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 - 일본은 왜 30년간 물가 하락?
· 약 9분
"물가가 내려가면 좋은 거 아닌가요?"
언뜻 그럴듯합니다. 라면이 1,000원에서 800원이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30년간 물가 하락으로 지옥을 경험했습니다. 물가 하락 → 소비 감소 → 기업 도산 → 실업 증가 → 물가 추가 하락. 이 악순환이 30년간 계속됐습니다.
디플레이션은 왜 인플레이션보다 더 무서운 걸까요?
1. 디플레이션이란?
정의
Deflation (물가 하락)
물가가 지속적으로 내려가는 현상
인플레이션의 반대:
- 인플레이션: 물가 ↑
- 디플레이션: 물가 ↓
예시:
2023년 빵: 3,000원
2024년 빵: 2,700원 (-10%)
2025년 빵: 2,400원 (-11%)
→ "돈의 가치 상승"
쉬운 비유
인플레이션:
오늘 사는 게 유리
→ 내일은 더 비쌈
→ 소비 증가
디플레이션:
내일 사는 게 유리
→ 오늘은 더 비쌈
→ 소비 감소
결과:
소비 안 하면 경제 멈춤
→ "기다림의 경제"
역사
대공황 (1929-1933)
미국 물가:
1929년: 100
1933년: 76 (-24%)
원인:
- 주식 시장 붕괴
- 은행 파산 (9,000개)
- 통화량 급감 (-30%)
결과:
- GDP -30%
- 실업률 25%
- 4년간 지옥
→ 디플레이션의 공포
일본 (1990-현재)
잃어버린 30년:
1990년: 버블 붕괴
1995년: 디플레이션 시작
2024년: 여전히 저물가
소비자물가:
1995년: 100
2020년: 102 (+2%, 25년간!)
결과:
- 경제 성장 정체
- 청년 실업
- 고령화 가속
→ 만성 디플레이션
2. 발생 원인
수요 부족 (Demand Shock)
소비 위축
악순환 구조:
1. 경기 불안
↓
2. 소비자 지갑 닫음
↓
3. 기업 매출 감소
↓
4. 감원·임금 삭감
↓
5. 소득 감소
↓
6. 소비 추가 위축
↓
...반복...
결과:
멈출 수 없는 하강 나선
→ 수요 붕괴
일본 사례
1990년 버블 붕괴 후:
가계 행동:
- "내일 더 쌀 텐데..."
- 소비 연기
- 저축 증가
기업 행동:
- 투자 동결
- 구조조정
- 해외 이전
결과:
내수 시장 완전 붕괴
→ 30년 침체
공급 과잉 (Supply Glut)
생산 과잉
메커니즘:
기술 발전:
→ 생산성 급증
→ 제품 쏟아짐
수요:
→ 증가 안 함
결과:
공급 > 수요
→ 재고 누적
→ 가격 인하
사례:
중국 제조업 과잉
→ 세계 물가 하락 압력
→ 만성 공급 과잉
부채 디플레이션 (Debt Deflation)
어빙 피셔의 이론
1933년 제안:
1. 과도한 부채 누적
↓
2. 자산 가격 폭락
(주식, 부동산)
↓
3. 급매 (Fire Sale)
가격 더 하락
↓
4. 부채 가치 상대적 증가
(실질 부채 부담 증가)
↓
5. 파산 증가
↓
6. 통화량 감소
↓
7. 물가 하락
↓
...악순환...
결과:
갚을수록 더 빚짐
→ 부채의 함정
일본 부동산 버블
1985-1990년 버블:
땅값 10배 상승
1991년 붕괴:
땅값 70% 폭락
문제:
대출은 그대로
→ 집값 < 대출액
→ 역자산 (Negative Equity)
결과:
- 은행 부실
- 좀비 기업
- 소비 위축
→ 30년 후유증
인구 감소
일본의 인구 절벽
인구 추이:
1990년: 1억 2,400만
2024년: 1억 2,300만
2050년 예상: 1억 명 (20% 감소)
경제 영향:
수요 측면:
인구 ↓ → 소비 ↓ → 물가 ↓
공급 측면:
생산인구 ↓ → 경제 ↓
고령화:
65세 이상 30%
→ 소비 성향 낮음
→ 구조적 디플레이션 압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