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소비자물가지수 (CPI)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일반 가구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알려주는 '물가의 온도계'입니다.

현재 CPI (2025년 1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2.5%

  • 2020년 CPI를 100으로 봤을 때
  • 2025년 CPI: 약 115
  • 5년간 물가 15% 상승

CPI 구성 항목 및 가중치

12개 대분류 (2024년 기준)

항목가중치예시
식료품·비주류음료13.7%쌀, 채소, 과일, 육류
주거·수도·광열16.8%전세, 관리비, 전기세
의류·신발4.3%옷, 신발, 가방
보건7.3%병원비, 의약품
교통13.2%휘발유, 자동차, 대중교통
통신6.5%휴대폰 요금, 인터넷
오락·문화5.9%영화, 여행, 문화생활
교육10.4%학원비, 등록금
음식·숙박13.5%외식비, 호텔
기타8.4%이미용, 보험료

CPI 계산 방법

기본 공식

CPI = (현재 물가바구니 가격 ÷ 기준연도 물가바구니 가격) × 100

예시: 간단한 3개 품목

기준연도 (2020년)

  • 쌀 10kg: 20,000원
  • 휘발유 1L: 1,300원
  • 짜장면: 5,000원
  • 총 26,300원

현재 (2025년)

  • 쌀 10kg: 25,000원 (25% 상승)
  • 휘발유 1L: 1,600원 (23% 상승)
  • 짜장면: 7,000원 (40% 상승)
  • 총 33,600원

CPI 계산

CPI = (33,600 ÷ 26,300) × 100 = 127.8
물가 상승률 = 27.8%

CPI의 활용

1. 물가 상승률 측정

전년 동월 대비

물가 상승률 = (올해 CPI - 작년 CPI) ÷ 작년 CPI × 100

예시

  • 2024년 1월 CPI: 112
  • 2025년 1월 CPI: 115
  • 물가 상승률: (115 - 112) ÷ 112 × 100 = 2.7%

2. 실질 임금 계산

명목 임금 vs 실질 임금

실질 임금 = 명목 임금 ÷ (CPI ÷ 100)

예시

  • 2020년 연봉: 4,000만원 (CPI 100)
  • 2025년 연봉: 4,500만원 (CPI 115)
  • 실질 임금: 4,500만원 ÷ 1.15 = 3,913만원
  • 실질 임금 오히려 감소 (-2.2%)

3. 실질 이자율 계산

실질 이자율 = 명목 이자율 - 물가 상승률

예시

  • 정기예금 금리: 3.5%
  • 물가 상승률: 2.5%
  • 실질 이자율: 1.0%

4. 화폐 가치 계산

현재 돈의 실질 가치 = 명목 가치 × (과거 CPI ÷ 현재 CPI)

예시: 2020년 1억원의 2025년 가치

  • 2020년 CPI: 100
  • 2025년 CPI: 115
  • 1억원 × (100 ÷ 115) = 8,696만원
  • 구매력 13% 감소

CPI vs 근원 CPI

근원 CPI (Core CPI)

정의: 변동성이 큰 항목(농산물, 석유류)을 제외한 물가지수

용도: 장기적인 물가 추세 파악

차이

  • 일반 CPI: 모든 항목 포함
  • 근원 CPI: 농산물·석유류 제외

예시

  • 일반 CPI: +3.5% (석유·농산물 가격 급등)
  • 근원 CPI: +2.0% (안정적 상승)

CPI가 높을 때 vs 낮을 때

CPI 상승률 높을 때 (3% 이상)

영향

  • 생활비 부담 증가
  • 저축 실질 가치 하락
  • 한국은행 금리 인상 가능

대응

  • 실물 자산 투자 (부동산, 금)
  • 고정금리 장기 대출
  • 생활비 절약

CPI 상승률 낮을 때 (1% 이하)

영향

  • 생활비 부담 적음
  • 저축 실질 가치 유지
  • 한국은행 금리 인하 가능

대응

  • 저축·예금 증대
  • 단기 대출 활용
  • 소비 확대

CPI 발표 일정

발표 기관: 통계청 발표 주기: 매월 발표 시기: 익월 첫째 주

예시

  • 2025년 1월 CPI → 2025년 2월 첫째 주 발표

실전 예시

예시 1: 실질 연봉 계산

조건

  • 2020년 연봉: 3,500만원 (CPI 100)
  • 2025년 연봉: 4,200만원 (CPI 115)

명목 인상률

  • (4,200 - 3,500) ÷ 3,500 = 20% 인상

실질 연봉

  • 4,200만원 ÷ 1.15 = 3,652만원
  • 실질 인상률: 4.3%

예시 2: 연금 실질 가치

조건

  • 2020년 국민연금 수령액: 100만원 (CPI 100)
  • 2025년 국민연금 수령액: 100만원 (CPI 115, 인상 없음)

실질 가치

  • 100만원 × (100 ÷ 115) = 87만원
  • 구매력 13% 감소

예시 3: 대출 실질 부담

조건

  • 2020년 대출: 1억원 (CPI 100)
  • 2025년 대출 잔액: 1억원 (CPI 115)

실질 부담

  • 1억원 × (100 ÷ 115) = 8,696만원
  • 실질 부채 13% 감소

자주 묻는 질문

Q1. CPI가 높으면 좋은 건가요 나쁜 건가요? A1. CPI가 적정 수준(연 2%)으로 오르는 건 정상이지만, 너무 높으면(5% 이상) 생활비 부담이 커집니다.

Q2. CPI 상승률과 물가 상승률은 같은 건가요? A2. 네, CPI 상승률이 곧 물가 상승률입니다.

Q3. 왜 실제 체감 물가와 CPI가 다르게 느껴지나요? A3. CPI는 평균 가격이므로, 개인이 자주 소비하는 품목(외식, 교통)이 많이 오르면 체감 물가가 더 높게 느껴집니다.

Q4. 근원 CPI는 왜 따로 발표하나요? A4. 농산물·석유류는 변동성이 커서, 장기적인 물가 추세를 보려면 근원 CPI를 봐야 합니다.

Q5. CPI는 누가 어떻게 조사하나요? A5. 통계청이 전국 500개 품목의 가격을 매달 조사하여 계산합니다.

관련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