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계산기 - 국민연금부터 산재보험까지 완벽 정리
· 약 4분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매월 급여에서 4대보험료가 공제되는 것을 확인하실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얼마나 내고 있는지, 회사는 얼마나 부담하는지 아시나요? 4대보험의 모든 것을 정리했습니다.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대한민국의 사회보험 제도로,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해 운영됩니다.
4대보험 구성: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
1. 국민연금 (4.5%)
기본 정보
- 본인 부담: 4.5%
- 회사 부담: 4.5%
- 합계: 9%
상한액과 하한액
- 상한액: 5,530,000원 (최대 248,850원 본인 부담)
- 하한액: 370,000원 (최소 16,650원 본인 부담)
월급이 553만원을 넘더라도 국민연금은 24만 8,850원만 납부합니다.
언제 받나요?
- 수령 시기: 만 65세부터 (출생연도에 따라 다름)
- 수령 조건: 최소 10년 이상 가입
- 수령액: 가입 기간과 납부액에 비례
예상 연금 계산 공식:
기본연금액 = (A값 + B값) × (1 + 0.05n/12) × (1 - 0.005 × 초과연수)
A값: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
B값: 본인 평균소득
n: 20년 초과 가입월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