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월급 받으면 제일 먼저 해야 할 5가지 - 사회 초년생 필독

· 약 8분
silkroad
go to happy

첫 월급 받으셨나요? 축하합니다! 하지만 잠깐, 통장에 들어온 돈을 무작정 쓰기 전에 꼭 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급 받자마자 제일 먼저 해야 할 5가지를 순서대로 알려드립니다. 이 습관만 잘 들여도 10년 후 재정 상황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월급 관리의 중요성

잘못된 예시: 김사원 (27세, 연봉 3,600만원)

월급일 (세후 250만원 입금)

  • 1일: 월급 입금, 친구들과 회식 (20만원)
  • 3일: 옷 쇼핑 (30만원)
  • 5일: 통장 잔액 200만원
  • 10일: 생활비, 교통비, 식비로 쓰다 보니 150만원
  • 20일: 통장 잔액 80만원, 불안해지기 시작
  • 25일: 통장 잔액 20만원, 마이너스 통장 50만원 사용
  • 30일: 다시 월급날, 마이너스 갚고 다시 시작...

1년 후: 저축 0원, 빚 200만원

올바른 예시: 박사원 (27세, 연봉 3,600만원)

월급일 (세후 250만원 입금)

  • 1일: 월급 입금과 동시에 자동이체 실행
    • 저축: 50만원 (20%)
    • 비상금: 20만원 (8%)
    • 투자: 30만원 (12%)
    • 생활비 통장 이체: 150만원 (60%)
  • 2~30일: 생활비 150만원 안에서 계획적 소비

1년 후: 저축 600만원 + 비상금 240만원 + 투자 360만원 = 1,200만원

월급 받으면 제일 먼저 할 5가지

1단계: 급여명세서 확인하기 (5분)

월급 받자마자 급여명세서부터 확인하세요!

급여명세서 보는 법

총 급여: 3,000,000원

[공제 항목]
- 국민연금 (4.5%): -135,000원
- 건강보험 (3.545%):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0.9182%): -9,766원
- 고용보험 (0.9%): -27,000원
- 소득세: -70,000원
- 지방소득세: -7,000원

총 공제액: -355,116원

실수령액: 2,644,884원

꼭 확인할 것

1. 4대보험 가입 여부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정규직이면 필수 가입
  • 미가입 시 회사에 문의

2. 공제 금액 정확성

  • 국민연금: 급여의 4.5%
  • 건강보험: 급여의 3.545%
  • 고용보험: 급여의 0.9%
  • 계산기로 직접 확인

3. 소득세 원천징수

  • 너무 많이 떼면: 연말정산 시 환급
  • 너무 적게 떼면: 연말정산 시 추가 납부

4. 상여금, 수당 항목

  • 식대, 교통비, 야근수당 등
  • 계약서와 비교

잘못된 경우 대처

4대보험 미가입

  • 회사에 즉시 문의
  • 3개월 이내 신고하지 않으면 소급 가입 불가

공제액 이상

  • 인사팀에 문의
  • 급여명세서 보관 (증거)

2단계: 저축 먼저 떼어놓기 (10분)

"남은 돈 저축하기" (X) "저축하고 남은 돈 쓰기" (O)

추천 저축 비율

연봉 구간저축 비율예시 (세후 250만원)
3천만원 이하20~30%50~75만원
3~5천만원30~40%75~100만원
5천만원 이상40~50%100~125만원

자동이체 세팅 필수

월급일 = 자동이체일

예시: 세후 월급 250만원

1. 적금 (월급의 20%)

  • 자유적금: 50만원
  • 이유: 목돈 만들기 (1년 후 600만원)

2. 비상금 (월급의 8~10%)

  • CMA 계좌: 20만원
  • 이유: 급할 때 쓸 돈 (6개월 후 120만원 확보)

3. 투자 (월급의 10~15%)

  • 주식 or ETF: 30만원
  • 이유: 장기 자산 증식

4. 생활비 통장 이체 (월급의 60%)

  • 생활비 통장: 150만원
  • 이유: 이 돈만 쓰기

자동이체 설정 방법

인터넷뱅킹

  1. 로그인
  2. 이체 > 자동이체
  3. 날짜: 월급일 or 월급일 +1일
  4. 금액: 저축액 입력
  5. 반복: 매월

TIP: 월급일 당일보다 +1일로 설정 (월급 입금 확인 후)

3단계: 고정비 확인 및 자동이체 (10분)

고정비 목록

필수 고정비

  • 월세/관리비
  • 통신비 (휴대폰, 인터넷)
  • 구독료 (넷플릭스, 멜론 등)
  • 보험료
  • 대출 상환금

변동비 (관리 필요)

  • 식비
  • 교통비
  • 생활용품
  • 여가비

고정비 최적화

통신비 줄이기

  • 알뜰폰 전환: 월 5만원 → 2만원 (월 3만원 절약)
  • 요금제 재점검: 데이터 사용량 확인

구독료 정리

  • 쓰지 않는 구독 해지
  • 넷플릭스 + 유튜브 프리미엄 + 멜론 = 월 3만원
  • 실제 사용하는 것만 유지

보험료 재점검

  • 불필요한 보험 해지
  • 20대 필수 보험: 실손보험, 운전자보험
  • 불필요: 저축보험, 연금보험 (젊을 때는 투자가 유리)

예시: 고정비 정리 전후

정리 전 (월 250만원 중)

  • 월세: 50만원
  • 통신비: 5만원
  • 구독료: 3만원
  • 보험: 10만원
  • 고정비 합계: 68만원 (27%)

정리 후

  • 월세: 50만원 (변동 불가)
  • 통신비: 2만원 (알뜰폰 전환)
  • 구독료: 1.5만원 (넷플릭스만 유지)
  • 보험: 5만원 (불필요한 보험 해지)
  • 고정비 합계: 58.5만원 (23%)
  • 절약: 9.5만원 (연 114만원)

4단계: 생활비 예산 세우기 (10분)

생활비 = 월급 - 저축 - 고정비

예시: 세후 월급 250만원

  • 저축: 100만원 (40%)
  • 고정비: 58.5만원 (23%)
  • 생활비: 91.5만원 (37%)

생활비 세부 배분

식비 (40만원)

  • 아침: 집에서 (0원)
  • 점심: 회사 식당 or 도시락 (5천원 × 20일 = 10만원)
  • 저녁: 집에서 or 외식 (1만원 × 20일 = 20만원)
  • 주말: 외식/배달 (5만원 × 4주 = 20만원)

교통비 (10만원)

  • 출퇴근: 대중교통 (6만원)
  • 주말: 택시/차량 공유 (4만원)

생활용품 (5만원)

  • 세제, 화장품, 생필품

문화/여가 (15만원)

  • 영화, 전시, 취미

경조사비 (5만원)

  • 결혼식, 장례식 등

예비비 (16.5만원)

  • 예상 못한 지출

예산 관리 앱 추천

1. 뱅크샐러드

  • 자동 카테고리 분류
  • 지출 분석

2. 토스

  • 카드 소비 실시간 알림
  • 지출 리포트

3. 네이버 가계부

  • 수기 입력
  • 간단한 UI

5단계: 비상금 점검 (5분)

비상금이란?

긴급 상황에 쓸 수 있는 현금

  • 실직, 병원비, 긴급 수리 등
  • 투자 X, 적금 X
  • 언제든 꺼낼 수 있는 돈

비상금 목표

최소: 월 생활비 × 3개월

  • 예: 생활비 150만원 → 비상금 450만원

권장: 월 생활비 × 6개월

  • 예: 생활비 150만원 → 비상금 900만원

최대: 월 생활비 × 12개월

  • 예: 생활비 150만원 → 비상금 1,800만원

비상금 저축 플랜

1년 차 목표: 6개월치

월급 250만원 기준

  • 생활비: 150만원
  • 목표 비상금: 900만원

방법

  • 월 20만원씩 저축
  • 12개월 후: 240만원
  • 상여금, 13월의 월급 활용: +660만원
  • 1년 후: 900만원 달성

비상금 보관처

추천: CMA 계좌

  • 입출금 자유
  • 연 3~4% 이자
  • 예금자보호 (5천만원까지)

추천 CMA

  • 미래에셋증권 CMA
  • 삼성증권 CMA
  • 토스증권 CMA

피해야 할 곳

  • 적금 (해지 시 이자 손해)
  • 주식 (갑자기 필요할 때 손실 가능)
  • 정기예금 (중도해지 시 이자 손해)

월급 관리 시뮬레이션

사례 1: 신입사원 김대리 (27세)

급여

  • 세후 월급: 250만원
  • 상여금: 연 600만원 (설, 추석, 연말)

월급일 루틴

1단계: 급여명세서 확인

  • 4대보험 정상 공제 확인

2단계: 자동이체 (100만원)

  • 적금: 50만원
  • 비상금 CMA: 20만원
  • ETF 투자: 30만원

3단계: 고정비 (58.5만원)

  • 월세: 50만원
  • 통신비: 2만원
  • 넷플릭스: 1.5만원
  • 보험: 5만원

4단계: 생활비 (91.5만원)

  • 식비: 40만원
  • 교통비: 10만원
  • 여가: 15만원
  • 기타: 26.5만원

5단계: 비상금 점검

  • 현재: 240만원 (3개월치)
  • 목표: 900만원 (6개월치)
  • 진행률: 27%

1년 후 자산

  • 적금: 600만원
  • 비상금: 480만원
  • ETF: 360만원 (수익률 0% 가정)
  • 상여금 저축: 400만원
  • 총 자산: 1,840만원

사례 2: 3년 차 이과장 (30세)

급여

  • 세후 월급: 350만원
  • 상여금: 연 1,000만원

월급일 루틴

1단계: 급여명세서 확인

  • 4대보험, 소득세 확인

2단계: 자동이체 (140만원)

  • 적금: 80만원
  • 비상금 (목표 달성): 0원
  • ETF 투자: 60만원

3단계: 고정비 (80만원)

  • 월세: 60만원
  • 통신비: 3만원
  • 구독료: 2만원
  • 보험: 10만원
  • 대출 상환: 5만원

4단계: 생활비 (130만원)

  • 식비: 60만원
  • 교통비: 15만원
  • 여가: 30만원
  • 기타: 25만원

5단계: 비상금 점검

  • 현재: 2,100만원 (이미 목표 달성)
  • 추가 저축 불필요

1년 후 자산

  • 적금: 960만원
  • ETF: 720만원
  • 상여금 투자: 1,000만원
  • 1년 저축액: 2,680만원

자주 하는 실수

실수 1: 저축을 마지막에 하기

잘못된 방법

  • 월급 쓰다가 남으면 저축
  • 결과: 항상 돈이 안 남음

올바른 방법

  • 월급 받자마자 저축 먼저
  • 남은 돈으로 생활

실수 2: 월급날 과소비

잘못된 예시

  • 월급날 친구들과 회식 (10만원)
  • 스트레스 풀겠다고 쇼핑 (30만원)
  • 결과: 월급의 16% 날림

올바른 방법

  • 월급날에는 조용히 자동이체만
  • 보상은 예산 안에서

실수 3: 비상금 없이 투자부터

잘못된 순서

  1. 월급 → 전액 주식 투자
  2. 갑자기 돈 필요
  3. 주식 손실 상태에서 급매

올바른 순서

  1. 비상금 6개월치 모으기
  2. 그 다음 투자 시작

실수 4: 고정비 방치

잘못된 예시

  • 안 쓰는 구독료 3개 (월 3만원)
  • 비싼 요금제 (월 5만원)
  • 불필요한 보험 (월 10만원)
  • 결과: 월 18만원, 연 216만원 낭비

올바른 방법

  • 분기마다 고정비 재점검
  • 안 쓰는 건 과감히 해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월급이 너무 적어서 저축이 불가능한데요?

A. 금액이 적어도 저축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월 10만원이라도 시작하세요. 10만원 × 12개월 = 120만원입니다.

Q2. 비상금이 다 모이기 전까지 투자를 안 해야 하나요?

A. 비상금 3개월치가 모이면 투자를 소액으로 시작해도 됩니다. 비상금:투자 = 2:1 비율로 병행하세요.

Q3. 적금과 투자 중 뭐가 먼저인가요?

A. 비상금(6개월) > 적금(목돈 마련) > 투자 순서를 추천합니다. 다만 투자는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므로 소액이라도 병행하세요.

Q4. 월급날 회식이 많아서 돈을 많이 쓰는데 어떡하죠?

A. 회식비 예산을 미리 책정하세요. 생활비에서 "교제비" 항목으로 월 10~15만원 배정하고, 그 안에서만 쓰세요.

Q5. 상여금은 어떻게 관리하나요?

A. 상여금의 70%는 저축/투자, 30%는 자기보상으로 쓰세요. 예: 상여금 200만원 → 저축 140만원, 보상 60만원.

Q6. 월급이 오르면 저축 비율도 올려야 하나요?

A. 네! 월급이 오르면 고정비도 함께 늘리는 게 아니라, 증가분의 50%는 저축으로 돌리세요.

마무리

월급 관리는 첫 월급부터 습관이 중요합니다. 한 번 잘못된 습관이 들면 고치기 어렵습니다.

핵심 정리:

  1. 급여명세서 확인 (4대보험, 공제액)
  2. 저축 먼저 떼어놓기 (자동이체)
  3. 고정비 확인 및 최적화
  4. 생활비 예산 세우기
  5. 비상금 점검 (6개월치 목표)

이 5가지만 지키면:

  • 1년 후: 1,000만원 이상 저축 가능
  • 5년 후: 5,000만원 이상 자산 가능
  • 10년 후: 1억원 자산도 꿈이 아닙니다

월급 관리, 어렵지 않습니다. 오늘부터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