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뜻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줄어드는 '돈의 가치 하락'을 의미합니다.
현재 물가 상승률 (2025년 1월 기준)
연간 물가 상승률: 약 2.5%
- 2020년: 0.5%
- 2021년: 2.5%
- 2022년: 5.1% (고물가)
- 2023년: 3.6%
- 2024년: 2.8%
인플레이션의 영향
1. 생활비 증가
2024년 vs 2020년 물가 비교
- 짜장면: 5,000원 → 7,000원 (40% 상승)
- 아메리카노: 3,500원 → 4,500원 (29% 상승)
- 지하철: 1,250원 → 1,400원 (12% 상승)
- 휘발유: 1,300원 → 1,600원 (23% 상승)
2. 저축의 실질 가치 하락
예시: 연 2% 정기예금, 물가 상승률 3%
- 명목 이자: 2%
- 실질 이자: 2% - 3% = -1%
- 저축해도 구매력 감소
3. 대출자에게 유리
예시: 1억원 대출
- 현재: 1억원의 가치
- 10년 후 (물가 30% 상승): 실질 가치 7,000만원
- 부채 실질 부담 감소
4. 임금 상승 압력
- 물가 상승 → 실질 임금 하락
- 임금 인상 요구 증가
- 기업 비용 증가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수요 > 공급
- 경기 호황, 소비 증가
- 정부 재정 지출 증가
- 저금리로 돈 풀림
예시: 2021~2022년 코로나 이후
- 각국 돈 풀림 → 소비 급증
- 공급 부족 → 물가 급등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생산 비용 증가
- 원자재 가격 상승 (유가, 곡물 등)
- 임금 상승
- 환율 상승 (수입 물가 상승)
예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유가, 곡물 가격 급등
- 전 세계 물가 급상승
3. 통화량 증가
돈 많이 풀림
-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 양적 완화 (돈 찍어내기)
- 돈 가치 하락 →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 구분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
| 의미 | 물가 상승 | 물가 하락 |
| 돈 가치 | 하락 | 상승 |
| 대출자 | 유리 | 불리 |
| 저축자 | 불리 | 유리 |
| 경제 | 과열 | 침체 |
적정 물가 상승률
한국은행 목표: 연 2%
- 너무 낮음 (0~1%): 경기 침체 우려
- 적정 (2%):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
- 너무 높음 (3% 이상): 생활비 부담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