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가 만든 역설 - 가격을 잡으려다 폭등시킨 정책들
· 약 6분
"집값을 잡겠다"며 시작한 정책이 오히려 집값을 폭등시키고, "서민을 보호한다"던 규제가 서민을 더 힘들게 만들었던 사례들. 좋은 의도로 만든 규제가 왜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왔을까요?
세계 각국의 실패한 규제 사례와 그 교훈을 살펴봅니다.
1. 서울 임대차 3법의 역설 (2020년)
정책의 의도
- 전월세상한제: 재계약 시 5% 이상 올릴 수 없음
- 계약갱신청구권: 2년 더 살 수 있는 권리
- 전월세 신고제: 모든 계약을 신고하도록 함
"세입자를 보호하고 전월세 급등을 막겠다"
실제로 일어난 일
2020년 7월 (법 시행 전)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70%
평균 전세 보증금: 3억 원
2021년 7월 (1년 후)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85%
평균 전세 보증금: 4억 5천만 원 (50% 폭등!)
왜 이런 일이?
- 집주인의 선제적 인상: "나중에 5%만 올릴 수 있으니 지금 최대한 올려야지"
- 매물 감소: "2년+2년 = 4년이나? 차라리 팔자"
- 깡통전세 급증: 전세가가 매매가를 넘는 집들 속출
- 역전세난: 집주인도 보증금 돌려줄 돈 없어서 전세 사기 사건 급증
실제 사례: 강남 A아파트 (84㎡)
2020년 6월 계약: 전세 6억 원
2020년 8월 재계약: 전세 8억 5천만 원 (42% 상승!)
→ 법 시행 전에 미리 올린 케이스
2. 뉴욕의 임대료 통제 실패 (1943~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임대료 규제
1943년 도입 배경
- 2차 세계대전 중 주택 부족
- 군인 가족 보호 목적
- 임대료 인상 상한제 도입
80년이 지난 지금
임대료 규제 건물의 상태:
- 55%가 건물 상태 '나쁨' 이상
- 25%가 주거 부적합 판정
- 평균 건물 연령: 100년 이상
실패의 원인
-
유지보수 포기
- 집주인: "임대료도 못 올리는데 왜 수리해?"
- 세입자: "수리 요청해도 안 해줌"
- 결과: 슬럼화
-
신규 공급 중단
- 건설사: "지어봤자 임대료 못 받는데?"
- 50년간 규제 지역 신규 주택 거의 없음
-
불법 거래 성행
- 공식 임대료: $1,000/월
- 실제 거래가: $3,000/월 (불법 웃돈)
- "키 머니(Key Money)" 문화 만연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의 평가
"폭격을 제외하면, 도시를 파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임대료 통제다" - 아서 P. 솔로몬
3. 스웨덴 스톡홀름의 14년 대기 (1940~현재)
극단적 임대료 규제의 결과
현재 상황
평균 대기 시간: 14년
20대 청년: 평균 20년 대기
신규 신청자: 대기자 60만 명+
역대 최장 대기 기록: 무려 43년 대기 후 입주!
시스템의 왜곡
-
암시장 번성
- 공식 임대료: 6,000크로나/월
- 암시장 웃돈: 50만~100만 크로나 (선불)
- 불법이지만 단속 불가
-
젊은이들 도시 탈출
- 집 못 구해서 타 도시로 이주
- 인재 유출로 경쟁력 약화
-
기형적 주거 문화
- 40대가 부모 집에 거주
- 결혼해도 각자 부모 집에서 따로 살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