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 - 자기자본이익률이 15%면 좋은 기업?
· 약 10분
"ROE 20%면 투자하라"는 말, 많이 들어봤을 겁니다.
하지만 ROE 20%가 진짜 좋은 건지, 어떻게 만들어진 건지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빚으로 부풀린 20%일 수도 있고, 일회성 이익일 수도 있습니다.
ROE 하나가 기업의 수익 구조, 자본 효율성, 심지어 경영 전략까지 보여줍니다. 듀폰 분석으로 ROE의 비밀을 파헤쳐봅니다.
1. ROE란?
정의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가?
공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시:
자기자본: 100억
순이익: 15억
→ ROE = 15%
의미: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연 15% 수익 창출
→ "자본 효율성"
쉬운 비유
은행 예금:
예금: 1,000만 원
이자: 50만 원
→ 수익률 5%
기업 투자:
자기자본: 100억
순이익: 20억
→ ROE 20%
비교:
예금 5% vs 기업 20%
→ 기업이 4배 효율적
워런 버핏:
"ROE 15% 이상 기업
장기 보유하라"
이유:
복리 효과
→ 15년이면 자본 2배
→ "투자 효율"
계산 방법
분자와 분모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순이익:
매출 - 비용 - 세금
→ 주주 몫
자기자본:
자산 - 부채
→ 주주 투자금
예시:
A기업:
순이익 10억
자기자본 100억
→ ROE 10%
B기업:
순이익 10억
자기자본 50억
→ ROE 20%
해석:
같은 이익이어도
자본 적게 쓰면 ROE ↑
→ "효율의 차이"
2. 듀폰 분석
3단계 분해
ROE = 수익성 × 효율성 × 레버리지
듀폰 공식:
ROE = (순이익/매출) × (매출/자산) × (자산/자기자본)
= 순이익률 × 자산회전율 × 재무레버리지
예시:
순이익률: 10%
자산회전율: 1회
재무레버리지: 1.5배
ROE = 10% × 1 × 1.5 = 15%
의미:
1. 순이익률 = 수익성
(마진이 얼마나?)
2. 자산회전율 = 효율성
(자산 활용 얼마나?)
3. 재무레버리지 = 레버리지
(빚 얼마나 썼나?)
→ "ROE의 구조"
각 요소 분석
1.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공식:
순이익 / 매출 × 100
의미:
매출 100억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