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인버스 ETF 실전 가이드 - 2배 수익의 함정
· 약 18분
"KODEX 레버리지로 한 달 만에 30% 벌었어요!"
코스피가 10% 오르면 20% 수익, 떨어질 것 같으면 인버스로 반대 베팅. 레버리지 ETF는 주식 신용거래보다 쉽고, 선물보다 안전해 보입니다. 마진콜도 없고, 증권계좌로 바로 매매됩니다.
하지만 **"복리 효과의 함정"**을 아시나요? 코스피가 제자리인데 레버리지 ETF는 -20% 손실. 횡보장에서 매일 조금씩 녹아내립니다. 2020년 3월 유가 폭락 때 WTI 원유 레버리지 ETF 투자자 90%가 손실 봤습 니다.
언제 쓰면 되고, 언제 피해야 할까요? 일일 리밸런싱의 모든 것을 알아봅니다.
1. 레버리지 ETF란?
정의
Leveraged ETF
기초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2배 또는 3배로 추종
메커니즘:
기초지수: KOSPI 200
일일 수익률: +1%
→ 레버리지 ETF: +2%
기초지수: -1%
→ 레버리지 ETF: -2%
특징:
선물 계약 활용
→ 레버리지 효과
→ 신용거래 없음
→ 마진콜 없음
워런 버핏:
"레버리지 ETF는
단기 도구일 뿐
장기 투자 금지"
→ "일일 추종"
쉬운 비유
게임 아이템 대여 - 일일 버전:
일반 주식:
코스피 +10%
→ 내 수익 +10%
레버리지 2배:
코스피 +10% (하루)
→ 내 수익 +20% (하루)
BUT:
10일 동안 각각:
+5%, -5%, +5%, -5%, +5%, -5%, +5%, -5%, +5%, -5%
일반 주식:
총 변동: 거의 0%
→ 손실 거의 없음
레버리지 2배:
매일 +10%, -10% 반복
→ 복리로 -5% 손실 ⚠️
교훈:
방향 맞아도
횡보하면 손실
→ "일일 리밸런싱의 함정"
한국 주요 ETF
KODEX 시리즈
레버리지 (2배):
KODEX 레버리지:
기초지수: KOSPI 200
배수: 2배
순자산: 5조 원
거래량: 최대
KODEX 인버스 (-1배):
기초지수: KOSPI 200
배수: -1배
하락 시 수익
순자산: 1조 원
KODEX 인버스 2X (-2배):
배수: -2배
하락 시 2배 수익
미국 ETF:
TQQQ: 나스닥 3배
SQQQ: 나스닥 -3배
SPXL: S&P500 3배
특징:
장점:
- 증권계좌로 매매
- 마진콜 없음
- 소액 투자 가능
- 유동성 높음
단점:
- 일일 리밸런싱
- 횡보장 손실
- 보유 비용 (수수료)
- 복리 효과 함정
→ "단기 도구"
2. 일일 리밸런싱의 원리
메커니즘
Daily Rebalancing
원리:
매일 자정 초기화
→ 다음날 새로 계산
예시:
1일차:
기초지수: 100
레버리지 ETF: 10,000원
기초지수 +10%:
기초지수: 110
레버리지 ETF: +20%
→ 12,000원 ✅
2일차 시작:
기초지수: 110 (기준)
레버리지: 12,000원 (기준)
기초지수 -9.09%:
110 → 100 (원점 복귀)
레버리지: -18.18%
12,000 → 9,818원
결과:
기초지수: 100 (0%)
레버리지: 9,818원 (-1.82%)
이유:
1일차: 10,000 → 12,000 (+2,000)
2일차: 12,000 → 9,818 (-2,182)
→ 손실 -182원
복리 효과:
더 큰 금액에서 손실
→ 횡보 시 불리
워런 버핏:
"복리는 장기 투자의 친구
but 레버리지 ETF에선 적"
→ "매일 초기화의 함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