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 (개인형 퇴직연금)
뜻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는 퇴직금을 받거나 개인이 자유롭게 납입하여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 계좌입니다. 세 액공제 혜택이 가장 큰 절세 상품입니다.
핵심 혜택
1. 세액공제 (최대 148.5만원)
납입 한도 및 공제율
- 연 900만원까지 납입 가능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6.5% 공제 (최대 148.5만원)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13.2% 공제 (최대 118.8만원)
2. 운용 수익 비과세
- 계좌 내 모든 수익은 과세 이연
- 연금 수령 시 3.3~5.5% 낮은 세율로 과세
3. ISA 만기 시 추가 공제
- ISA 만기 후 IRP 이전 시
- 이전 금액의 10% (최대 300만원) 추가 세액공제
가입 조건
- 누구나 가입 가능 (소득 제한 없음)
-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무직자 모두 가능
- 1인 1계좌만 개설 가능
납입 한도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계산
- 연금저축 + IRP 합산: 900만원
- 연금저축 단독: 최대 600만원
- IRP 단독: 최대 900만원
예시 1: 연금저축 300만원 + IRP 600만원
- 총 900만원 납입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예시 2: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 총 900 만원 납입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예시 3: IRP만 900만원
- 총 900만원 납입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인출 조건
연금 수령 (정상)
조건
- 만 55세 이후
- 10년 이상 연금 수령 (연 한도: 계좌 평가액의 1/11)
세율
- 3.3~5.5% 연금소득세 (나이에 따라 차등)
중도 해지 (비추천)
세금
- 기타소득세 16.5% (지방세 포함)
- 그동안 받은 세액공제 토해내기 + α
예시
- IRP에 1,000만원 납입 (세액공제 165만원)
- 중도 해지 시 기타소득세: 165만원 토해냄 + 운용수익에도 16.5% 과세
중도 인출 가능 사유
세금 없이 인출 가능
- 무주택자 주택 구입
- 6개월 이상 요양
- 천재지변
- 개인회생·파산
투자 가능 상품
원리금 보장 상품
- 예금
- 적금
- 국공채
실적 배당 상품
- 펀드
- ETF
- 리츠
주의: 개별 주식은 불가 (ETF는 가능)
IRP vs 연금저축
| 구분 | IRP | 연금저축 |
|---|---|---|
| 세액공제 한도 | 900만원 | 600만원 |
| 퇴직금 입금 | 가능 | 불가능 |
| 개별 주식 | 불가 | 불가 |
| ETF | 가능 | 가능 |
| 계좌 수 | 1개만 | 여러 개 가능 |
| 중도 인출 사유 | 제한적 | 제한적 |
실전 예시
예시 1: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조합으로 148.5만원 환급
30대 직장인 A씨 (연봉 4,000만원)
전략
- 연금저축펀드: 월 50만원 자동이체 (연 600만원)
- IRP: 월 25만원 자동이체 (연 300만원)
- 총 납입: 900만원
세액공제 계산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공제율 16.5%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 월 환산: 약 12만 4,000원 환급
30년 장기 투자 시뮬레이션
- 매년 900만원 납입
- 연평균 수익률 7%
- 30년 후 예상 자산: 약 8억 6,000만원
- 총 납입액: 2억 7,000 만원
- 순수익: 약 5억 9,000만원
- 세액공제 총 환급: 4,455만원 (148.5만원 × 30년)
예시 2: ISA 만기 후 IRP 이전으로 추가 49.5만원 환급
20대 직장인 B씨 (연봉 4,000만원)
ISA 3년 만기 상황
- ISA 만기 평가액: 7,000만원
IRP 이전 전략
- ISA에서 IRP로 3,000만원 이전
- IRP 이전 세액공제: 3,000만원 × 10% = 300만원
- 공제율 16.5% 적용
- 추가 환급: 300만원 × 16.5% = 49.5만원
당해 연도 추가 IRP 납입
- IRP 추가 납입: 900만원
- 기본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총 세액공제 (ISA 이전 연도)
- IRP 납입 세액공제: 148.5만원
- ISA 이전 세액공제: 49.5만원
- 총 환급: 198만원!
예시 3: 퇴직금 3,000만원 IRP 입금으로 세금 200만원 절세
40대 직장인 C씨 (퇴사)
퇴직금 일시금 수령 (비교)
- 퇴직금: 3,000만원
- 퇴직소득세: 약 250만원 (근속연수 5년 가정)
- 실수령액: 2,750만원
- 즉시 세금 납부
퇴직금 IRP 입금
- 퇴직금 3,000만원 → IRP 전액 입금
- 퇴직소득세 납부 이연 (55세 이후)
- 즉시 세금: 0원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10년 분할)
- 연 300만원씩 10년 수령
- 연금소득세 5.5%: 연 16.5만원
- 10년 총 세금: 165만원
- 절세액: 약 85만원 (250만 - 165만)
추가 혜택
- 3,000만원을 15년간 운용 (55세까지)
- 연평균 수익률 5%: 약 6,300만원
- 운용 수익: 3,300만원 추가!
예시 4: IRP 단독 900만원 vs 분산 투자 비교
조건: 연봉 4,500만원, 세액공제 최대로 받기
방법 1: IRP 단독 900만원
- IRP: 900만원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 투자 상품: ETF 위주 (개별 주식 불가)
방법 2: 연금저축 600만원 + 일반 계좌 300만원
- 연금저축: 600만원
- 세액공제: 600만원 × 16.5% = 99만원
- 일반 계좌: 300만원 (개별 주식 가능)
- 세액공제: 99만원
차이: 49.5만원
- 방법 1이 49.5만원 더 환급
- 하지만 방법 2는 개별 주식 투자 가능
추천
- 세액공제 최대화: 방법 1 (IRP 900만원)
- 투자 자유도: 방법 2 (연금저축 + 일반 계좌)
예시 5: 중도 해지 vs 정상 연금 수령 비교
조건
- 10년간 IRP 900만원씩 납입
- 총 납입액: 9,000만원
- 세액공제 총 1,485만원 (148.5만원 × 10년)
- 운용 수익률 7%
- 10년 후 평가액: 1억 2,900만원
Case 1: 50세에 중도 해지 (비추천)
- 평가액: 1억 2,900만원
- 기타소득세 16.5%
- 세액공제 토해냄: 1,485만원
- 운용 수익 3,900만원에도 16.5% 과세: 644만원
- 총 세금: 2,129만원
- 실수령액: 1억 771만원
Case 2: 55세에 정상 연금 수령
- 평가액: 55세까지 5년 더 운용 (연 5%)
- 55세 평가액: 약 1억 6,500만원
- 10년 연금 수령 (연 1,650만원)
- 연금소득세 5.5%: 연 90만원
- 10년 총 세금: 900만원
- 실수령액: 1억 5,600만원
차이: 4,829만원
- 정상 수령이 4,800만원 이상 유리!
- 중도 해지는 큰 손해
예시 6: 연봉별 세액공제 금액 비교
IRP 900만원 납입 기준
연봉 3,000만원
- 공제율: 16.5%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 실납입액: 751.5만원 (900만 - 148.5만)
연봉 5,000만원
- 공제율: 16.5%
- 세액공제: 900만원 × 16.5% = 148.5만원
- 실납입액: 751.5만원
연봉 7,000만원
- 공제율: 13.2% (5,500만원 초과)
- 세액공제: 900만원 × 13.2% = 118.8만원
- 실납입액: 781.2만원
연봉 1억원
- 공제율: 13.2%
- 세액공제: 900만원 × 13.2% = 118.8만원
- 실납입액: 781.2만원
결론
- 연봉 5,500만원 이하: 148.5만원 환급 (최대)
- 연봉 5,500만원 초과: 118.8만원 환급
- 차이: 29.7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