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종합소득세 계산기 - 3.3% 원천징수부터 5월 세금 정산까지
· 약 3분
프리랜서로 일하시는 분들이라면 매월 급여에서 3.3%가 원천징수되고, 다음 해 5월이 되면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한다는 사실을 아실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 얼마를 더 내야 하는지, 혹은 환급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기는 쉽지 않죠.
프리랜서가 꼭 알아야 할 세금 상식
3.3% 원천징수란?
프리랜서가 용역비나 계약금을 받을 때, 발주처에서 3.3%를 원천징수하고 지급합니다. 이는:
- 소득세 3%
- 지방소득세 0.3%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0만원을 받기로 했다면:
- 원천징수액: 165,000원 (500만원 × 3.3%)
- 실수령액: 4,835,000원
5월 종합소득세 신고는 왜 하나요?
3.3% 원천징수는 **"임시로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실제 세율은 개인의 총소득과 경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다음 해 5월에 정확한 세금을 계산하여 정산하게 됩니다.
경우의 수:
- 추가 납부: 실제 세율이 3.3%보다 높은 경우
- 환급: 실제 세율이 3.3%보다 낮거나 경비가 많은 경우
사업소득 vs 기타소득, 뭐가 다른가요?
사업소득
-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플랫폼 노동자
- 단순경비율 또는 기준경비율 적용
- 경비 비율이 높아 과세표준이 낮아짐
단순경비율 예시: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60.7%
- 연소득 6,000만원 이하: 55%
- 연소득 6,000만원 초과: 45%
기타소득
- 강연료, 원고료, 자문료 등
- 필요경비 60% 공제 (300만원 초과시)
- 비교적 간단 한 계산
실제 계산 예시
예시 1: 월 500만원 버는 IT 프리랜서 (사업소득)
연소득: 6,000만원
3.3% 원천징수:
- 월: 165,000원
- 연: 1,980,000원
5월 종합소득세 계산:
- 총 수입: 60,000,000원
- 필요경비 (55% 단순경비율): 33,000,000원
- 기본공제: 1,500,000원
- 과세표준: 25,500,000원
- 소득세: 2,175,000원
- 지방소득세: 217,500원
- 결정세액: 2,392,500원
- 기납부세액: -1,980,000원
- 추가 납부: 412,500원
예시 2: 월 300만원 버는 디자이너 (사업소득)
연소득: 3,600만원
3.3% 원천징수:
