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선행지수
뜻
경기선행지수(CLI, Composite Leading Indicator)는 앞으로 경기가 어떻게 변할지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경제지표입니다. 통계청과 OECD에서 매월 발표하며, 현재 경기가 아닌 미래 경기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세한 설명
경기 3대 지표
| 지표 | 시점 | 용도 |
|---|---|---|
| 경기선행지수 | 미래 (6-9개월 후) | 경기 예측 |
| 경기동행지수 | 현재 | 현재 경기 판단 |
| 경기후행지수 | 과거 | 경기 확인 |
왜 중요한가?
- 경기 전환점을 미리 파악
- 투자, 경영 의사결정에 활용
- 정부 정책 수립의 근거
구성 항목 (한국 10개)
1. 재고순환지표
- 출하 대비 재고 비율
- 재고 증가 = 경기 둔화 신호
2. 경제심리지수 (CSI)
- 소비자, 기업의 경기 체감도
- 100 기준 (100 이상 = 긍정적)
3. 건설수주액
- 6개월 후 건설 경기 반영
- 부동산 경기 선행지표
4. 기계류 내수 출하
- 기업 설비투자 동향
- 투자 증가 = 경기 회복 기대
5. 수출입물가비율
- 무역조건 개선 여부
- 수출 경쟁력 판단
6. 코스피지수
- 주식시장은 경기를 선행
- 6개월 앞선 움직임
7.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 장기금리 - 단기금리
- 역전 시 경기 침체 경고
8. 순상품교역조건
- 수출가격 / 수입가격
- 개선 시 경기 긍정적
9. 건축허가면적
- 미래 건설 활동 예고
10. 구인구직비율
- 고용시장 수급 동향
해석 방법
기준값: 100
순환변동치 기준:
- 100 이상: 경기 확장
- 100: 장기 추세
- 100 이하: 경기 수축
변화율
전월 대비:
- 상승: 경기 개선
- 하락: 경기 둔화
연속 추이
- 3개월 연속 상승: 경기 회복 국면
- 3개월 연속 하락: 경기 둔화 국면
- 상승→하락 전환: 경기 정점 (Peak)
- 하락→상승 전환: 경기 저점 (Trough)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추이
주요 사건별 변화
| 시기 | 지수 | 경기 상황 |
|---|---|---|
| 1997-1998 | 급락 | IMF 외환위기 |
| 2008 | 급락 | 글로벌 금융위기 |
| 2012-2013 | 회복 | 경기 반등 |
| 2020 | 급락 후 회복 | 코로나19 |
| 2023 | 99.5 | 둔화 |
| 2024 | 100.2 | 완만한 회복 |
최근 흐름 (2024년)
- 1분기: 98.8 (둔화)
- 2분기: 99.5 (정체)
- 3분기: 100.2 (회복 조짐)
투자 활용법
경기선행지수 상승 시
투자 전략:
- 주식 비중 확대
- 경기 민감주 (자동차, 철강, 화학, 건설)
- 소형주 관심
- 채권 비중 축소
경기선행지수 하락 시
투자 전략:
- 방어적 포트폴리오
- 경기 방어주 (식품, 제약, 유틸리티)
- 채권 비중 확대
- 현금 확보
전환점 포착
경기 저점 → 주식 매수 타이밍:
- 선행지수 3개월 연속 상승
- 동행지수는 아직 하락 (시차)
- "공포 속에서 사라"
경기 정점 → 주식 매도 타이밍:
- 선행지수 3개월 연속 하락
- 동행지수는 여전히 상승
- "환희 속에서 팔아라"
한계점
1. 100% 정확하지 않음
- 오차 발생 가능
- 단기 변동성에 민감
- 외부 충격 반영 지연
2. 수정 가능
- 잠정치 → 확정치 수정
- 사후 검증 필요
3. 기타 지표와 병행
- PMI (구매관리자지수)
- GDP 성장률
- 실업률 등 종합 판단
OECD 경기선행지수
글로벌 비교
| 국가 | 2024년 지수 | 전망 |
|---|---|---|
| 미국 | 99.8 | 둔화 우려 |
| 유로존 | 98.5 | 약세 |
| 중국 | 99.2 | 둔화 |
| 한국 | 100.2 | 완만 회복 |
| 일본 | 100.5 | 안정적 |
활용
- 글로벌 경기 흐름 파악
- 수출 기업 실적 예측
- 국제 투자 결정
자주 묻는 질문
Q1. 경기선행지수가 100 아래면 경기 침체인가요? A1.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100은 장기 추세선이며, 단기 등락을 보기보다는 3-6개월 연속 추이를 봐야 합니다.
Q2. 주식 투자에 바로 활용할 수 있나요? A2. 참고 지표로 유용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기업 실적, 밸류에이션 등 다른 요소와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
Q3. 언제 발표되나요? A3. 통계청이 매월 말 발표합니다. (예: 11월 말에 10월 지수 발표)
Q4. 경기선행지수가 오르는데 왜 체감 경기는 안 좋나요? A4. 선행지수는 미래를 예측하 는 지표이며, 현재 경기 상황은 동행지수를 봐야 합니다. 또한 개인마다 체감하는 경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 용어
역사적 사례
2008년 금융위기
- 2007년 말부터 선행지수 하락
-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 파산
- 선행지수가 약 6개월 앞서 경고
코로나19 (2020년)
- 2020년 2-3월 선행지수 급락
- 4월부터 반등 시작
- V자 회복 예고
심화: 경기순 환 4단계
1. 회복 (Recovery)
- 선행지수 ↑, 동행지수 ↑
- 주식 강세장
2. 확장 (Expansion)
- 선행지수 고점, 동행지수 ↑
- 경기 과열 우려
3. 후퇴 (Recession)
- 선행지수 ↓, 동행지수 ↓
- 주식 약세장
4. 수축 (Contraction)
- 선행지수 저점, 동행지수 ↓
- 투자 기회 모색
경기선행지수를 잘 활용하면 경기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이지 않으므로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