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란? - 내 대출금리가 오르는 이유 완벽 이해
· 약 4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이런 뉴스 들으면 대출받은 사람들이 긴장합니다. 기준금리가 대체 뭐길래 내 대출 이자가 오르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내 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기준금리란?
기본 개념
기준금리 (Base Rate)
-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
- 모든 금리의 기준점
- 연 8회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
쉽게 말하면: 금리의 대장 = 기준금리
금리 피라미드
기준금리 (3.50%)
↓
시중은행 예금금리 (3.0~4.0%)
↓
시중은행 대출금리 (4.5~7.0%)
↓
신용대출금리 (6.0~12.0%)
기준금리 ↑ → 모든 금리 ↑ 기준금리 ↓ → 모든 금리 ↓
기준금리 역사 (한국)
| 시기 | 기준금리 | 상황 |
|---|---|---|
| 2008년 | 2.0% | 금융위기 |
| 2011년 | 3.25% | 정상화 |
| 2020년 | 0.5% | 코로나 |
| 2022년 | 3.5% | 물가 잡기 |
| 2024년 | 3.5% | 유지 |
최저: 0.5% (2020년 코로나) 최고: 5.25% (2008년 금융위기 전)
기준금리가 내 돈에 미치는 영향
1. 예금 이자
기준금리 인상 (3.0% → 3.5%)
Before:
- 정기예금 금리: 연 3.2%
- 1,000만원 예금 → 1년 이자: 32만원
After:
- 정기예금 금리: 연 3.7%
- 1,000만원 예금 → 1년 이자: 37만원
- +5만원 이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