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 PBR / ROE
주식 투자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3대 밸류에이션 지표입니다.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고 저평가/고평가 여부를 확인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뜻
PER(Price Earnings Ratio)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현재 주가가 1년간 벌어들이는 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계산 방법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또는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예시
- 주가: 100,000원
- 주당순이익(EPS): 5,000원
- PER = 100,000 ÷ 5,000 = 20배
해석:
- 이 회사는 연간 이익의 20배 가격에 거래되고 있음
- 현재 이익 수준이 유지된다면 20년이면 투자금 회수
적정 PER
| PER | 평가 | 특징 |
|---|---|---|
| 5배 이하 | 매우 저평가 | 위험 또는 기회 |
| 5-10배 | 저평가 | 가치주 |
| 10-15배 | 적정 | 안정적 |
| 15-25배 | 다소 고평가 | 성장주 |
| 25배 이상 | 고평가 | 고성장 기대 또는 버블 |
업종별 차이:
- IT, 바이오: 30-50배 (고성장 기대)
- 제조, 금융: 5-10배 (저성장)
- 유틸리티: 10-15배 (안정적)
주의사항
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님:
- 적자 기업은 PER 계산 불가
- 일회성 이익으로 PER 왜곡 가능
- 업종별 특성 고려 필요
PBR (주가순자산비율)
뜻
PBR(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를 주당순자산(B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순자산 대비 주가가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계산 방법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또는
PBR = 시가총액 ÷ 순자산(자본총계)
예시
- 주가: 50,000원
- 주당순자산(BPS): 25,000원
- PBR = 50,000 ÷ 25,000 = 2.0배
해석:
- 이 회사의 순자산보다 주가가 2배 높음
- 회사가 청산되면 주당 25,000원 회수 가능
적정 PBR
| PBR | 평가 | 의미 |
|---|---|---|
| 0.5 이하 | 매우 저평가 | 청산 가치 이하 |
| 0.5-1.0 | 저평가 | 가치주 |
| 1.0-2.0 | 적정 | 정상 |
| 2.0-5.0 | 다소 고평가 | 성장주 |
| 5.0 이상 | 고평가 | 고성장 기대 또는 버블 |
업종별 차이:
- 금융, 제조: 0.5-1.5배 (자산 중시)
- IT, 바이오: 3-10배 (무형자산 중시)
- 부동산: 0.8-1.2배 (자산 가치)
PBR 1 미만의 의미
이론상:
- 회사를 청산하면 이익
- 저평가
현실:
- 회사가 돈을 못 벌고 있음
- 자산 가치 하락 가능성
- 실적 부진
예외:
- 금융주는 PBR 1 미만이 정상 (은행, 증권사)
ROE (자기자본이익률)
뜻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 비율로,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