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대공황(1929) - 세계 경제를 무너뜨린 검은 목요일의 기록

· 약 6분
silkroad
go to happy

1929년 10월 24일 목요일,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역사상 최악의 폭락이 시작되었습니다. 불과 며칠 만에 미국 주가는 50% 폭락했고, 이는 전 세계를 10년간의 불황으로 몰아넣었습니다. **대공황(Great Depression)**은 자본주의 역사상 가장 심각한 경제 위기였고, 제2차 세계대전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공황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얼마나 참혹했는지, 그리고 어떤 교훈을 남겼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대공황이란?

기본 개념

대공황 (Great Depression)

  • 1929~1939년 약 10년간 지속된 세계 경제 대침체
  • 1929년 10월 미국 주식시장 붕괴에서 시작
  • 전 세계 GDP 15% 감소
  • 실업률 25%
  • 역사상 최악의 경제 위기

규모 비교

구분대공황 (1929)2008 금융위기
주가 폭락-89%-57%
실업률25%10%
GDP 감소-30%-4%
은행 도산9,000개500개
지속 기간10년2년
회복제2차 세계대전정부 개입

결론: 대공황이 훨씬 심각

대공황 발생 배경

1920년대: 광란의 시대

경제 호황:

  • 제1차 세계대전 종전 (1918)
  • 미국 경제 급성장
  • 자동차, 라디오 대중화
  • 소비 폭발

주식 투기 열풍:

  • 누구나 주식 투자
  • 신용 거래 (빚내서 투자)
  • 주가 5년간 5배 상승
  • "영원한 호황" 믿음

경고 신호 무시:

  • 기업 실적 < 주가
  • 과도한 부채
  • 소득 불평등 심화
  • 버블 형성

버블의 정점 (1929년 9월)

다우지수: 381pt (역사적 최고점)

투기 광풍:

  • 구두닦이도 주식 투자
  • 은행 대출로 주식 매수
  • 레버리지 10배
  • "주식은 항상 오른다"

검은 목요일 (1929년 10월 24일)

폭락의 시작

10월 24일 (Black Thursday):

  • 오전 10시: 대량 매도 시작
  • 1,290만 주 거래 (평상시의 4배)
  • 다우지수 -11% 폭락
  • 공황 상태

투자자 반응:

  • 패닉 셀링
  • 신용 거래자 파산
  • 증권사 쇄도
  • 자살자 속출

월스트리트의 악몽

10월 28일 (Black Monday):

  • 다우지수 -13% 추가 폭락

10월 29일 (Black Tuesday):

  • 다우지수 -12% 추가 폭락
  • 1,640만 주 거래 (역대 최대)
  • 총 폭락률: -25% (일주일)

11월 중순:

  • 다우지수 198pt
  • 정점 대비 -48% 폭락

최악의 바닥 (1932년 7월)

다우지수: 41pt

  • 정점 (381pt) 대비 -89% 폭락
  • 주식 자산 900억 달러 증발
  • 25년 뒤에야 회복 (1954년)

대공황의 실상

1. 은행 도산

1929~1933년:

  • 9,000개 은행 파산
  • 전체 은행의 40%
  • 예금자 돈 증발
  • 예금 보험 제도 없음

은행 뱅크런 (Bank Run):

  • 예금자들이 동시에 인출
  • 은행 현금 고갈
  • 문 닫음
  • 예금자 파산

2. 대량 실업

실업률 추이:

  • 1929년: 3%
  • 1933년: 25% (4명 중 1명)
  • 1,300만 명 실업

노숙자 증가:

  • "후버빌" (Hooverville)
  • 판잣집 마을
  • 거리에서 생활
  • 굶주림

3.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

  • 1929~1933년 물가 -25%
  • 소비 위축
  • 기업 도산
  • 악순환

4. 농민 파산

농산물 가격 폭락:

  • 밀 가격 -70%
  • 옥수수 가격 -60%
  • 농가 수입 80% 감소
  • 수백만 농민 파산

더스트 볼 (Dust Bowl):

  • 1930년대 중부 대평원 가뭄
  • 흙먼지 폭풍
  • 농토 황폐화
  • 대규모 이주

5. 전 세계 파급

유럽:

  • 독일 실업률 30%
  • 영국 실업률 20%
  • 프랑스 경제 붕괴

결과:

  • 나치 독일 집권
  • 파시즘 부상
  • 제2차 세계대전 원인

대공황의 원인 분석

1. 주식 버블 붕괴

과도한 투기:

  • 신용 거래 (레버리지)
  • 기업 가치 < 주가
  • 버블 형성

버블 붕괴:

  • 일부 매도
  • 폭락 시작
  • 패닉 셀링
  • 전면 붕괴

2. 은행 시스템 붕괴

예금 보험 없음:

  • 은행 파산 = 예금 증발
  • 뱅크런 확산
  • 연쇄 도산

신용 경색:

  • 은행이 돈 안 빌려줌
  • 기업 투자 불가
  • 경기 더 악화

3. 정부 정책 실패

후버 대통령:

  • 균형 재정 고집
  • 정부 지출 삭감
  • 경기 부양 거부
  • "시장이 알아서 해결"

금본위제:

  • 통화량 증가 불가
  • 디플레이션 심화
  • 악순환

4. 보호무역주의

스무트-홀리 관세법 (1930):

  • 미국 관세 대폭 인상
  • 다른 나라도 보복
  • 세계 무역 70% 감소
  • 전 세계 불황 심화

5. 소득 불평등

1929년 미국:

  • 상위 1%가 부의 40% 소유
  • 중산층 소비력 약함
  • 수요 부족
  • 생산 과잉

뉴딜 정책: 루스벨트의 해결책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1933년 취임)

핵심 메시지: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유일한 것은 두려움 그 자체입니다."

뉴딜 정책 핵심

1. 은행 개혁:

  • 예금 보험 제도 (FDIC)
  • 은행 감독 강화
  • 뱅크런 방지

2. 대규모 공공사업:

  • 댐, 도로, 학교 건설
  • 일자리 창출
  • 실업률 감소

3. 사회 안전망:

  • 사회보장제도 (Social Security)
  • 실업 수당
  • 노인 연금

4. 금본위제 폐지:

  • 통화량 증가 가능
  • 디플레이션 탈출
  • 경기 부양

5. 노동자 보호:

  • 최저임금제
  • 노동조합 권리
  • 근로시간 제한

뉴딜의 결과

긍정적 효과:

  • 실업률 하락 (25% → 14%)
  • 경제 회복 시작
  • 사회 안전망 구축
  • 희망 제공

한계:

  • 완전 회복 실패
  • 제2차 세계대전이 진짜 회복

제2차 세계대전: 대공황의 종언

전쟁 경제 (1941~1945)

정부 지출 폭발:

  • 전쟁 물자 생산
  • 군수 공장 가동
  • 완전 고용

결과:

  • 실업률 1%
  • 경제 회복
  • 대공황 종언

교훈: 정부의 적극적 개입 필요

대공황의 교훈

1. 정부 개입 필요

교훈:

  • 시장 자율 조정 불가능
  • 위기 시 정부 개입 필수
  • 케인즈 경제학 부상

2008년 적용:

  • 정부의 대규모 구제금융
  • 양적완화
  • 대공황 재발 방지

2. 금융 규제 필요

교훈:

  • 과도한 투기 위험
  • 레버리지 규제
  • 은행 감독 강화

제도:

  • 예금 보험
  • 증권거래위원회 (SEC)
  • 은행 자본 규제

3. 사회 안전망

교훈:

  • 실업 수당
  • 연금 제도
  • 사회 보장

4. 보호무역 금물

교훈:

  • 관세 전쟁 = 모두 손해
  • 자유 무역 중요
  • WTO 체제 구축

5. 중앙은행 역할

교훈:

  • 유동성 공급
  • 금리 조절
  • 은행 시스템 보호

대공황 vs 2008년 금융위기

유사점

  • 주식 버블 붕괴
  • 은행 시스템 위기
  • 대량 실업

차이점

2008년 대응:

  • 즉각적 정부 개입
  • 대규모 구제금융
  • 양적완화
  • 2년 만에 회복

교훈: 대공황 덕분에 대응법 학습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대공황은 왜 10년이나 지속되었나요?

A. 정부가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않았고, 금본위제 때문에 통화 정책을 쓸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Q2. 대공황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나요?

A. 직접 사망자는 수십만 명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까지 포함하면 수천만 명입니다.

Q3. 한국도 대공황 영향을 받았나요?

A. 일제강점기였지만 영향이 있었습니다. 쌀값 폭락으로 농민들이 큰 고통을 받았습니다.

Q4. 대공황은 다시 올 수 있나요?

A. 가능성은 낮습니다. 예금 보험, 중앙은행의 대응 능력, 정부 개입 제도가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Q5. 대공황 시기 부자가 된 사람도 있나요?

A. 네, 조셉 케네디 (JFK 아버지) 등 일부는 폭락 시 매수하거나 공매도로 부자가 되었습니다.

Q6. 1929년 주가는 언제 회복했나요?

A. 1954년에야 1929년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무려 25년이 걸렸습니다.

Q7. 대공황과 현재 경제위기 비교는?

A. 현재는 대공황보다 훨씬 나은 상황입니다.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응 능력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화되었습니다.

마무리

대공황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경제 위기였습니다. 10년간의 고통 끝에 제2차 세계대전으로 종결되었고, 수천만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대공황은 소중한 교훈도 남겼습니다.

핵심 정리:

  • 1929년 10월 24일 검은 목요일 시작
  • 주가 -89% 폭락 (다우지수 381 → 41)
  • 실업률 25%, 은행 9,000개 파산
  • 10년간 지속, 제2차 세계대전으로 종결
  • 뉴딜 정책으로 사회 안전망 구축

교훈:

  1. 정부 개입 필요 (시장 자율 불가)
  2. 금융 규제 필수 (투기 방지)
  3. 사회 안전망 (실업 수당, 연금)
  4. 보호무역 금물 (자유 무역 중요)
  5. 중앙은행 역할 (유동성 공급)

현대적 의미:

  • 2008년 금융위기 때 대공황 교훈 적용
  • 정부의 신속한 개입으로 대공황 재발 방지
  • 예금 보험, 양적완화, 구제금융

투자 교훈:

  • 버블은 반드시 터진다
  • 레버리지 (빚투) 위험
  • 공황 시 현금 보유 중요
  • 장기 투자 (25년 회복)

대공황은 끝났지만, 그 교훈은 영원합니다. 역사는 반복되지만, 우리는 학습할 수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를 대공황으로 만들지 않은 것이 그 증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