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표 읽기 - 진짜 돈 버는 회사 찾기
· 약 13분
"순이익 1조 원인데 현금은 어디 갔지?"
손익계산서에 이익이 쌓여도, 통장은 텅 빕니다. 회계상 이익과 실제 현금은 다릅니다. 순이익 흑자인데 부도 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워런 버핏이 가장 중시하는 재무제표는? 현금흐름표입니다. "순이익은 의견, 현금흐름은 사실"이라는 말처럼, 회계 조작은 가능해도 현금 조작은 불가능합니다.
삼성전자가 매년 30조 현금을 벌고, 카카오는 순이익 대비 현금이 적은 이유를 알아봅니다.
1. 현금흐름표란?
정의
Cash Flow Statement
기업의 현금 유입/유출
실제 보고서
구성 3부분:
1. 영업활동 현금흐름 (OCF):
본업으로 벌어들인 현금
→ "진짜 실력"
2. 투자활동 현금흐름 (ICF):
자산 매입/매각 현금
→ "미래 투자"
3. 재무활동 현금흐름 (FCF):
자금 조달/상환 현금
→ "자금 운용"
중요성:
순이익:
회계 기준
→ 조작 가능
→ 주관적
현금흐름:
통장 잔고
→ 조작 불가
→ 객관적
워런 버핏:
"현금흐름이
기업의 진실을 말한다"
→ "현금이 진짜"
쉬운 비유
개인 가계부:
손익계산서 = 예상:
월급 500만 원 (벌 것)
지출 400만 원 (쓸 것)
→ 흑자 100만 원
현금흐름표 = 실제:
실제 입금: 450만 원 (보너스 미지급)
실제 지출: 500만 원 (갑자기 병원비)
→ 적자 -50만 원
결과:
"흑자인데 통장은 마이너스?"
기업도 동일:
순이익 (손익계산서):
회계상 이익
→ "벌었다고 기록"
영업현금흐름 (현금흐름표):
실제 현금 증가
→ "통장에 들어옴"
차이:
매출채권 (외상)
재고자산 (팔기 전)
감가상각 (현금 안 나감)
→ 순이익 ≠ 현금
교훈:
순이익만 보면 속음
→ 현금흐름 필수 확인
→ "실제가 중요"
순이익 vs 영업현금흐름
차이의 이유
순이익 (Net Income):
수익 - 비용 (발생주의)
특징:
- 매출 = 상품 판매 시점
- 비용 = 발생 시점
- 현금 무관
영업현금흐름 (OCF):
현금 유입 - 현금 유출
특징:
- 현금 받은 시점
- 현금 지급 시점
- 실제 통장
차이 발생 이유:
1. 외상 매출 (매출채권):
팔았지만 안 받음
→ 순이익↑
→ 현금흐름 변화 없음
2. 외상 매입 (매입채무):
샀지만 안 냈음
→ 비용↑
→ 현금흐름 변화 없음
3. 재고자산:
사놓고 안 팔림
→ 비용 발생 안 함
→ 현금은 나감
4. 감가상각:
회계상 비용
→ 현금 안 나감
→ OCF에 더해짐
예시:
A기업:
순이익: 100억 원
매출채권 증가: 50억 원 (안 받음)
재고 증가: 30억 원 (안 팔림)
감가상각: 20억 원
영업현금흐름:
100 - 50 - 30 + 20
= 40억 원
해석:
순이익 100억이지만
실제 현금 증가 40억만
→ 60억 어디 갔나?
→ 외상 + 재고에 묶임
→ "차이가 진실"
2. 영업활동 현금흐름 (OCF)
가장 중요한 지표
Operating Cash Flow
정의:
본업으로 벌어들인 현금
계산:
OCF = 순이익
+ 감가상각비
- 운전자본 증가
+ 기타 조정
의미:
"본업이 현금을 창출하는가?"
판단 기준:
OCF > 0:
현금 창출
→ 건전
OCF < 0:
현금 소진
→ 위험
OCF > 순이익:
현금 효율 높 음
→ 우수
OCF < 순이익:
현금 효율 낮음
→ 주의
한국 사례:
삼성전자 (2023):
순이익: 30조 원
OCF: 35조 원
→ OCF > 순이익 ✅
→ 현금 창출력 우수
해석:
순이익보다 현금 더 벌음
→ 외상 회수 잘 함
→ 재고 관리 우수
카카오 (2023):
순이익: 1조 원
OCF: 5,000억 원
→ OCF < 순이익 ⚠️
→ 현금 창출력 약함
해석:
순이익 1조인데 현금 절반
→ 매출채권 증가
→ 투자 과다
→ 주의 필요
워런 버핏:
"OCF가 순이익보다 높은 기업을
찾아라"
→ "OCF가 진실"
OCF 비율 분석
OCF Ratios
1. OCF 마진:
OCF / 매출액 × 100
의미:
매출 대비 현금 창출 비율
기준:
10% 이상: 우수
5-10%: 양호
5% 이하: 부족
예시:
삼성전자:
OCF: 35조 원
매출: 300조 원
→ OCF 마진: 11.7%
→ 우수 ✅
현대차:
OCF: 8조 원
매출: 150조 원
→ OCF 마진: 5.3%
→ 양호
카카오:
OCF: 5,000억 원
매출: 7조 원
→ OCF 마진: 7.1%
→ 양호
2. OCF/순이익 비율:
OCF / 순이익
의미:
순이익이 현금으로 전환되는 비율
기준:
1.2 이상: 우수 (현금 잘 벌음)
0.8-1.2: 정상
0.8 이하: 주의 (현금 부족)
예시:
삼성전자:
OCF: 35조
순이익: 30조
→ 비율: 1.17
→ 우수 ✅
카카오:
OCF: 5,000억
순이익: 1조
→ 비율: 0.5
→ 주의 ⚠️
3. 현금전환일수:
(매출채권 + 재고 - 매입채무) / 일평균 매출
의미:
매출이 현금으로 전환되는 기간
기준:
30일 이하: 우수
30-60일: 양호
60일 이상: 주의
예시:
삼성전자:
현금전환일수: 45일
→ 양호
현대차:
현금전환일수: 65일
→ 주의
→ "비율로 진단"
3. 투자활동 현금흐름 (ICF)
미래를 보는 창
Investing Cash Flow
정의:
자산 매입/매각 현금
구성:
유출 (마이너스):
- 설비 투자 (CAPEX)
- 연구개발 (R&D)
- 인수합병 (M&A)
→ "미래 투자"
유입 (플러스):
- 자산 매각
- 투자 회수
→ "현금 확보"
해석:
ICF < 0 (유출):
투자 중
→ 성장 기업
ICF > 0 (유입):
자산 매각
→ 위기 or 구조조정
예시:
삼성전자 (성장 투자):
ICF: -50조 원
내역:
- 반도체 설비: 40조
- R&D: 10조
해석:
미래 투자 적극
→ 성장 추구 ✅
현대차 (전환 투자):
ICF: -15조 원
내역:
- 전기차 설비: 10조
- 배터리 투자: 5조
해석:
전기차 전환 중
→ 미래 준비 ✅
조선업 (위기):
ICF: +5조 원
내역:
- 공장 매각: 3조
- 자산 정리: 2조
해석:
자산 매각으로 생존
→ 위기 신호 ⚠️
→ "투자는 미래"
CAPEX 분석
Capital Expenditure
정의:
설비 투자 금액
중요성:
미래 성장 = 현재 투자
분석:
CAPEX / 매출액:
10% 이상: 적극 투자
5-10%: 정상 유지
5% 이하: 투자 부족
예시:
삼성전자:
CAPEX: 40조 원
매출: 300조 원
→ 비율: 13.3%
→ 적극 투자 ✅
애플:
CAPEX: $10B
매출: $400B
→ 비율: 2.5%
→ 자산 경량 (아웃소싱)
현대차:
CAPEX: 10조 원
매출: 150조 원
→ 비율: 6.7%
→ 정상 유지
산업별 차이:
제조업:
높은 CAPEX 필요
→ 10-15%
IT 서비스:
낮은 CAPEX
→ 5% 이하
네이버/카카오:
CAPEX: 낮음
→ 자산 경량
→ 고마진 가능
주의:
CAPEX 급증:
공격적 투자
→ 미래 낙관
or 과잉 투자
CAPEX 급감:
투자 중단
→ 성장 포기
or 위기
워런 버핏:
"CAPEX가 낮으면서
OCF가 높은 기업이 최고"
→ "자본 효율"
4. 잉여현금흐름 (FCF)
투자의 핵심 지표
Free Cash Flow
정의:
주주에게 돌아갈 수 있는
자유로운 현금
계산:
FCF = OCF - CAPEX
또는:
FCF = OCF - (투자활동 현금흐름)
의미:
"배당, 자사주 매입, 부채 상환
가능한 현금"
판단:
FCF > 0:
잉여 현금 존재
→ 주주 환원 가능
→ 우량 기업
FCF < 0:
현금 부족
→ 투자 과다
or 실적 부진
FCF 지속 증가:
성장 + 효율
→ 최고의 기업
한국 기업 사례:
삼성전자 (2023):
OCF: 35조 원
CAPEX: 40조 원
FCF: -5조 원
해석:
FCF 마이너스?
→ 투자 > 현금 창출
→ 공격적 투자 중
하지만:
일시적
→ 투자 후 회수
→ 장기론 플러스
네이버:
OCF: 2조 원
CAPEX: 5,000억 원
FCF: 1.5조 원
해석:
FCF 풍부
→ 현금 창출력 우수
→ 주주 환원 가능 ✅
현대차:
OCF: 8조 원
CAPEX: 10조 원
FCF: -2조 원
해석:
전기차 투자로 마이너스
→ 일시적
→ 모니터링 필요
카카오:
OCF: 5,000억 원
CAPEX: 3,000억 원
FCF: 2,000억 원
해석:
FCF 소량
→ 성장 재투자
→ 배당 어려움
워런 버핏 기준:
FCF 10년 평균:
연 10% 이상 성장
→ 투자 적격
FCF 마진:
FCF / 매출 > 10%
→ 우수
→ "FCF가 왕"
FCF 활용도
FCF Utilization
FCF 사용처:
1. 배당:
주주에게 분배
→ 안정적 수익
2. 자사주 매입:
주주가치 제고
→ 주가 상승
3. 부채 상환:
재무 건전성↑
→ 안정성↑
4. 재투자:
성장 가속
→ 미래 가치↑
5. 현금 보유:
위기 대비
→ 기회 포착
기업별 전략:
삼성전자:
배당 + 자사주 매입
→ 주주 환원 적극
네이버:
재투자 + 소량 배당
→ 성장 우선
현대차:
전기차 재투자
→ 미래 대비
KB금융:
고배당
→ 주주 환원 중시
애플:
자사주 매입 적극
→ 주가 지지
판단:
좋은 활용:
배당 or 자사주 매입
→ 주주 친화
나쁜 활용:
과도한 인수
→ 실패 위험
최악:
경영진 보너스
→ 주주 무시
워런 버핏:
"FCF를 현명하게 쓰는
경영진을 찾아라"
→ "사용처가 중요"
5. 현금흐름 분석 실전
삼성전자 분석
Samsung Electronics (2023)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영업현금흐름: 35조 원
→ 본업 탄탄 ✅
투자활동:
CAPEX: -40조 원
(반도체 설비)
→ 미래 투자 ✅
재무활동:
배당: -10조 원
자사주: -5조 원
→ 주주 환원 ✅
기말 현금:
100조 원 보유
→ 안정성 ✅
분석:
1. OCF/순이익:
35조 / 30조 = 1.17
→ 현금 전환 우수 ✅
2. FCF:
35조 - 40조 = -5조
→ 일시적 마이너스
→ 투자 회수 대기
3. CAPEX/매출:
40조 / 300조 = 13%
→ 적극 투자 ✅
4. 현금 보유:
100조 원
→ 위기 대응력 ✅
종합 평가:
강점:
- OCF 강력
- 투자 적극
- 주주 환원 병행
- 현금 풍부
약점:
- FCF 일시 마이너스
- CAPEX 부담
결론:
투자 적격 ✅
→ 장기 보유
→ "종합 우수"
카카오 분석
Kakao (2023)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OCF: 5,000억 원
→ 본업 현금 창출 약함 ⚠️
투자활동:
M&A: -8,000억 원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
→ 투자 과다 ⚠️
재무활동:
차입: +5,000억 원
→ 빚으로 투자 ⚠️
기말 현금:
1조 원
→ 부족
분석:
1. OCF/순이익:
5,000억 / 1조 = 0.5
→ 현금 전환 낮음 ⚠️
2. FCF:
5,000억 - 8,000억 = -3,000억
→ 마이너스 ⚠️
3. 부채 증가:
투자 위해 차입
→ 재무 악화 ⚠️
4. 배당:
없음
→ 주주 환원 없음
종합 평가:
약점:
- OCF 약함
- 투자 과다
- FCF 마이너스
- 부채 증가
- 배당 없음
위험:
M&A 실패 시
→ 재무 위기
2021년 고점 분석:
당시 경고 신호:
- OCF < 순이익
- FCF 마이너스
- 부채 증가
결과:
2021-2023 -60% 폭락
교훈:
현금흐름표가 경고
→ 무시하면 손실
워런 버핏:
"OCF 약한 기업은
피하라"
→ "경고 무시 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