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CPI)
뜻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일반 가구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알려주는 '물가의 온도계'입니다.
현재 CPI (2025년 1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2.5%
- 2020년 CPI를 100으로 봤을 때
- 2025년 CPI: 약 115
- 5년간 물가 15% 상승
CPI 구성 항목 및 가중치
12개 대분류 (2024년 기준)
| 항목 | 가중치 | 예시 |
|---|---|---|
| 식료품·비주류음료 | 13.7% | 쌀, 채소, 과일, 육류 |
| 주거·수도·광열 | 16.8% | 전세, 관리비, 전기세 |
| 의류·신발 | 4.3% | 옷, 신발, 가방 |
| 보건 | 7.3% | 병원비, 의약품 |
| 교통 | 13.2% | 휘발유, 자동차, 대중교통 |
| 통신 | 6.5% | 휴대폰 요금, 인터넷 |
| 오락·문화 | 5.9% | 영화, 여행, 문화생활 |
| 교육 | 10.4% | 학원비, 등록금 |
| 음식·숙박 | 13.5% | 외식비, 호텔 |
| 기타 | 8.4% | 이미용, 보험료 |
CPI 계산 방법
기본 공식
CPI = (현재 물가바구니 가격 ÷ 기준연도 물가바구니 가격) × 100
예시: 간단한 3개 품목
기준연도 (2020년)
- 쌀 10kg: 20,000원
- 휘발유 1L: 1,300원
- 짜장면: 5,000원
- 총 26,300원
현재 (2025년)
- 쌀 10kg: 25,000원 (25% 상승)
- 휘발유 1L: 1,600원 (23% 상승)
- 짜장면: 7,000원 (40% 상승)
- 총 33,600원
CPI 계산
CPI = (33,600 ÷ 26,300) × 100 = 127.8
물가 상승률 = 27.8%
CPI의 활용
1. 물가 상승률 측정
전년 동월 대비
물가 상승률 = (올해 CPI - 작년 CPI) ÷ 작년 CPI × 100
예시
- 2024년 1월 CPI: 112
- 2025년 1월 CPI: 115
- 물가 상승률: (115 - 112) ÷ 112 × 100 = 2.7%
2. 실질 임금 계산
명목 임금 vs 실질 임금
실질 임금 = 명목 임금 ÷ (CPI ÷ 100)
예시
- 2020년 연봉: 4,000만원 (CPI 100)
- 2025년 연봉: 4,500만원 (CPI 115)
- 실질 임금: 4,500만원 ÷ 1.15 = 3,913만원
- 실질 임금 오히려 감소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