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투자
뜻
분산투자는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는 격언처럼, 여러 자산에 투자 자금을 나누어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한 곳이 손 실을 보더라도 다른 곳에서 벌어 전체 위험을 줄이는 투자의 기본 원칙입니다.
자세한 설명
분산투자의 핵심
집중투자: 100% 삼성전자 → 삼성전자 -30% → 내 자산 -30%
분산투자: 10개 종목 → 1개 -30% → 내 자산 -3%
효과:
- 리스크 감소
- 수익 안정화
- 극단적 손실 방지
노벨상 받은 이론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MPT):
- 해리 마코위츠 (1952년 발표, 1990년 노벨상)
- "분산투자는 공짜 점심이다"
- 같은 수익률이 면 분산이 항상 유리
분산투자의 종류
1. 종목 분산
나쁜 예:
삼성전자 100% → 반도체 위기 시 큰 타격
좋은 예:
삼성전자 20%
SK하이닉스 20%
네이버 20%
현대차 20%
카카오 20%
더 좋은 예 (ETF):
KODEX 200 (200개 기업 자동 분산)
2. 업종 분산
나쁜 예:
IT 주식 100%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 IT 업황 악화 시 전멸
좋은 예:
IT: 30%
금융: 20%
자동차: 20%
헬스케어: 15%
소비재: 15%
3. 지역 분산
나쁜 예:
한국 주식 100%
→ 코리아 디스카운트, 북한 리스크
좋은 예:
한국: 30%
미국: 40%
선진국: 15%
신흥국: 15%
ETF 활용:
- KODEX 200 (한국)
- TIGER 미국S&P500 (미국)
- KODEX 선진국MSCI World (선진국)
4. 자산군 분산
나쁜 예:
주식 100%
→ 주식 시장 폭락 시 자산 반토막
좋은 예:
주식: 60%
채권: 20%
부동산: 15%
현금: 5%
효과:
- 주식 하락 시 채권이 방어
- 금리 인상 시 현금 가치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