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PBR, ROE - 주식 투자 필수 지표 완전 정복
· 약 9분
"삼성전자 PER이 10배인데 살까요?" "PBR 0.5배면 무조건 싸다던데요?" "ROE가 뭐길래 워런 버핏이 중요하다고 하나요?"
주식 투자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세 가지 지표. 하지만 정확히 뭔지,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이 세 가지만 제대로 알아도 망하는 주식의 90%를 피할 수 있습니다.
1. PER (주가수익비율)
정의와 계산
PER = Price to Earnings Ratio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또는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의미: "이익의 몇 배를 주고 사는가?"
예시: 삼성전자
2024년 데이터:
- 주가: 70,000원
- 주당순이익(EPS): 7,000원
PER = 70,000 / 7,000 = 10배
해석: 삼성전자 주식은
1년 이익의 10배 가격
PER의 의미
쉬운 비유: 치킨집
치킨집 연 순이익: 1억 원
PER 10배: 매각가 10억 원
→ 10년치 이익 = 매각가
→ "10년이면 본전"
PER 20배: 매각가 20억 원
→ 20년치 이익 = 매각가
→ "20년 기다려야 본전"
→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
적정 PER은?
업종별 평균 PER (2024년 기준)
| 업종 | 평균 PER | 특징 |
|------|----------|------|
| IT/기술주 | 20-30배 | 성장성 높음 |
| 제조/화학 | 8-15배 | 안정적 |
| 은행/금융 | 5-10배 | 저평가 |
| 바이오 | N/A | 적자 多 |
| 유 틸리티 | 10-15배 | 안정적 |
코스피 평균: 약 12배
국가별 평균 PER
미국 S&P 500: 20-25배
한국 코스피: 10-12배
일본 닛케이: 15-18배
→ 한국 주식이 저평가?
PER 활용법
저 PER = 저평가?
× 단순 논리:
PER 5배 → 무조건 싸다!
○ 제대로 보기:
1. 업종 평균과 비교
2. 과거 자사 PER과 비교
3. 이익 성장성 고려
실전 예시
케이스 1: 삼성전자
- 현재 PER: 10배
- 과거 5년 평균: 12배
- 업종 평균: 15배
→ 상대적 저평가
케이스 2: 부실 기업
- 현재 PER: 3배
- 과거 평균: 5배 (하락 중)
- 이유: 이익 급감 예상
→ 싼 게 비지떡 (가치함정)
PER의 함정
1. 적자 기업
적자 기업 PER = 계산 불가
예: 테슬라 (2020년까지 적자)
→ PER로 평가 불가능
→ 다른 지표 필요
2. 일시적 이익
2024년:
- 일시적 자산 매각: +1,000억
- 당기순이익: 1,200억
- PER: 5배 (매우 싸 보임)
2025년:
- 정상 이익: 200억
- PER: 30배 (비쌈)
→ 일회성 이익 제외하고 봐야
2. PBR (주가순자산비율)
정의와 계산
PBR = Price to Book Ratio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또는
PBR = 시가총액 / 순자산
의미: "청산가치의 몇 배인가?"
예시: 현대차
2024년 데이터:
- 주가: 200,000원
- 주당순자산(BPS): 250,000원
PBR = 200,000 / 250,000 = 0.8배
해석: 현대차 청산 시
주주당 25만 원 받는데
현재 주가는 20만 원
→ 청산가치보다 싸게 거래
PBR의 의미
쉬운 비유: 부동산
강남 아파트:
- 실거래가: 20억 원
- 감정가: 25억 원
PBR = 20억 / 25억 = 0.8배
→ 감정가보다 싸게 거래
→ "안전마진 있음"
PBR 1배의 의미
PBR 1배:
= 주가 = 순자산
의미:
- 회사 청산하면 주가만큼 받음
- 이론적 하방 지지선
- "최소한 본전"
PBR < 1배:
→ 저평가 가능성
→ 하지만 이유 확인 필요
업종별 PBR
평균 PBR (2024년 기준)
| 업종 | 평균 PBR | 이유 |
|------|----------|------|
| IT/인터넷 | 3-5배 | 무형자산 가치 |
| 제조업 | 1-2배 | 유형자산 많음 |
| 금융/은행 | 0.3-0.7배 | 저평가 고질 |
| 부동산 | 0.5-1.5배 | 자산가치 明확 |
| 바이오 | 5-10배 | 미래가치 |
→ 업종별 큰 차이
PBR 활용법
저 PBR 매력도
PBR < 0.5배:
→ 극단적 저평가?
→ 하지만 조심!
확인 사항:
1. 자산 가치 실제로 있나?
2. 매년 적자는 아닌가?
3. 청산 위험은 없나?
실전 예시
케이스 1: 은행주
- PBR: 0.4배
- ROE: 8%
- 배당: 4%
→ 안정적 저평가주
→ 가치 투자 대상
케이스 2: 조선소
- PBR: 0.3배
- 10년간 적자
- 부채비율 300%
→ 싼 이유 있음 (가치함정)
3. ROE (자기자본이익률)
정의와 계산
ROE = Return on Equity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의미: "자본 대비 얼마나 벌었나?"
예시: 네이버
2024년 데이터:
- 당기순이익: 2조 원
- 자기자본: 20조 원
ROE = 2조 / 20조 × 100 = 10%
해석: 자기자본 100원당
10원의 이익 창출
ROE의 의미
쉬운 비유: 가게
자기 돈 1억 원으로 가게 시작:
1년 후 순이익:
- 1,000만 원 → ROE 10%
- 1,500만 원 → ROE 15%
- 500만 원 → ROE 5%
→ ROE가 높을수록
자본 효율성 좋음
워런 버핏의 기준
버핏이 보는 ROE:
"최소 15% 이상
10년 이상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