항목 | 비율 | 금액 |
|---|---|---|
| 필수 생활비 | 50% | 150만원 |
| 자유 소비 | 30% | 90만원 |
| 저축/투자 | 20% | 60만원 |
세부 내역
필수 생활비 (50%):
- 월세/관리비
- 식비 (장보기)
- 통신비
- 교통비
- 공과금
- 보험료
자유 소비 (30%):
- 외식
- 취미
- 쇼핑
- 문화생활
- 카페
- 여행
저축/투자 (20%):
- 비상금
- 주식/ETF 투자
- 예적금
- 청약통장
한국형 월급쪼개기
청년 1인 가구 (서울)
월급 350만원 기준:
| 항목 | 금액 | 비율 |
|---|---|---|
| 월세/관리비 | 70만원 | 20% |
| 식비 | 50만원 | 14% |
| 교통비 | 10만원 | 3% |
| 통신비 | 7만원 | 2% |
| 필수 소계 | 137만원 | 39% |
| 외식/카페 | 40만원 | 11% |
| 쇼핑/취미 | 30만원 | 9% |
| 문화생활 | 20만원 | 6% |
| 자유 소계 | 90만원 | 26% |
| 비상금 | 30만원 | 9% |
| 투자 (ETF) | 50만원 | 14% |
| 적금 | 43만원 | 12% |
| 저축 소계 | 123만원 | 35% |
저축률 35% 달성!
맞벌이 부부 (경기도)
합산 월급 600만원 기준:
| 항목 | 금액 | 비율 |
|---|---|---|
| 전세자금 적립 | 100만원 | 17% |
| 식비 | 80만원 | 13% |
| 교통비 (차량 포함) | 50만원 | 8% |
| 공과금 | 20만원 | 3% |
| 필수 소계 | 250만원 | 42% |
| 외식/여가 | 80만원 | 13% |
| 문화/취미 | 50만원 | 8% |
| 자유 소계 | 130만원 | 22% |
| 비상금 | 50만원 | 8% |
| 주식 투자 | 100만원 | 17% |
| 적금 | 70만원 | 12% |
| 저축 소계 | 220만원 | 37% |
저축률 37% 달성!
실전 통장 쪼개기
5통장 시스템
1. 급여통장 (월급 입금)
↓ 자동이체
2. 생활비 통장 (체크카드 연결)
3. 비상금 통장 (절대 안 건드림)
4. 투자 통장 (증권사 연결)
5. 자유 통장 (신용카드 결제)
통장별 역할
1. 급여통장:
- 월급 입금 전용
- 자동이체 설정 (월급날 즉시)
- 잔액 항상 0원 유지
2. 생활비 통장 (50%):
- 필수 생활비만
- 체크카드 연결
- 월세, 식비, 교통비
3. 비상금 통장 (10%):
- 금리 높은 적금
- 절대 출금 금지
- 목표: 6개월 생활비
4. 투자 통장 (10-20%):
- 증권사 계좌
- ETF/주식 자동 매수
- 장기 투자
5. 자유 통장 (20-30%):
- 신용카드 결제
- 외식, 쇼핑, 취미
- 마음껏 사용 OK
자동이체 설정 (필수!)
월급날 (25일) 자동이체:
급여통장 (300만원)
↓
├─ 생활비 통장: 150만원
├─ 비상금 통장: 30만원
├─ 투자 통장: 60만원
└─ 자유 통장: 60만원
잔액: 0원
핵심: 손대기 전에 자동으로 나눠짐!
상황별 비율 조정
청년 (20대, 1인 가구)
공격적 저축:
- 필수: 40%
- 자유: 20%
- 저축: 40%
이유:
- 결혼/내집 마련 자금
- 복리 효과 극대화
- 소비 욕구 조절
30대 (결혼 준비 or 신혼)
균형:
- 필수: 50%
- 자유: 25%
- 저축: 25%
이유:
- 결혼 비용
- 전세/월세 자금
- 여유로운 생활
40대 (자녀 있음)
필수 중심:
- 필수: 60%
- 자유: 15%
- 저축: 25%
이유:
- 교육비 증가
- 주택 관리
- 노후 준비
저소득 (월 200만원 이하)
생존 모드:
- 필수: 70%
- 자유: 10%
- 저축: 20%
전략:
- 필수 생활비 최소화
- 자유 소비 줄이기
- 소득 증대에 집중
저축률 높이는 전략
1단계: 지출 파악 (1개월)
방법:
- 가계부 앱 사용 (뱅크샐러드, 토스 등)
- 카드 내역 전부 기록
- 항목별 분류
예시:
식비: 60만원 (외식 40만원, 장보기 20만원)
카페: 15만원
택시: 10만원
쇼핑: 30만원
2단계: 낭비 찾기
불필요한 지출:
- 안 쓰는 구독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 충동 쇼핑
- 비싼 외식 (주 3회 → 주 1회)
- 택시 (카카오T → 대중교통)
월 30만원 절약 가능!
3단계: 고정비 절감
통신비:
- 대형 통신사 → 알뜰폰
- 월 8만원 → 3만원 (절약 5만원)
보험:
- 불필요한 보험 해지
- 실비보험만 유지
- 월 15만원 → 7만원 (절약 8만원)
차량:
- 차량 처분 (월 50만원 절약)
- 카셰어링 이용
4단계: 자동화
자동이체:
- 월급날 즉시 이체
- 저축 통장 자동 이체
- 투자 자동 매수
효과:
- 의지력 필요 없음
- 저축률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