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선행지수
뜻
경기선행지수(CLI, Composite Leading Indicator)는 앞으로 경기가 어떻게 변할지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경제지표입니다. 통계청과 OECD에서 매월 발표하며, 현재 경기가 아닌 미래 경기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세한 설명
경기 3대 지표
| 지표 | 시점 | 용도 |
|---|---|---|
| 경기선행지수 | 미래 (6-9개월 후) | 경기 예측 |
| 경기동행지수 | 현재 | 현재 경기 판단 |
| 경기후행지수 | 과거 | 경기 확인 |
왜 중요한가?
- 경기 전환점을 미리 파악
- 투자, 경영 의사결정에 활용
- 정부 정책 수립의 근거
구성 항목 (한국 10개)
1. 재고순환지표
- 출하 대비 재고 비율
- 재고 증가 = 경기 둔화 신호
2. 경제심리지수 (CSI)
- 소비자, 기업의 경기 체감도
- 100 기준 (100 이상 = 긍정적)
3. 건설수주액
- 6개월 후 건설 경기 반영
- 부동산 경기 선행지표
4. 기계류 내수 출하
- 기업 설비투자 동향
- 투자 증가 = 경기 회복 기대
5. 수출입물가비율
- 무역조건 개선 여부
- 수출 경쟁력 판단
6. 코스피지수
- 주식시장은 경기를 선행
- 6개월 앞선 움직임
7.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 장기금리 - 단기금리
- 역전 시 경기 침체 경고
8. 순상품교역조건
- 수출가격 / 수입가격
- 개선 시 경기 긍정적
9. 건축허가면적
- 미래 건설 활동 예고
10. 구인구직비율
- 고용시장 수급 동향
해석 방법
기준값: 100
순환변동치 기준:
- 100 이상: 경기 확장
- 100: 장기 추세
- 100 이하: 경기 수축
변화율
전월 대비:
- 상승: 경기 개선
- 하락: 경기 둔화
연속 추이
- 3개월 연속 상승: 경기 회복 국면
- 3개월 연속 하락: 경기 둔화 국면
- 상승→하락 전환: 경기 정점 (Peak)
- 하락→상승 전환: 경기 저점 (Trough)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추이
주요 사건별 변화
| 시기 | 지수 | 경기 상황 |
|---|---|---|
| 1997-1998 | 급락 | IMF 외환위기 |
| 2008 | 급락 | 글로벌 금융위기 |
| 2012-2013 | 회복 | 경기 반등 |
| 2020 | 급락 후 회복 | 코로나19 |
| 2023 | 99.5 | 둔화 |
| 2024 | 100.2 | 완만한 회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