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환율 전쟁 - 각국의 통화 평가절하 경쟁

· 약 12분
silkroad
go to happy

"중국 위안화 7년 만에 최저치, 환율 전쟁 본격화되나?"

이 뉴스를 보면 "환율 전쟁이 뭐지?"라는 의문이 듭니다.

국가들이 왜 자기 나라 돈의 가치를 떨어뜨리려고 경쟁하는 걸까요? 돈의 가치가 높은 게 좋은 거 아닌가요?

환율 전쟁의 실체와 숨겨진 경제 논리를 파헤쳐 봅니다.

1. 환율 전쟁이란?

정의

Currency War (통화 전쟁)

환율 전쟁:
각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려는 경쟁

목적:
수출 경쟁력 확보
→ 경제 성장 추구

방법:
- 금리 인하
- 양적완화
- 직접 개입
- 환율 조작

→ "이웃 나라를 거지로 만들기"
(Beggar-thy-neighbor)

쉬운 비유

정상적인 환율:
시장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
→ 공정한 경쟁

환율 전쟁:
정부가 인위적으로 개입
→ 우리 제품만 싸게 만들기

결과:
다른 나라도 따라함
→ 모두가 평가절하
→ 누구도 이득 못 봄

→ "죄수의 딜레마"

역사

최초의 환율 전쟁

1930년대 대공황:

영국 (1931):
- 금본위제 포기
- 파운드 30% 절하
- 수출 증가 목적

미국 (1933):
- 달러 40% 절하
- 보복 평가절하

프랑스, 독일 동참:
- 경쟁적 평가절하
- 무역 전쟁 심화

결과:
- 세계 무역 -66%
- 대공황 악화
- 제2차 세계대전 원인 중 하나

→ 역사의 교훈

현대의 환율 전쟁

| 시기 | 사건 | 내용 |
|------|------|------|
| 1985 | 플라자 합의 | 달러 강제 절하 |
| 1995 | 역플라자 합의 | 엔화 급등 |
| 2010 | 환율 전쟁 1.0 | 각국 양적완화 경쟁 |
| 2015 | 중국 위안화 절하 | 신흥국 충격 |
| 2019 | 트럼프 환율 압박 | 중국 환율 조작국 지정 |
| 2024 | 현재 진행형 | 미중 환율 갈등 |

→ 주기적으로 반복

2. 환율의 기본 원리

환율이란?

정의

환율 (Exchange Rate):
두 통화 간의 교환 비율

예시:
달러/원 환율 1,300원
→ 1달러 = 1,300원

원/달러 환율 0.00077
→ 1원 = 0.00077달러

→ 상대적 가치

환율 표시 방법

직접 표시법 (한국):
외화 1단위 = 원화 얼마

USD/KRW 1,300
→ 1달러 = 1,300원
→ 숫자 ↑ = 원화 약세

간접 표시법 (미국):
자국 통화 1단위 = 외화 얼마

KRW/USD 0.00077
→ 1원 = 0.00077달러

→ 표시 방법만 다름

환율 변동의 영향

원화 약세 (환율 상승)

달러/원: 1,200원 → 1,400원

수출 기업:
○ 경쟁력 증가
○ 매출 증가
예: 삼성전자, 현대차

수입 기업:
× 원가 상승
× 수익성 악화
예: 정유사, 항공사

개인:
× 해외여행 비용 증가
× 수입품 가격 상승
○ 수출 기업 주식 상승

정부:
○ 수출 증가 → GDP 증가
× 인플레이션 압력
× 외채 부담 증가

→ 양면성

원화 강세 (환율 하락)

달러/원: 1,400원 → 1,200원

수출 기업:
× 경쟁력 감소
× 매출 감소

수입 기업:
○ 원가 절감
○ 수익성 개선

개인:
○ 해외여행 저렴
○ 수입품 가격 하락
× 수출 기업 주식 하락

정부:
× 수출 감소 → GDP 감소
○ 인플레이션 안정
○ 외채 부담 감소

→ 반대 효과

3. 환율 전쟁의 메커니즘

1. 금리 정책

금리 인하로 환율 약세 유도

메커니즘:

1. 중앙은행 금리 인하

2. 예금 금리 하락

3. 외국인 자금 유출

4. 통화 가치 하락

5. 환율 상승 (자국 통화 약세)

예시:
한국 금리: 3.5% → 2.0%
→ 외국인 투자자 이탈
→ 달러 수요 증가
→ 원화 약세

→ 간접적 환율 조작

실제 사례: 일본 (2013)

아베노믹스:

Before (2012):
- 엔/달러: 80엔
- 수출 기업 고전
- 경기 침체

정책:
- 기준금리 0%
- 대규모 양적완화
- 엔화 약세 유도

After (2013):
- 엔/달러: 100엔 (25% 절하)
- 수출 급증
- 주식시장 폭등

부작용:
- 이웃 나라 수출 타격
- "통화 전쟁" 비난

→ 의도적 환율 조작

2. 양적완화 (QE)

돈 찍어서 환율 낮추기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1.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2. 통화량 증가

3. 통화 가치 희석

4. 환율 상승 (자국 통화 약세)

규모:
미국 QE (2008-2014):
$4.5조 달러 공급
→ 달러 약세 유도

일본 QE (2013-현재):
500조 엔 공급
→ 엔화 약세 유도

유럽 QE (2015-2018):
2.6조 유로 공급
→ 유로 약세 유도

→ 모두가 돈 찍으면?
상대적 효과 상쇄

3. 외환 시장 개입

직접 개입

중앙은행의 직접 매매:

환율 낮추려면 (자국 통화 약세):
→ 자국 통화 매도
→ 외환 매수

예시:
한국은행:
- 원화 1조 원 매도
- 달러 7.7억 달러 매수
→ 달러/원 환율 상승

스위스 중앙은행 (2011-2015):
- 5,000억 스위스프랑 공급
- 유로 대량 매입
- 프랑 약세 유지

→ 가장 직접적이지만
외환보유액 필요

4. 구두 개입

말로 환율 움직이기

버벌 인터벤션:

정부 고위 관료 발언:
"환율이 너무 강세다"
"시장 개입을 검토하겠다"
→ 심리적 압박

실제 효과:
2019년 한국:
홍남기 부총리 발언
"원화 강세 우려"
→ 즉시 환율 10원 상승

2024년 일본:
스즈키 재무상
"과도한 변동에 대응"
→ 엔화 급등

장점:
- 비용 제로
- 즉각 효과

단점:
- 일시적
- 신뢰 소진

→ "말의 힘"

4. 플라자 합의 (1985)

배경

미국의 쌍둥이 적자

1980년대 미국:

무역 적자:
- 수입 > 수출
- 연간 1,600억 달러 적자

재정 적자:
- 세입 < 지출
- 연간 2,000억 달러 적자

원인:
달러 강세
→ 미국 제품 비쌈
→ 일본/독일 제품 쌈
→ 수출 감소, 수입 증가

위기:
- 제조업 붕괴
- 실업 증가
- 보호무역 압력

→ 달러 약세 필요

합의 내용

5개국 합의

1985년 9월 22일:

장소:
뉴욕 플라자 호텔

참가국:
G5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합의:
"달러가 과대평가되었다"
→ 협조하여 달러 절하

방법:
- 각국 외환시장 개입
- 금리 정책 조정
- 재정정책 협조

목표:
달러 10-12% 절하

→ 역사적 합의

결과

달러 급락

환율 변동:

달러/엔:
1985.2: 260엔
1987.12: 120엔
→ -54% (2년 만에)

달러/마르크:
1985.2: 3.5마르크
1987.12: 1.6마르크
→ -54%

효과:

미국:
○ 수출 증가
○ 무역 적자 감소
○ 제조업 회복

일본/독일:
× 수출 경쟁력 감소
× 경기 침체 우려

→ 의도대로 작동

일본의 버블

일본의 대응:

엔고 충격:
수출 기업 타격
→ 경기 침체 우려

일본은행 정책:
- 금리 인하 (5% → 2.5%)
- 유동성 공급 확대
- 경기 부양

부작용:

자산 버블:
- 부동산 가격 폭등
- 주식 폭등
- 투기 과열

1990년 버블 붕괴:
- "잃어버린 30년" 시작

교훈:
급격한 환율 변동
→ 정책 실패
→ 장기 침체

→ 플라자 합의의 함정

5. 2010년대 환율 전쟁

글로벌 금융위기 후

각국의 양적완화 경쟁

2008년 이후:

미국 (2008-2014):
- QE1, QE2, QE3
- 총 $4.5조 달러
→ 달러 약세

일본 (2013-):
- 아베노믹스
- 연 80조 엔 공급
→ 엔화 급락 (80 → 120엔)

유럽 (2015-2018):
- ECB 양적완화
- 월 600억 유로
→ 유로 약세

영국 (2016-):
- 브렉시트 + QE
- 4,350억 파운드
→ 파운드 약세

결과:
모두가 평가절하
→ 상대적 효과 상쇄
→ 누구도 큰 이득 못 봄

→ "제로섬 게임"

브라질 재무장관의 경고

"환율 전쟁" 명명

2010년 9월: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
"We're in the midst of an
international currency war"

브라질 상황:
- 헤알화 20% 급등
- 수출 기업 고전
- 신흥국 통화 급등

원인:
선진국 양적완화
→ 자금이 신흥국으로
→ 신흥국 통화 강세

대응:
- 외환 거래세 부과
- 자본 통제 강화

→ "환율 전쟁" 용어 탄생

6. 미중 환율 갈등

트럼프 시대 (2017-2020)

중국 환율 조작국 지정

트럼프 주장:

"중국이 위안화를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

근거:
- 대중 무역 적자 $4,200억
- 중국 수출 급증
- 미국 제조업 일자리 감소

2019년 8월:
중국을 "환율 조작국" 지정
→ 27년 만에 처음

중국 반박:
- 시장 결정 환율
- 미국이 무역 전쟁 핑계

실제:
위안화는 시장 압력으로 약세
→ 중국 개입은 오히려 강세 유지

→ 정치적 공격

위안화 절하 (2015, 2019)

2015년 8월 11일

중국 인민은행:

발표:
위안화 기준 환율
3일간 4.4% 절하

이유:
- 수출 부진
- 경제 성장 둔화
- 달러 강세

충격파:

신흥국:
- 통화 급락
- 주식 폭락
- 자본 유출

한국:
원/달러: 1,080원 → 1,200원
코스피: 2,000 → 1,800

세계:
"환율 전쟁 재개" 우려

→ 중국의 영향력

2019년 8월 5일

위안화 7위안 돌파:

달러/위안: 6.9 → 7.0
심리적 마지노선 붕괴

배경:
트럼프 관세 인상
→ 중국 수출 타격
→ 위안화 약세 방치

미국 반응:
즉시 "환율 조작국" 지정

시장 충격:
- 다우 -2.9%
- 원화 -1.5%
- 안전자산 급등

→ 무역 전쟁의 환율 전쟁화

7. 한국의 환율 정책

한국은행의 역할

환율 안정 목표

한국의 환율 제도:

공식:
"시장 평균 환율 제도"
→ 시장이 결정

현실:
"관리 변동 환율제"
→ 과도한 변동 시 개입

개입 기준:

급등/급락 시:
하루 3% 이상 변동
→ 스무딩 오퍼레이션

방법:
- 직접 개입 (달러 매도/매수)
- 구두 개입 (발언)
- 외평채 발행

외환보유액 (2024):
$4,200억 달러
→ 세계 9위

→ 양방향 개입

역사적 사례

1997년 외환위기

외환 고갈:

Before:
외환보유액: $300억
→ 부족

위기:
단기 외채 급증
→ 외환 고갈
→ 환율 폭등
→ IMF 구제금융

교훈:
충분한 외환보유액 필수
→ 현재 $4,200억 유지

→ "다시는 그런 일 없게"

2008년 금융위기

환율 급등:

2008.7: 1,000원
2009.3: 1,570원
→ 57% 급등 (9개월)

원인:
- 글로벌 달러 부족
- 외국인 자금 이탈
- 수출 기업 달러 확보 경쟁

대응:
- 한미 통화스왑 $300억
- 외환 시장 개입
- 수출 기업 지원

효과:
2009년 하반기 안정
→ 1,200원대 회복

→ 통화스왑의 중요성

미국 환율 보고서

감시 대상국

미국 재무부 환율 보고서:

3가지 기준:

1. 대미 무역 흑자:
$150억 이상

2. 경상 수지:
GDP의 3% 이상

3. 환율 개입:
GDP의 2% 이상
(연간 8개월 이상)

한국 현황 (2024):
1. 무역 흑자: ○ $300억
2. 경상 흑자: ○ GDP의 4%
3. 환율 개입: △ 미미

결과:
"관찰 대상국" 지정
→ 환율 조작국 예비 단계

압박:
- 개입 자제 요구
- 투명성 강화 요구

→ 줄타기 외교

8. 환율 전쟁의 승자와 패자

단기 효과

환율 절하 성공 시

승자:

수출 기업:
- 가격 경쟁력 증가
- 매출 증가
- 이익 증가

예: 현대차, 삼성전자

정부:
- GDP 성장
- 고용 증가
- 세수 증가

패자:

수입 기업:
- 원가 상승
- 수익성 악화

예: 항공사, 정유사

소비자:
- 수입품 가격 상승
- 물가 상승
- 해외여행 비용 증가

→ 국내 이해관계 충돌

장기 효과

보복 평가절하

악순환:

A국 환율 절하:
→ 수출 증가

B국 대응:
→ 보복 환율 절하

C국, D국 동참:
→ 경쟁적 평가절하

결과:

상대적 효과 상쇄:
모두가 절하하면
→ 누구도 이득 못 봄

부작용:
- 무역 감소
- 보호무역 증가
- 글로벌 성장 둔화

역사의 교훈:
1930년대 → 대공황 악화
2010년대 → 성장 정체

→ "죄수의 딜레마"

진정한 승자?

구조 경쟁력

환율만으로는 승리 못 함:

일시적 효과:
환율 절하 → 수출 증가
하지만 1-2년

지속 가능 경쟁력:

1. 기술력:
독일, 일본, 한국
→ 환율 높아도 수출 강국

2. 브랜드 파워:
애플, 벤츠
→ 가격 상관없이 팔림

3. 품질:
일본 제품
→ 프리미엄 유지

4. 생산성:
독일 제조업
→ 높은 임금에도 경쟁력

결론:
환율은 도구일 뿐
진짜 경쟁력은 실력

→ "환율로 사는 자,
환율로 망한다"

9. 개인 투자자 대응

환율 변동 헤지

1. 외화 자산 보유

분산 투자:

달러 자산:
- 미국 주식
- 달러 예금
- 달러 MMF

비중:
포트폴리오의 30-40%

효과:
원화 약세 시
→ 환차익 + 자산 가치 상승

원화 강세 시
→ 환차손이지만 리스크 분산

→ 환율 리스크 헤지

2. 수출주 vs 내수주

원화 약세 예상 시:

매수:
- 삼성전자 (반도체)
- 현대차 (자동차)
- SK하이닉스 (반도체)
- LG화학 (배터리)

이유:
수출 증가 → 실적 개선

---

원화 강세 예상 시:

매수:
- 카카오 (내수)
- 네이버 (내수)
- 신세계 (유통)
- 제주항공 (항공)

이유:
수입 원가 감소 → 수익성 개선

→ 환율 방향 베팅

환율 트레이딩

주의사항

외환 거래 (FX):

레버리지:
최대 100배 가능
→ 고위험

예시:
1,000만 원으로
10억 원 거래 가능

환율 1% 변동:
100배 레버리지 시
→ 원금의 100% 손익

위험:
- 순식간에 원금 소실
- 추가 증거금 요구
- 초보자 90% 손실

권장:
× 초보자 외환 거래
○ 현물 외화 예금
○ 해외 주식 투자

→ 레버리지 금물

10. 미래 전망

디지털 화폐 시대

CBDC와 환율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현재 개발 중:
- 중국 디지털 위안
- 유럽 디지털 유로
- 한국 디지털 원화

영향:

환율 조작 어려워짐:
- 거래 투명화
- 실시간 추적
- 개입 감시 용이

하지만:
새로운 통제 수단 가능
→ 프로그래밍 가능 화폐

→ 게임의 룰 변화

탈달러화 움직임

대안 화폐 모색

BRICS의 시도:

목표:
달러 의존도 감소
→ 새로운 결제 통화

방법:
- 자국 통화 결제
- 위안화 사용 확대
- 디지털 화폐 협력

현실:
× 달러 대체는 어려움
○ 점진적 다변화

이유:
달러의 네트워크 효과
→ 글로벌 기축통화
→ 쉽게 바뀌지 않음

전망:
2030년대까지 달러 우위 지속
→ 하지만 점유율은 감소

→ 다극화 시대

11. 자주 묻는 질문

Q1: 환율이 오르는 게 좋은가요 나쁜가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환율 상승 (원화 약세):
○ 수출 기업 좋음
○ 관광업 좋음 (외국인 관광)
× 수입 물가 상승
× 해외여행 비용 증가

환율 하락 (원화 강세):
× 수출 기업 나쁨
○ 수입 물가 하락
○ 해외여행 저렴

정부 입장:
적정 환율 유지가 최선
→ 너무 높거나 낮으면 문제

개인 입장:
보유 자산에 따라 다름
→ 분산 투자가 답

→ "적정선이 최선"

Q2: 환율 전쟁에서 한국은 유리한가요?

복잡합니다:

강점:
- 외환보유액 충분 ($4,200억)
- 기술 경쟁력 높음
- 수출 다변화

약점:
- 대외 의존도 높음
- 미중 사이 줄타기
- 에너지 전량 수입

전략:
× 환율로만 경쟁
○ 기술력 강화
○ 브랜드 파워 증진
○ 생산성 향상

→ 실력으로 승부

Q3: 개인은 환율을 예측할 수 있나요?

매우 어렵습니다:

환율 결정 요인:
- 금리 차
- 경상 수지
- 정치 리스크
- 시장 심리
- 투기 자금
- 정부 개입

변수가 너무 많음:
전문가도 예측 실패 많음

권장:
× 환율 예측해서 투자
○ 헤지 목적 외화 보유
○ 장기 분산 투자

통계:
환율 예측 적중률 50%
→ 동전 던지기와 같음

→ 예측보다 대비

Q4: 환율 전쟁이 왜 나쁜가요?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

단기:
내가 이기면 남이 진다
→ 보복 조치

중기:
모두가 평가절하
→ 상대적 효과 상쇄

장기:
- 무역 감소
- 보호무역 증가
- 글로벌 성장 둔화
- 신뢰 붕괴

역사:
1930년대 환율 전쟁
→ 대공황 악화
→ 세계대전

교훈:
협력이 상생의 길
→ 경쟁은 공멸의 길

→ "모두가 지는 게임"

12. 환율 전쟁의 대안

국제 협력

G20의 역할

환율 조정 메커니즘:

원칙:
"시장 결정 환율"
"경쟁적 평가절하 자제"

감시:
IMF가 각국 환율 정책 모니터

문제:
강제력 없음
→ 권고에 그침

효과:
제한적이지만 최소한의 규율

대안 없음:
→ 현재로선 최선

→ 느슨한 협력

구조 개혁

근본적 해결책

환율이 아닌 경쟁력:

생산성 향상:
- 기술 개발
- 교육 투자
- 혁신 생태계

개방과 경쟁:
- 규제 완화
- 시장 개방
- 공정 경쟁

사회 안전망:
- 실업 보험
- 재교육
- 전직 지원

결과:
환율 의존 감소
→ 진정한 경쟁력 확보

독일 사례:
유로존 내 환율 고정
→ 하지만 최강 수출국
→ 기술력과 품질로 승부

→ "왕도는 없다"

마치며: 환율 전쟁은 승자가 없다

역사의 교훈

1930년대:
경쟁적 평가절하
→ 무역 전쟁
→ 대공황 악화
→ 세계대전

2010년대:
양적완화 경쟁
→ 자산 버블
→ 불평등 심화
→ 포퓰리즘 부상

2020년대:
여전히 반복
→ 미중 갈등
→ 보호무역
→ 블록화

교훈:
환율 전쟁은 모두가 진다
→ 협력만이 상생의 길

개인의 대응

할 수 있는 것:
✓ 외화 자산 분산 보유
✓ 수출주 vs 내수주 균형
✓ 환율 리스크 이해
✓ 장기 투자 관점

하지 말아야 할 것:
× 환율 예측 베팅
× 레버리지 외환 거래
× 단기 투기
× 올인 전략

마음가짐:
환율은 변수일 뿐
나의 자산 배분과
장기 계획이 더 중요

→ 흔들리지 않는 원칙

국가의 책임

정부와 중앙은행:

단기 유혹:
환율 조작으로 쉬운 성장
→ 하지만 부작용

장기 책임:
- 구조 개혁
- 경쟁력 강화
- 사회 안전망
- 국제 협력

균형:
환율 안정 + 경쟁력 향상
→ 둘 다 필요

신뢰:
말과 행동의 일치
→ 시장 신뢰 구축

"환율 전쟁은 마지막 수단
첫 번째 선택은 실력 향상"

다음 글 예고: 경제 시리즈 총정리 - 25개 경제 개념 완전 정복


관련 백과사전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